창작과비평

창작과비평

정기구독 회원 전용 콘텐츠

『창작과비평』을 정기구독하시면 모든 글의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구독 중이신 회원은 로그인 후 이용 가능합니다.

문학초점

 

서정시의 혁신

신용목 시집 『아무 날의 도시』

 

 

박상수 朴相守

시인, 평론가. 시집으로 『후르츠 캔디 버스』, 평론집으로 『귀족 예절론』이 있음. susangpark@hanmail.net

 

 

2031

『아무 날의 도시』(문학과지성사 2012)에서 신용목(愼鏞穆)은 마치 ‘은유의 발명’이 자신의 사명인 것처럼 수사에 몰두한다. 그러나 뜨거운 윤기로 사물을 맺어주는 것이 아니라 냉염한 절망으로 결합시킨다. “끓는 얼음”(「탱크로리」) 같은 정념이다. 뜨겁지만 정교하고, 끓고 있지만 섬세한 은유의 실핏줄이다. 앞과 뒤가, 정과 반과 합이 감탄스럽게 결합되어 있다.

그가 바람, 구름, 허공, 저녁, 어둠, 밤 등의 애독자임은 널리 알려졌고 이번 시집도 예외는 아니다. 엇비슷한 애착어들이 반복되면 시가 활력을 잃고 지루해지는 것은 뻔한 이치다. 하지만 신용목의 시집에는 그런 게 없다. 핵심은 ‘발명의 중첩’이다. 원관념은 무수한 보조관념으로 변환된다. ‘어둠’은 ‘사지를 잃은 몸’이 되었다가 ‘꼭지가 타버린 사과’였다가(그 ‘사과’는 다시 ‘달’이거나 ‘인공위성’이 되고) “모든 집이 무덤이 되거나 유적이 되거나 기록이 된 이후의 폐허”로 변한다(웃을 수도 울 수도 있지만). 게다가 같은 시에서 어둠과 반대의 속성을 가진 ‘불빛’은 “모든 흙이 벽돌이 되거나 타일이 되거나 기와가 된 이후의 폐허”로, 다시 ‘가죽을 잃은 몸’ 혹은 ‘허공’ 혹은 ‘밑동이 까맣게 탄 사과’로 은유되면서 그야말로 다채롭게 다른 사물로 이전된다. ‘어둠’과 ‘불빛’이 각각 엇나간 계열로 전이되는가 싶더니 마침내는 폐허의 이미지로 정교하게 겹친다. 웃을 수도 울 수도 있으나, 반대로 웃을 수도 울 수도 없는 어떤 기이한 중간지대(무한)가 개방된다. 어둠과 불빛의 폐허다. 시집 전체로 확장시키면 어떨까. 그가 애독하는 관념들은 거의 무한대의 운동성을 선보인다.

뿐만 아니다. 원관념의 자리에 바람, 어둠 등의 추상명사가 살아 있는 힘을 행사하면서 특이하게도 행위는 선명하나 행위자가 불분명한 이상한 불투명성이 덧입혀진다. 어떻게 움직이는지 파악할 수 없는 거대하고 불투명한 존재가 인간의 의지와 상관없이 세계를 움직이는 것 같은 기이한 활유법의 세계다. 더욱 특이한 것은 현란한 수사가 중첩되면서 어느덧 발화의 주체를 잊어버리게 된다는 점에 있다. 더불어 현실도 깜빡 잊는다. 2000년대 다른 젊은 시인들의 시에 비하자면 상대적으로 현실의 실감이 상당히 남아 있기는 하지만 같은 서정시끼리 대별하여 보자면 이상할 정도로 관념적인 어떤 세계다. 은유의 보조관념만 살아남아서 자가발전하는 단계고 실체 없는 관념이 행위를 조정하는 기이한 운동성의 세계인데, 그럼에도 사람의 절망을 건드리고 심지어는 더욱 깊숙하게 고통스럽기까지 하다.

세상의 서로 다른 사물을 짝짓는 은유는 서정시의 본령이고 그만큼 전통적이어서 2000년대 젊은 시인들에게 홀대받은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신용목에 이르면 사정은 달라진다. 그는 모두가 버린 그 ‘은유’를 갈고 다듬었다. 은유를 연속하거나 포개고, 그럼으로써 기존의 관습적인 서정시를 극복한다. 주체와 감정이 비교적 선행하며 사물을 배치하는 것이 아니라 역으로 수사를 향한 몰입이 중첩된 비유를 만들고 이상하고 불투명한 풍경을 만든다. 섬세한 세공을 따라 감정도 촘촘하게 축적되면서 폐허의식은 더욱 강화된다. ‘비현실적인 실감’이라고 할 만하다. 현실의 실감이 아니라 수사의 세공으로 새로운 단계의 서정시를 창조해낸 것이다.

2000년대를 화려하게 장식한 어떤 시인들은 ‘무한’에 닿기를 원했다. 이전과는 다른 시에 대한 열망이었다. 모든 시도는 선대의 자산을 물려받아 이루어졌다. 일면 외설적이고 비윤리적인 쾌락이 동반됐다. 자산을 더 펼치고 감각적으로 확대하면서 한국시의 외연이 확장됐음은 물론이다. 열망은 다음 세대의 시인들로 넘어갔다. 어느덧 우리는 이제 막 첫 시집을 낸 시인들의 인상적인 성취를 반갑게 꼽을 수 있게 되었다. 그동안 억압되었던 질문은 이것이다. 서정시는 어디에 있었나. 당연히 많은 좋은 시인들을 떠올릴 수 있지만 특히 신용목의 세번째 시집을 읽으며 이런 생각을 품게 되는 이유는 2000년을 전후로 등단한 이래 서정의 본령을 비교적 충실하게 이어온 시인 중 하나가 신용목이라는 두드러진 사실 때문이다. 하지만 수적 열세를 밑천 삼아 전통을 계승한다는 것만으로 신용목의 가치가 보장되는 것은 아니다. 2000년대의 다양한 열망들을 경유한 뒤로 서정시에 대한 요청의 수준은 월등히 높아졌으니까. 그래서 묻게 된다. 서정시의 양식 안에서 개성을 담보하는 것은 어떻게 가능할까? 새로운 순간을 발견하고, 감정이 더 극진해지고, 현실의 구체적인 실감들을 끌어들이는 방식 말고도 서정을 갱신할 수 있는 길이 있을까? 신용목의 이번 시집이 그 답이다. 그는 오래된 미래인 은유를 선택했다. 만약 서정시가 자기 안에서 자기를 뛰어넘는 ‘무한’의 길을 발견했다면 그 공로의 일부는 분명 신용목에게 돌아가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