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기구독 회원 전용 콘텐츠
『창작과비평』을 정기구독하시면 모든 글의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구독 중이신 회원은 로그인 후 이용 가능합니다.
논단
고구려의 ‘역사’와 동북아의 ‘현실’
이영호 李榮昊
인하대 사학과 교수. 저서로 『한국근대 지세제도와 농민운동』 등이 있음. yholee@inha.ac.kr
한·중·일 삼국간에 역사논쟁이 비등하고 있다. 한일간의 논쟁은 식민지 지배와 그 피해에 대한 배상 및 역사의식에 관한 것이다. 중일간의 논쟁도 마찬가지다. 한·중은 근대에 자행된 제국주의 일본의 침략과 가혹한 인권침해에 대하여 비판하고 그에 대한 일본의 반성을 요구하고 있다. 제2차 세계대전의 전범이 합사된 야스꾸니 신사(靖國神社)에 대한 일본정부 인사들의 참배를 반대하는 것은 바로 이 때문이다. 과거사에 대한 비판의 측면에서 한·중은 공동보조를 취해왔다.
한·중은 전통적으로도 우호관계를 맺어왔다. 대륙의 중원을 차지한 중국의 왕조에 대하여 때로는 반발하고 때로는 순응하였지만 한국의 정체성과 독자정권의 수립을 방해받은 적은 없다. 우리가 주로 받는 편이었지만 문화의 교류도 순조로웠다. 따라서 한·일 역사논쟁과 같은 한·중 역사논쟁이 일어날 줄은 예상하지 못했다.
그런데 2003년 여름 이후 양국간에 심각한 역사논쟁이 개시되었다. 논쟁은 무려 2천여년을 거슬러올라가 종족과 권력과 국가의 기원으로부터 시작해 오늘의 현실문제에까지 이른다. 중국측이 ‘동북공정’이라는 연구프로젝트를 발주하여 한중관계의 역사를 새로 쓰고 있다. 고구려를 중국의 지방정권으로 성격 규정하여 고구려에 대한 모든 역사적 연고를 중국의 것으로 삼으려 한다고 전해진다. 우리의 언론과 시민단체, 네티즌 들은 난리다. 역사를 바로잡겠다고, 고구려 역사를 지키겠다고 서명운동을 하고 시위도 벌였다. 중국의 패권주의를 비난하는 논설도 줄을 이었다. 국회의원들은 중국의 역사왜곡중단촉구 결의안을 냈다. 학자들도 춤을 춘다. 동북공정이 학문적 목적인가 정치적 목적인가, 중국 변경의 안정을 추구하는 수세적인 것인가 유사시 북한의 영토에 개입하려는 공세적인 것인가 논자마다 무게중심이 다르다. 동북공정의 실체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결핍되어 있기 때문에 대응책도 다양하다. 만주의 고토를 회복하자는 책임 못 질 국수주의적 견해도 나오고, 민족개념을 버리고 국사를 해체해야 한다는 반대방향으로도 가고, 동아시아사로 포괄하자는 견해도 있다. 정확한 판단 자료를 얻기 위해 먼저 동북공정의 실체부터 살펴보는 것이 좋겠다.
1. ‘동북공정’의 실체
‘동북공정’은 ‘동북변강역사여현상계열연구공정(東北邊疆歷史與現狀系列硏究工程)’의 줄인 말로서, 중국 동북 변경지역의 ‘역사’와 ‘현실’의 관계를 연구하는 프로젝트를 의미한다. 동북공정은 2002년 2월 28일, 약 23억여원(1500만 위안)의 연구비를 중국정부와 사회과학원, 동북 3성(지린성·랴오닝성·헤이륭쟝성)에서 공동부담하는 5년간의 연구프로젝트로 출범했다. 중국측이 ‘역사’문제는 명시하고 있으나 ‘현실’의 전략문제 공개는 꺼려하기 때문에 동북공정의 실체를 분명하게 확인할 수는 없지만 공개된 자료를 통해서나마 윤곽을 그려볼 수는 있다.1
거슬러올라가 1980년대 중국이 개혁개방정책의 방향으로 나아갈 때 특히 소수민족에 대한 정책이 문제로 되었다. 중국정부는, ‘통일적 다민족국가론(多民族國家論)’에 입각하여 한족(漢族)을 비롯한 56개 민족이 중화인민공화국이라는 사회주의 국가체제를 구축하고 있는데 개혁개방으로 인하여 변경 소수민족의 이탈가능성을 우려하지 않을 수 없었다. 그래서 1983년 사회과학원 직속 연구기관으로 ‘중국변강사지 연구중심(中國邊疆史地硏究中心,이하 ‘변강중심’으로 약칭함)’이라는 연구소를 설립하여 변경의 역사·지리·영토에 대한 연구를 시행하도록 하고, 이를 바탕으로 소수민족과 변경의 영토문제에 대한 정책을 수립하고자 하였다.‘변강중심’에서 수행한 초기의 과제는2 ‘중국근대변계연혁사’(1987~94)‘20세기의 중국변강연구’(1990~94)‘중국변강학개론’(1991~94) 등 역사적·현상적 또는 총론적인 것이다.
