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비주간논평
새로운 체제를 여는 간절한 마음
백영경
유난히 어둡고 길게 느껴진 겨울이 지나갔다. 봄이 올 듯 말 듯 유독 늦게까지 지속되며 애태우던 꽃샘추위처럼, 추악한 권력자를 몰아내는 일은 생각보다 쉽지 않았다. 긴 겨울 추위 속에서도 광장을 지키며 버텨낸 시민들의 힘으로 우리는 어렵사리 봄을 맞았고, 어느덧 여름에 다가서고 있다. 그러나 이젠 살 만한 날이라고 자신하기엔 아직 현실이 너무 위태롭다. 산불로 검게 그을린 국토와 무너진 삶의 현장에서 생계를 위협받는 사람들, 끊임없이 반복되는 재난사고들, 여전히 고공농성을 이어가는 노동자들, 되풀이되는 산재 속에서 목숨을 잃는 이들, 또 섣부른 개입으로 엉망이 된 의료현장이나 국가기관이 나서서 혐오를 조장하는 동안 되돌리기 어려운 피해를 당한 이들. 비상식이 일상화된 지난 몇년의 시간은 우리의 삶을 더욱 망가뜨렸음이 분명하되, 윤석열정권의 퇴진만으로 문제가 사라지리라 믿을 사람은 없다. 하지만 이제 우리에게 다시 시작할 기회가 주어진 것은 분명하다.
돌이켜보면 “이게 나라냐”는 외침의 역사는 길다. 민(民)이 주인이 되는 나라를 세우고자 하는 노력은 멀리는 동학농민운동과 3·1운동으로, 가까이는 4·19, 5·18, 그리고 87년 6월항쟁으로 우리 역사 곳곳에 새겨져 있다. 가장 생생한 기억은 세월호참사 이후의 염원이다. 당시 시민들은 “이게 나라냐”는 절규와 함께 나라다운 나라를 만들어야 한다고 다짐하면서 광장에 모여 촛불을 들었다. 다만 그 간절함은 현실의 벽 앞에서 제대로 실현되지 못했다. 벽을 마주한 소망은 좌절과 분노가 되었고 변화에 대한 갈망은 다시 광장을 채웠다. 그러나 이전의 경험이 보여주듯 분노만으로 현실이 바뀌지는 않는다.
정권교체를 넘어 삶의 방식에서 실질적인 변화를 만들어내고 또한 그렇게 변화된 모습을 지켜가려면 말로 하는 것 이상의 연대도 필요하고, 묵은 과제를 정리할 실력도 필요하며, 이를 밀고 나갈 지혜와 끈기도 필요하다. 무엇보다 이전의 다짐이 엎어진 자리를 짚고 우리의 열망을 굴복시킨 힘이 무엇이었는가에 대한 반성도 필요하다. 인적 청산만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는 없다는 사실도 기억해야 한다. 특정 개인이나 집단의 교체가 아니라 사회 전반의 구조적 변화가 필요한 때다. 지금 우리 앞에 놓인 것은 마음을 모아 현실을 제대로 바꿔볼 다시 한번의 기회이다.
현실에서 ‘간절함’의 내용이 저마다 다를 수 있음도 기억할 필요가 있다. 모두가 민주주의를 열망하더라도 누군가에게는 가장 시급한 과제가 안전한 일터, 먹고사는 문제, 죽음 앞의 돌봄일 수 있고, 또다른 이에게는 차별과 혐오가 없는 세상이나 공정하고 평등한 기회라는 이름일 수도 있다. 더 나은 세상에 대한 갈망을 공유하더라도 연금개혁, 노동정책, 부동산문제 등 구체적인 사안으로 들어가면 시민들 사이에 이해관계가 엇갈릴 일도 많다. 모두 새로운 세계를 꿈꾼다 해도 각자 희망하는 나라의 모습은 다를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이 차이와 갈등 역시 나라다운 나라를 만들고자 한다면 마주하게 될 것이고, 실제로 마주해야 할 과제임이 분명하다.
진정한 중도란 어중간한 타협이나 온건함의 추구가 아니며, 단순히 수적으로 다수를 규합해가는 길도 아니다. 더 많은 사람들이 더 좋은 변화를 이뤄내고자 함께 길을 걷는 일이다. 그것은 뜨거운 열정을 품되 희망을 잃지 않고, 조급해하지 않으면서도 실제적인 결과를 만들어내는 꾸준한 과정이다. 이를 위해서는 희망의 시대라 해도 그 희망이 누구에게나 고르게 다가오지 않는다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한다. 모두에게 암담한 시대보다 희망이 조금씩 보이는 시대가 오히려 소외감을 더 키우기도 한다. 그래서 어떤 문제도 가벼운 판단으로 중요도를 매기거나 해결을 뒤로 미루자고 해서는 곤란하다. 물론 내란사태의 책임을 묻고 민생과 평화를 우선 돌보는 큰 원칙은 필요하다. 그러나 동시에 지금 덜 중요해 보이는 문제가 전체를 풀어내는 열쇠가 될 수도 있다. 무엇보다 희망은 함께하는 이들이 많아질수록 그 힘이 세지지 않겠는가.
따라서 정권교체 이후에도 시민의 참여와 감시, 연대가 끊이지 않아야 한다. 공동체에 대한 책임의식 없는 엘리트들의 전문가주의는 결코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다. 가령 민주주의의 회복이 단지 법치주의의 강화로만 수렴된다면 중요한 사회적 판단이 사법 엘리트들의 손에 휘둘리는 작금의 현상이 되풀이될 것이다. 시민이 진정 나라의 주인이 되려면 구체적으로 어떤 제도와 실천, 공부가 필요한지 끊임없이 고민하고 실험해나가야 한다. 사회가 요구하는 ‘정상적인’ 삶의 궤도에서 이탈하거나 한번의 경쟁에서 낙오되면 끝나는 비정한 사회가 아니라 누구나 다시 시작할 수 있는 사회, 기회가 가진 자의 특권이 아니며 모두의 권리인 사회를 만들어가야 하는 것도 물론이다.
그간 우리는 ‘이 정도면 끝이겠지’라고 생각했던 자신이 부끄러워지는 일들을 반복해서 경험해왔다. 어쩌면 우리 스스로도 문제의 심각성과 그 뿌리의 깊이를 과소평가했는지 모른다. 이제는 “이게 나라냐”는 절규를 반복하지 않도록 지금 여기에서 공들여 희망을 짓고, 그 희망이 지속될 수 있도록 바탕을 튼튼히 다지는 일을 시작해야 한다. 그리고 누군가의 간절함이 다시금 분노로 치환되지 않도록 마음을 지켜내는 노력도 모두가 함께해야 한다. 진정한 민주주의의 회복은 누구나 어떤 조건에서도 자기 목소리를 낼 수 있고 그 목소리가 존중받는 사회를 만드는 것이며, 이를 위해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삶의 현장에서부터 변화를 일구어가는 모두의 참여인 것이다.
*이 글은 『창작과비평』 2025년 여름호 ‘책머리에’의 일부입니다.
백영경 / 제주대 사회학과 교수
2025.5.27. ⓒ창비주간논평
커버 이미지: 오마이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