촌평
신진욱 『그런 세대는 없다』, 개마고원 2022
누가 왜 자꾸 ‘그런 세대’가 있다고 우기는가
김내훈
金來薰/미디어문화연구자, 연세대 미디어문화연구전공 박사과정 vacuumfx@gmail.com
나는 386세대(‘586’ ‘n86’보다는 처음 나온 용어인 ‘386’을 선호한다)에 대한 악감정이 없다. 오히려 우리 모두가 그들의 정치운동의 유산에 빚지고 있으며, 특히 386의 학문 후속세대는 그들이 일궈놓은 거인의 어깨에 서 있다는 것을 부정할 수 없다고 생각한다. 과거 기득권에 저항하던 386세대가 기성세대로 성장하고 결국 자신도 기득권이 되어 청년들을 착취하고 있다는 명제가 일부 사실이라고 할지라도, 386세대 일반을 한국사회의 모든 병폐가 의인화된 집단으로 폄훼해버리는 것은 지양해야 한다. 무엇보다 그러한 폄훼에서 ‘386’이 가리키는 대상이 무엇인지 명확하지 않기 때문이다.
신진욱 중앙대 사회학과 교수는 『그런 세대는 없다』에서 이른바 ‘386세대의 독식’과 그 때문에 ‘미래를 박탈당하는 청년세대’라는 구도를 생산해온 담론의 허구성을 드러낸다. 그에 따르면 세대 간의 체계적인 불평등이 있어 마치 386세대가 ‘양보’를 해야만 많은 사회적 병폐가 해소될 것처럼 이야기하는 것은 ‘세대 선정주의’에 불과하다. 그 선정적인 허구성은 저자가 인용하는 조사결과로도 여실히 드러난다. 한국의 34세 이하 청년들 사이에서 386이나 586이라는 용어 자체를 잘 모른다고 대답한 사람이 44%인데, 그러면서도 ‘386세대가 한국사회의 기득권 세력이다’라는 문항에 80%가 동의했다고 한다(133면). 이는 확실히 자연스러운 현상은 아니다.
386이라는 말에는 정치사적인 맥락이 있다. 1980년대 대학생 신분으로 민주화운동과 사회운동에 앞장섰던 운동가·이론가들 상당수가 1990년대 말에 제도정치권 및 학계에 진출하게 되면서 차기 리더로 촉망받았고, 이들을 당시 보급되었던 가정용 PC의 CPU 모델명에 빗대어 부른 것이 386의 유래다. 이 사실을 제대로 아는 사람이 그렇게 많지는 않은 것 같다. 사실 알아야 할 필요도 없는 일이다. 유망주로 불리던 당시의 젊은 정치인 혹은 학자들을 20여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집단으로 묶어 호명할 이유가 없기 때문이다. 똑같이 출발한 386이더라도 지금은 이미 각자가 서로 크게 다른 정치적·사회적 위치에 서 있다. 그럼에도 여태 486, 586으로 이름을 바꿔가며 1960년대생 세대 전체를 가리키는 말로 쓰이는가 하면, 이제는 저자가 말하듯 그 지시 대상이 50대 엘리트 집단, 진보정치 및 시민사회 세력, 60년대생까지 뒤범벅이 되었다.
이렇게 아주 많은 것을 의미하는 동시에 그 무엇도 확실히 지시하지 않는, 내용은 빈약하지만 그 표현 자체는 강렬한 단어는 그때그때 쓸모에 맞게 변용할 수 있는 무기가 된다. 최근 들어 더욱 막강해진 그 쓸모란, 기득권과 비기득권 간의 사회적 갈등을 세대 간 갈등으로 치환하면서 그 원한과 적대의 방향을 문재인정권과 민주당 진영으로 돌리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세대 갈등의 원한이 같은 기성세대 기득권이라 할지라도 보수세력에게 뻗치지 않는다.
386이라는 용어의 ‘무기화’가 문재인정권과 민주당 세력 그리고 진보진영 전반에 대한 공격으로 이어질 수 있는 이유는 단순하다. 80년대 학생운동을 한 운동권 출신이 많기 때문이다. 하지만 국민의힘을 위시한 보수세력에도 운동권 출신이 많다는 사실은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나는 이 지점에서 『그런 세대는 없다』의 탁월함을 찾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저자는 다양한 객관적 자료를 통해 세대론을 해체하는 데 그치지 않고, 세대론이 담론의 산물이라는 점을 짚어주며 그것이 어느 세력에게 유리하게 기능하는지를 고찰하도록 유도한다. 나는 여기에 ‘담론 공세’라는 말을 덧붙이고 싶다.