그런데 1989년 동구권의 붕괴는 사회주의사회에 큰 충격을 주었다.1991년에는 소련이 해체되면서 소수민족이 분리독립하였다. 소련 소수민족의 분리독립은 소련과 경계를 이룬 중국 서북부 변방의 동요를 가져올 가능성이 높아졌다. 중국은 이러한 사태를 접하고 개혁개방의 속도를 조절하는 한편, 변경의 동요를 막고 국가안전을 꾀하기 위한 조치의 일환으로 변경에 대한 조사연구를 본격화한다.
1990년 6월 중국사회과학원은 ‘변강중심’이 제출한 ‘당대중국변강계열조사연구(當代中國邊疆系列調査硏究)’를 중점과제로 선정하였다. 이것은 중국 변경에 대한 체계적이고 연차적인 조사연구의 출발점으로서 동북공정의 기원을 이루는 사업이다. 후에 동북공정의 핵심지도자가 되는 중국사회과학원 및 ‘변강중심’의 연구원 마 따졍(馬大正)이 줄곧 이 사업을 추진한다. 먼저 그 제1기 공정으로는3 소련과 국경선을 이루고 있는 신쟝(新疆) 위구르 자치구의 변경과 안정·발전에 관한 연구를 수행했다. 경제가 낙후되고 불평등이 심각한 신쟝에서 소련해체 후 불만이 표출될 가능성이 높았기 때문이다. 제2기 공정은4 서남부의 윈난성(雲南省)을 대상으로 하였다. 윈난은 버마·라오스·베트남과 국경을 이루고 있는 지역으로서 두 가지 문제가 있었다. 하나는 국경 삼각지대의 마약제조와 그 유입문제, 다른 하나는 윈난의 26개 소수민족이 결혼이나 가정의 양태를 달리하는 사회문제이다. 그래서 1994년 윈난지역의 사회안정과 경제발전에 관한 연구를 시작한다. 마약문제의 심각성 때문에 ‘변강중심’과 지역의 관련기관이 연합하여 1995년 10월 마 따졍을 책임자로 한 ‘중국변강지구 역사와 사회연구 윈난공작참’을 조직하는데, 이것은 후에 동북공정의 성립과정에서 모방된다. 이 윈난공작참에서 마약금지를 위한 대책 및 윈난 소수민족의 가정사회사 연구를 진행하였다. 제1·2기 공정의 연구는 모두 변경에서 일어나는 문제에 대한 즉각적인 대응의 형태로 추진된 것이다.‘국가안전’ ‘장치구안(長治久安)’을 목표로 한 이러한 국책연구는 국경문제만이 아니라 경제개발·사회문제·소수민족 관습문제 등도 포함하였다.
한편 1992년 한중수교 이후 한국인의 조선족사회 진출은 중국측을 긴장시키게 된다.1993년 한국인들은 대거 고구려와 발해의 유적을 답사하고, 고구려 특별전시회를 개최하기도 하였다. 국내에서는 큰 감동을 주었지만 중국측에는 긴장을 불러일으켰다.1993년 ‘고구려학술회의’에서 고구려의 역사적 귀속 문제를 둘러싸고 중국 학자와 북한 학자 사이에 설전도 있었다.1995년경에는 ‘고토 회복’을 외치는 답사단이 만주지방을 자주 다녔다.1996년에는 챵촨(長川)고분이 도굴당했다.5 중국사회과학원 부원장이자 동북공정의 책임자인 왕 뤄린(王洛林)은 이러한 사정이 동북공정의 추진배경이라고 주장한다.“근년래 소수 남북한 연구기구와 학자들이 중·조관계 역사의 연구에 사실을 왜곡하고 혼란을 조성하고, 소수정객이 정치목적으로 공개적으로 여러가지 여론을 선전해서 이미 우리에게 하나의 도전을 형성했다”는 것이다. 실질적인 주도자인 마 따졍은 1980년대 이래 동북변경 역사에 대한 연구성과와 더불어 “변강역사 연구의 도전과 변강안정현상의 도전”이 동북공정을 초래했다고 주장한다.6 더구나 조선족의 한국행, 탈북자의 증가 등은 북한과 국경을 마주한 지린성(吉林省) 옌酸(延邊) 조선족 자치주의 조선인사회를 크게 동요시켰다. 티베트의 분리독립운동과는 달리 모국을 가지고 있을 뿐 아니라 남북통일의 분위기 고조, 북한의 핵문제를 둘러싼 미·일·중·러의 이해관계의 착종은 조선족사회의 문제를 동북아의 핵심적인 문제로 부각시켰다.
