촌평
최규석 만화 『대한민국 원주민』 창비 2008
우리, 야유를 잃어버린 사람들
김규항
『고래가그랬어』 발행인 gyuhang@gmail.com
내가 발행인 노릇을 하고 있는 어린이잡지 『고래가그랬어』에 만화가 최규석(崔圭碩)이‘코딱지만한 이야기’라는 꼭지를 연재했었다. 아이와 어른이 함께 보는 우화 같은 것이었는데, 분량은 짧아도 함축과 은유가 많은 쉽지 않은 작품이었다. 연재를 쉬기 얼마 전에 실린 「불행한 소년」이라는 작품이 말썽이 나서 몇몇 독자가 항의하고 정기구독을 취소하는 일이 있었다. 내용인즉슨 아주 불행한 환경에서 태어나 참고 또 참으며 평생을 죽도록 노동했으나 결국 비참하게 인생을 마치게 된 사내가 제 정당한 분노를 늘 삭이게 했던, 그리고 이제 죽어가는 그에게 “비참하다고 말하지 마세요. 당신의 삶은 가치있는 삶이었어요”라고 하는 천사를 죽인다는 것이었다. 물론 그 천사는 그저 천사의 탈을 쓴 악마에 불과했지만 기독교(개신교)가 비공식적 국교이다시피 한 국가인 한국에서 발행하는 어린이잡지에 천사를 죽이는 장면을 실었다는 것은 문제가 될 만한 일이었다.
실은 그 작품이 편집부에 들어왔을 때 편집장이 걱정된다며 나에게 보여주었다. 나는 “문제가 되겠지만 문제없는 작품”이니 싣자고 했다. 싣지 않았으면 말썽도 없었을 테니 작가에겐 책임이 없었지만 『고래가그랬어』의 지지자인 최규석은 독자수를 늘리는 데 도움을 주기는커녕 줄였다는 데 대해 몹시 미안해했다. 그때 최규석이 고개를 갸우뚱거리며 했던 말이 생각난다. “그게 그렇게 충격적인가요? 저는 늘 소 잡고 돼지 잡고 하는 걸 보고 자라서 그런지 잘 모르겠는데……” 미안해서 하는 말이었지만, 그 말 속엔 얼마간의 야유가 들어 있었다. 제 새끼들을 볼 것 안볼 것 들을 것 안들을 것 알뜰하게 다 가려가며 키울 수 있는 안온한 삶을 살아가는 사람들에 대한 야유. 최규석은 그런 야유를 할 만한 사람이다. 그는 늘 소 잡고 돼지 잡고 하는 것을 보고 자란 사람, 볼 것 안볼 것 들을 것 안들을 것 다 가리며 키울 수 없는 조건에서 성장한 사람이다. 『대한민국 원주민』은 바로 그 기록이다.
나는 이 책을 예상했던 것보다 훨씬 더 재미있게 보았다. 시사주간지에 연재될 때 몇번 봤다고 생각했는데 막상 묶여나온 것을 보니 본 게 거의 없었다는 것도 이유였지만, 그보다는 전체적으로 매우 완성도가 높은 작품들이었기 때문이다. 오래전, 만화가 후배의 소개로 대학 졸업작품집에 실린 최규석의 작품을 본 후 『공룡 둘리에 대한 슬픈 오마주』 『습지생태보고서』 등 그의 주요한 작품들을 모두 보아왔지만 이번처럼 강한 인상을 받은 적은 없었다. 두어시간 그렇게 빠져서 책을 다 보고 나서야 난 그 두어시간 동안 중요한 사실을 잊고 있었음을 깨달았다.‘참, 이게 다 지 이야기지.’그 이야기들이 지어낸 이야기가 아니라 한 아이의 체험임을 되새기며 난 가슴이 저렸다.
