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작과비평

창작과비평

정기구독 회원 전용 콘텐츠

『창작과비평』을 정기구독하시면 모든 글의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구독 중이신 회원은 로그인 후 이용 가능합니다.

 

김진경 金津經

1953년 충남 당진 출생. 1974년 『한국문학』 신인상으로 등단. 시집으로 『갈문리의 아이들』 『별빛 속에 잠자다』 『슬픔의 힘』 등이 있음. jinkyungeco@hanmail.net

 

 

 

봄 나무

 

 

세상을 다 살아본 뒤에도

몸이 남아 있으므로 살아야 하는

성자들의 표정 없는 슬픔처럼

나무들은 겨울을 난다.

 

눈이 가지를 덮고

녹아 흐르며 고드름으로 달려 빛날 때

나무는 찬찬히 오랜 노동으로 옹이진

제 손끝을 들여다본다.

 

나무는 기실

제 손끝을 보고 있는 게 아니라

한 슬픔의 끝을 보고 있는 것이다.

몸이 남아 있으므로 살아야 하는

모든 것들의 감금과 슬픈 노동을

 

나무는 필사적으로 보고 있는 것이다.

보고 있는 동안

옹이진 손끝에서 움찔움찔

마침내 날개를 접은 새 움이 돋는 것이다.

새잎이 파랑새처럼 작고 파란 날개를 펴는 것이다.

 

나무는 파랑새가

어디서 왔는지 묻지 않는다.

그것이 뭉툭한 가지에서 돋아난 건지

필사적으로 바라보는 시선에서

살짝 날아 앉은 건지 묻지 않는다.

 

 

 

이팝나무 꽃 피었다

 

 

1

 

촛불연기처럼 꺼져가던 어머니

 

“바─압?”

마지막 눈길을 주며

또 밥 차려주러

부시럭부시럭 윗몸을 일으키시다

 

마지막 밥 한그릇

끝내 못 차려주고 떠나는 게

서운한지

눈물 한방울 떨어트리신다.

 

 

2

 

그 눈물

툭 떨어져 뿌리에 닿았는지

이팝나무 한그루

먼 곳에서 몸 일으킨다.

 

먼 세상에서 이켠으로

가까스로 가지 뻗어

경계를 찢는지

 

밥알같이 하얀 꽃 가득 피었다.

 

 

 

나무가 악기인 것은

 

 

눈발이 가득히

바람에 불려간다.

허공이 거대한 모슬린천처럼

하얗게 겹쳤다 펼쳐지고

겹쳤다 펼쳐지고

그 너머로 나무들이

나타났다 사라졌다

위태롭게 껌벅인다.

나무가 악기인 것은

지워지지 않으려 온몸으로 울기 때문이다.

나무들이 우는 소리

능선을 넘어

온 산을 쏟아져 내리는 폭포를 이룬다.

나무가 악기인 것은

지워짐과 지워지지 않음을 넘어

전력을 다해 울기 때문이다.

눈 갠 하늘 아래

기진한 나무들이 하얗게 얼어붙었다.

녹아내린 눈이 가지 끝에 고드름으로 달려 흔들리며

풍경소리를 낸다.

나무가 악기인 것은

소리의 끝에서 무심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