이런 일련의 사건에 대하여 ‘변경중심’이 대응하기 시작했다.‘당대중국변강계열조사연구’의 제3기공정의 방향을 동북지방으로 틀었다. 한반도의 정세변화가 중국 동북지역, 특히 지린성 옌酸과 랴오닝성(遼寧省) 딴뚱(丹東)에 충격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1997년 ‘조선반도 형세변화가 동북지구안정에 미치는 충격’을 연구주제로 선정하고, 특별히 조선족 밀집지역인 옌酸에 촛점을 맞추었다. 연구의 중점은 ① 19세기 후반 20세기초 한반도의 동란 및 그 난민의 이동방향, ② 현재 지린성의 중국·북한 변경의 현황이다. 이 연구도 역시 마 따졍을 중심으로 착수되었다. ①은 지린성 당안관(檔案館,문서보관소)이 소장한,1862년부터 1911년까지의 중국·조선 국경관계자료를 수집하는 작업으로 구체화되어 1998년 완성하였다. 조선인의 만주·연해주로의 이주가 본격화된 시기부터 1909년 간도협약을 거쳐 신해혁명까지, 오늘날 조선족사회의 기원과 형성에 관한 자료를 정리한 것이다. ②는 지린성의 현 국경상황, 즉 두만강 경계를 조사하는 것으로서, 연구팀은 1997년 7월 고구려 유적지를 답사하는 한편, 백두산 천지를 비롯한 지린성 지역의 중국과 북한 국경지방, 그리고 국경 너머 북한의 선봉·나진 개발지역까지 시찰하였다. 이처럼 중국의 동북지방인 만주의 역사와 현실에 대한 연구는 근현대 조선족사회의 형성과정과 현 국경상황을 조사하는 것으로 시작된 것이다.
그런데 1998년 3월 12일 북한 전역에 전시동원상태가 선포되었다. 곧 연례적인 훈련으로 판명되었지만, 연구팀은 이것을 연구공정의 확대를 꾀할 명분으로 삼았다. 연구의 내용은 ① 조선반도 형세의 추이 조사연구 ② 중국과 조선의 역사상 쟁점문제로서 기자조선, 위씨조선, 고구려, 발해, 중·조변계(中朝邊界)의 형성과 계무(界務)교섭, 19세기 하반기 조선 난민의 중국 이주, 중국 조선족의 형성 등 역사적 연구 ③ 동북지구의 마약문제·종교문제·민족관계 등 쟁점문제 조사연구 ④ 대규모 탈북자의 출현가능성과 대책을 포함하는 것으로 크게 확대되었다. 여기서 연구범위가 현실문제로부터 시작하여 역사문제로, 특히 역사상의 국경문제로까지 소급되기 시작한 것을 알 수 있다. 고구려를 비롯한 한국 고대의 역사가 연구대상으로 본격 등장한다. 또한 탈북자의 문제, 남북한의 정세변화를 직접적으로 연구의 시야에 포함시키고 있다.‘변경중심’은 확대된 과제를 추진하기 위하여 동북지역의 연구역량을 동원하고자 하였다. 그래서 ‘중국변강지구 역사와 사회연구 윈난공작참’의 경험에 기초하여,1999년 ‘중국 변강지구 역사와 사회연구 동북공작참(東北工作站)’을 조직한 것이다. 여기서 잠정적으로 ‘동북변경의 역사와 현상 연구의 시급한 수요’에 대응하고자 하였다. 동북공작참은 ‘변강중심’의 주임 마 따졍이 고문, 연구원인 라이 셩(厲聲)이 참장을 맡았다.7
2001년 6월 왕 뤄린 중국사회과학원 부원장은 동북공작참의 활동을 정리·평가하는 ‘동북강역 역사와 현상 연구공작 좌담회’에서 ‘동북공정’의 창설과 추진을 결정하였다.8 이후 준비작업을 거쳐 2002년 2월 공식출범을 선포했다. 동북공정에는 동북 3성의 관련 학과·연구소·학자 들이 망라되었다. 조직도 가히 혁명적으로 확대되었다. 중국사회과학원 원장이 고문으로, 부원장이 책임자가 되고, 동북 3성의 공산당위원회의 간부들이 포진하고, 실질적인 연구는 ‘변강중심’의 핵심인 마 따졍과 라이 셩이 주도하였다. 중국사회과학원이 직접 나서서 ‘변강중심’과 동북공작참을 동원하고, 동북 3성의 현지 연구기관 및 학자와의 결합을 꾀한 것이다. 