그리고 이삼십년 전이었다면, 말하자면 한국의 인텔리들(이를테면 나 자신을 포함하여 이 책을 읽는 사람들)에게 민중이 각별한 의미를 갖던 시절이었다면 이 책이 지금과는 다르게 받아들여졌겠구나 싶었다. 어쩌면 이 책은‘민중의 자식이 그린 가슴 아픈 성장기’라 수식되었을 것이다. 그러나 알다시피 90년대 이후 한국의 인텔리들은 더이상 민중이라는 말을 하지 않고, 대신 시민이라는 말을 즐겨 쓰게 되었다.(그렇게 된 사연과 과정은 생략하기로 하자. 다만 분명한 사실은 민중은 예나 지금이나 민중이라는 것. 그리고 민중은 인텔리들이 자신들을 위해‘투신’하던 시절이나 자신들을‘배신’하고 시민을 말하는 지금이나 그들에게 별 관심이 없다는 것이다. 인텔리들의 민중과의 관계는 실재했던 게 아니라 단지 인텔리들끼리의 가상극이었는지도 모른다.)
어쨌거나 오늘 한국의 인텔리들에게 민중은 그들이 오래전 외치던 대로‘역사의 주인공, 생산의 주인공’이 아니라 단지 부인할 순 없지만 애써 외면하는 대상이 되었다. 그런 변화한 상황에서 『대한민국 원주민』은, 이른바 진보적인 성향의 인텔리들이 즐겨 읽는 잡지에 연재되고 역시 진보적인 인텔리들을 주요한 독자로 하는 출판사에서 발간된 이 책은, 어떤 의미를 갖는 걸까? 사실 이런 질문은 매우 싱거운 것이다. 이 책의 제목은 이미 그에 대한 답을 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 책의 제목은‘한 민중의 자식의 가슴 아픈 성장기’를 이젠 제 세계관이나 사회적 실천에 결코 연결시키지 않은 채 잠시 구경하려는 인텔리들에 대한 야유이기도 하다.
그러나 이 책의 가장 중요한 미덕은 그 야유가 작가 자신에게까지 뻗어 있다는 점이다. 최규석은 이제 모든 면에서‘원주민이 되어버린 민중’에서 떨어져나와, 단 한번도 입신양명을 꿈꾼 바 없으나 어느새 국제적으로 주목받는 만화가가 되어버린 자신에 대한 야유를 서슴지 않는다. 그리고 그 야유는 사회적 지위와 문화자본이 갈수록 늘어가는 제 삶의 추이와 속도에 정직하게 맞춰져 있다. 부모와 누이들과 형에 관한 이야기들을 가까스로 마친 작가는 책의 끝무렵 제 옆얼굴을 그린 페이지 왼편에 “어쩌면 존재하게 될지도 모를”, 자신과는 꽤 다른 환경에서 자랄 자신의 아이에 대해 적는다.
“그 아이의 환경이 부러운 것도 아니요, 고통 없는 인생이 없다는 것을 몰라서 하는 소리도 아니다. 다만 그 아이가 제 환경을 한 치의 의심도 없이 제 것으로 여기는, 그것이 세상의 원래 모습이라 생각하는, 타인의 물리적 비참함에 눈물을 흘릴 줄은 알아도 제 몸으로 느껴보지는 못한 해맑은 눈으로 지어 보일 그 웃음을 온전히 마주볼 자신이 없다는 얘기다.”(144면)‘근래 보기 드문 민중 출신 작가’가 제공한‘모처럼의 민중 구경’이 되었을지도 모를 이 책은 작가 자신에 대한 야유, 심지어 자신의 미래에 대한 야유를 포함하면서‘그들’에 관한 책이 아니라‘우리(인텔리들)’에 관한 책이 된다.
말하자면 이 책은 우리의 잃어버린 야유를 복원하는 책이다. 이 책은 우리가 민중에 대해‘우리끼리’해치운 개연성 없는 투신과 배신에 대해 정당한 야유를 받은 바 없이 살아왔으며, 우리의 삶이 이렇게 욕지기가 날 만큼 졸렬해진 것 역시 세상과 스스로에 대해 우리가 야유하는 능력을 잃어버리면서부터였음을 복원하게 한다. 모든‘우리’에게 이 책을 권한다. 모처럼의 구경은 어느새 모처럼의 정화(淨化)가 될 터이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