담론 공세는 보수세력이 유력언론과 (그리고 일부 좌파 진영과도) 야합하여 담론을 인위적으로 형성하는 것을 말한다. 담론 공세의 큰 계기가 된 사건은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 여자 아이스하키 남북단일팀 구성에 대한 20대의 유다른 반발이었다. 보수세력은 이 사건을, 견고했던 문재인정권의 지지율을 20대에서부터 무너뜨릴 기회로 삼았다. 문재인 대통령 취임사에서 ‘공정’이라는 말을 취해 문정권의 자가당착을 공격하는 키워드로 활용했고, ‘불공정에 분노하는 청년세대’를 호명하고 동원하기 위해 386세대를 청년의 적으로 제시했다.
보수세력의 이러한 담론 공세 전략은 조국 전 장관 검증 과정에서 붙은 시비와 이른바 ‘인국공사태’에서 절정에 달했고 특히 주효했다. 저자가 도표를 통해서도 보여주듯이 이 두 국면을 거치면서 ‘청년’과 ‘공정’을 연계하는 정치권 및 언론발(發) 담론이 폭증했다(231~40면). 담론에서 ‘무엇을 말하느냐’만큼 중요한 것이 ‘무엇을 말하지 않느냐’라고 저자가 강조한 것(239면)을 상기해야 한다. 조국 전 장관에 붙었던 ‘불공정’ 시비는 소위 엘리트 계층 전반의 ‘스펙 품앗이’, 상징자본 세습의 관례에 관한 진지한 논쟁으로 이어졌어야 했다. 하지만 당시 담론 공세는 조국 전 장관 개인과 일가족을 한국사회의 모든 불공정의 화신으로 만들었고, 그에 대한 사적 제재에 가까운 공격은 청년의 분노를 대변하는 것으로 둔갑했다. 인천국제공항공사 비정규직 직원의 정규직 전환을 둘러싼 ‘인국공사태’ 관련해서는 이른바 ‘꿈의 직장’이라는 말과 결부된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 격차와 불평등에 관한 문제가 함께 제기되었어야 했다. 하지만 당시 보도는 출처도 사실 여부도 불분명한 메신저 단체대화방의 ‘아르바이트 중 정규직 전환, 연봉 5천 소리 질러’에만 주목했고, 이는 불필요한 감정싸움의 기폭제가 되었다.
보수세력의 끈질긴 담론 공세 결과, ‘386세대〓기득권〓문재인정권〓민주당〓진보세력〓무능〓불공정〓위선〓내로남불’이라는 담론 사슬이 형성됐다. 그렇게 386세대가 ‘악의 축’으로 지목되었다고 저자는 말한다. 그 반대편에는 ‘청년〓2030〓MZ세대〓공정성의 희구〓불공정과 위선에의 분노’가 만들어졌다. 그렇게 청년세대는 반(反)정부의 첨병으로, ‘권력 비판의 핵심 병기’로 내세워지게 되었다. 하지만 예컨대 조국 전 장관을 잔뜩 비난하며 반정부의 시류를 탄 청년들 중 전임 법무부장관의 이름을 하나라도 댈 수 있는 사람은 얼마나 될까. 이러한 불균형은 담론 공세의 위력을 방증하는 것이기도 하다.
이 책은 여러 객관적 자료와 정밀한 분석으로써 386세대론과 청년세대론의 허구성을 폭로한다. 그리고 ‘일반화를 해선 안 된다’는 식의 교과서적인 비판에 머무르지 않고 데이터 분석을 통해 사용 단어의 빈도 및 비중을 시각적으로 비교하는 워드클라우드, 말뭉치를 분석해 여론을 형성했다고 볼 만한 주제를 뽑아내는 LDA 토픽모델링 등을 활용해 특정한 세대 호명과 그에 따라붙는 의미의 연쇄가 결코 자연히 주어진 것이 아니라는 점을 보여준다. 저자가 강조했듯이 담론은 세상에 대한 해석과 반응의 틀이다. 이 틀을 약간 비틀기만 해도 유권자 동원을 넘어 정권교체까지 가능하다는 것을 우리는 확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