중국 상고의 찬란한 역사를 복원한 ‘하상주단대공정(夏商周斷代工程)’의 방식을 활용한 대규모 연구사업이 바로 이 동북공정인 것이다. 비용은 한국에 처음 알려진 3조원의 엄청난 규모가 아니라 5년간 23억여원이지만 그 규모는 작다고 할 수 없다. 동북공정은 마 따졍, 라이 셩 등 십수명의 연구원으로 구성된, 그리 크지 않은 연구기관인 ‘변강중심’이 책임과 실무를 맡고 연구프로젝트 형태로 발주된 국책연구사업이다.
동북공정의 연구과제는 2002년에는 기초연구와 응용연구를 포함한 연구류·번역류·문서자료류의 3대 계열로 분류되고,2003년에는 번역류와 문서자료류가 통합되었다. 과제의 계열과 과제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9
외형상 공모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번역류를 제외하고는 경쟁이 치열하여 채택률이 30% 이하이다. 공모신청에서 빠진 중요한 과제는 위탁과제로 선정되고, 차츰 공모과제를 줄이고 위탁과제를 증가시키는 쪽으로 연구를 조직하려 하였다.10
동북공정의 주요한 연구분야로 설정된 것은 “① 고대중국 변경에 대한 이론연구 ② 동북지방사 연구 ③ 동북민족사 연구 ④ 고조선·고구려·발해사 연구 ⑤ 중조관계 연구 ⑥ 중국 동북변경과 러시아 원동지구의 정치·경제관계사 연구 ⑦ 동북변경의 사회안정전략 연구 ⑧ 조선반도의 형세변화와 그것이 중국동북변경의 안정에 미치는 영향연구” 등이다.11 앞에서 언급한 동북공작참의 연구과제들이 여기에 확대, 분류, 조직화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⑦⑧의 현실분야 연구는 1997년부터 진행되어온 동북공정의 계기가 된 것들이다. ‘역사’연구로의 확대는 바로 이 ‘현실’문제 때문이었다.
2. 고구려 역사의 쟁점화
동북공정이 한국에 알려진 과정은 그 실체와 약간의 괴리를 안고 있다. 동북공정의 과정이 우리 학계에 즉각 알려지지 않았고, 또 알려진 후에도 문제의 심각함은 인식되지 못하였다.2002년 12월 한국고대사학회에서 ‘고구려사 연구현황과 과제’라는 학술발표회를 개최하였을 때 고구려사를 중국사로 간주하려는 중국학계의 입장이 소개되었지만 학술적 과제 이상의 현실적인 문제로 확대되지는 않았다.
그러던 중 2003년 6월 프랑스 빠리 유네스코 본부에서 열린 제27차 세계유산위원회에서,2001년 1월 북한이 신청한 고구려 벽화고분에 대한 세계문화유산 등록이 보류되는 사태가 일어났다. 북한의 신청에 자극을 받은 중국이 그동안 방치하였던 지안(集安)의 고구려 유적을 동북공정의 일환으로 대대적으로 정비하기 시작하고 이를 토대로 2003년 1월 세계문화유산 등록을 신청하였고, 이에 고구려 유적을 북한과 중국이 각각 신청한 결과가 됨으로써 양국의 것을 비교해야 한다는 중국측의 주장이 설득력을 얻어 북한의 신청이 보류된 것이다. 그 결과는 2004년 6월 중국에서 열리는 제28차 회의에서 결판나게 되어 있다.12 북한이 고구려 벽화고분을 세계문화유산으로 신청한 것은, 중국이 동북공작참을 동북공정으로 크게 확대, 개편할 뿐 아니라, 특히 한중간에 고구려 역사논쟁을 불러일으킨 결정적 계기가 된다. 그러나 동북공정의 연구과제는 결코 고구려에 국한된 것이 아니며 오히려 현실문제에 대한 집착이 훨씬 강하다는 점은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다.
동북공정을 중심으로 한 중국의 이러한 움직임은 2003년 7월 14일 중앙일보의 보도에 의하여 국내에 알려지게 되었다. 중앙일보는 ‘3조원’(약 200억 위안)을 투입하여 중국이 동북공정을 진행하고 있다는 것,2002년 7월에 개최된 고구려에 대한 토론회에서 향후 영토문제에 대한 대응으로 고구려를 중국 변방의 민족정권으로 정리했다는 사실을 보도한다. 기사의 제목을 ‘고구려를 중국사의 일부로’라고 뽑은 데서 보듯이 고구려사를 중국사에 편입했다는 것을 강조한 점이 주목된다.2002년 7월, 챵츈(長春)과 퉁화(通化)에서 개최된 ‘제2기 동북변강의 역사와 현상 및 고구려학술연구토론회’에서는 제목에 보이듯이 중국측이 ‘고구려에 대한 연구’를 별도의 항목으로 설정해 고구려의 중요성을 부각하고 있다. 중국측이 고구려사 연구에 자신감을 보이고 있는 대목이다.
고구려사에 대한 ‘새로운’ 시각의 연구는 마 따졍의 ‘고구려역사연구’ (1996~97)가 중국사회과학원의 중점과제로 설정되면서부터인 것으로 보인다.13변경연구의 핵심 중의 핵심이고 중국 각지의 변경에 대한 모든 프로젝트의 책임자로서 수많은 보고서를 작성한 마 따졍이 고구려사 연구를 시작했다는 것은 특기할 일이다. 아니 고구려사 연구를 주제로 삼은 것에 이미 동북공정의 방향이 암시되어 있다. 앞서 본 것처럼 그는 한국학자들의 연구와 고구려 유적답사를 “변강 역사연구의 도전과 변강 안정현상의 도전”이라고 보았고, 그래서 고구려 연구를 주도하고 나선 것으로 보인다. 고구려 연구는 이렇게 시작되어 2001년 『고대중국고구려역사총론(古代中國高句麗歷史叢論)』(마 따졍 엮음)으로 그 성과가 나온다.‘중국고구려’로 명명한 것에서 보듯이 고구려는 중국 고대의 역사로 규정되었다.14
고구려사의 중국사 편입 문제는 『신동아』 2003년 9월호에 실린 「중국은 왜 고구려사를 삼키려 하는가」에서 집중조명되었다. 여기서는 중국공산당을 대변하는 『꽝밍일보(光明日報)』 6월 24일자의 「고구려 역사연구의 몇가지 문제에 대한 시론」을 소개하여, 고구려를 중국 동북지역에 있는 변방민족의 역사로 보는 중국측의 입장을 분명하게 폭로하였다. 그리고 10월 12일의 KBS 역사스페셜 「한중 역사전쟁―고구려는 중국사인가」는 중국의 고구려사 편입의 양상을 선명하게 선전함으로써 여론을 크게 환기하였다. 이들 기획은 한반도의 통일 이후 조선족사회가 동요할 가능성에 대비하여 중국이 고구려사를 중국사에 편입하려 한다고 보았다.
‘일본교과서바로잡기운동본부’에서는 10월 31일 ‘한중 역사전쟁, 고구려사가 침략당하고 있다’라는 주제로 긴급토론회를 개최하였다.11월 15일에는 백산학회에서 ‘국내성 천도 2000주년 기념 고구려국제학술대회’를 개최하였는데, 불참한 중국학자가 고구려를 소수민족의 지방정권이라고 주장한 논문을 제출하였다. 우리에게는 새롭고 심각했지만 중국에서는 이미 통설의 수준으로 육박해가고 있는 주장이다.‘한국고대사학회’를 비롯한 17개 한국사 관련 학회는 12월 9일 ‘중국의 고구려사 왜곡 공동대책위원회’를 구성하여 중국의 고구려사 왜곡 중단, 외교통상부의 중국에 대한 항의, 고구려사 연구쎈터의 설립, 북한의 고구려 고분군의 세계문화유산 등록을 위한 정부의 협력을 촉구하는 성명서를 발표한다. 이후 ‘한국고대사학회’ ‘고구려연구회’ 등 고대사 관련 학회에서 중국의 고구려사 왜곡을 비판하는 발표회를 연이어 개최했다.15
역사학계는 전반적으로 동북공정의 핵심을 ‘고구려 역사’의 문제로 보고 있다. 중국측이 고구려의 역사적 연고권을 확보한 뒤 미래의 동북아 정세변동에 대응하려 한다고 보고, 고구려 역사의 ‘탈환’을 대응방식으로 설정하고 있다. 동북아의 현실문제가 고구려의 역사문제로 귀착됨으로써 고구려의 역사를 중심으로 한 역사논쟁은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지만, 고구려 이외의 역사와 동북아의 현실에 대한 논의는 대단히 소홀해져버렸다.
3. ‘역사’와 ‘현실’
다시 정리해본다면 중국은 개혁개방 이후 소수민족의 이탈가능성을 우려하여 문제가 발생하거나 발생할 소지가 있는 변경에 대해 역사와 현실 그리고 사회문제에 대한 조사와 연구를 사회과학원 산하의 ‘변강중심’이 주도적으로 진행하도록 하였다. 소련의 붕괴와 소수민족의 분리독립에 의하여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높은 신쟝 위구르 자치구, 마약제조 및 유입의 사회문제가 발생한 윈난성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한중수교 이후에는 조선족사회의 불안 및 북한의 정세변화에 대처하기 위해 동북부의 현실을 조사하기 시작하고, 한국인의 고구려 열광에 대응하면서 그 대상을 역사문제로 확대하였다. 고구려 유적의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록문제는 촛점을 더욱 고구려 역사로 이동시켰다.
‘동북공정’은 과장할 것도 무시할 것도 아니다. 동북공정은 중국사회과학원의 연구과제 가운데 대형·중점 연구이지만, 기본적으로 공모형태의 연구프로젝트이며, 사회과학원이나 ‘변강중심’이 이 연구에만 전적으로 매달리는 것도 아니다. 그러나 ‘변강중심’의 수많은 연구과제가 마 따졍을 비롯한 소수 인원이 현지 연구인력과 결합하여 소규모로 진행해온 것과는 달리, 동북공정은 별도의 공정으로 설정하여 특단의 재정지원을 할 뿐 아니라 동북지방 각 학과와 연구기관의 수많은 연구자들이 과제연구에 참여하고, 그 연구의 범위가 이론과 민족의 기원에서부터 현실에 이르기까지 광범하고 포괄적이라는 점은 다른 연구사업과는 크게 구별되는 점이다. 중요한 점은 동북공정이 표면적으로는 고구려를 비롯한 역사문제를 더 부각시키고 있지만 내면적으로는 현실문제와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는 점이다.
동북공정은 중화인민공화국의 국가안보를 연구의 중요한 목표로 삼고 있다. 즉 “동북공정의 직접적인 목표는 국가의 장치구안(長治久安), 국가통일, 민족단결, 변경안정의 대목표에서 출발”한다고 선언한다.“동북변경이 중국 변경조직의 일부이며 동시에 통일적 다민족국가에서 분할할 수 없는 구성부분임을 인식”하여 그것을 지키는 데 있음을 명백히 하고 있다.“학술문제를 정치화하는 것을 반대한다”고 표명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동북공정이 학술에서 시작하여 정책으로 귀결되는 것은 분명하다. 동북공정의 “기초연구와 응용연구를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연구를 심화시켜 국제적 도전에 응하도록” 촉구하고 있는데, 비공개인 ‘응용연구’는 바로 현실문제에 대응하기 위하여 설정된 것은 틀림없다.16 과감한 재해석을 통하여 기왕의 학설을 뛰어넘을 것을 주문한다든지,“연구에는 금역이 없으나 선전에는 기율이 있다”는 원칙을 견지한다든지, 말을 적게 하고 일을 많이 해야 한다고 촉구하는 것에서 보면,17 학술의 정치화 양상을 분명히 읽을 수 있고, 고구려 역사에 대한 재해석은 그 한 측면인 것이다.
중국은 ‘통일적 다민족국가론’의 논리로18 현재 중국의 영토에 포함된 56개 민족의 역사를 모두 중국의 역사로 본다. 현재의 소수민족 모두를 ‘중화민족’으로 보는 것이다. 이것은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의 수립에서부터 제기된 것으로 체제안보와 직결되어 있다. 현재의 국경선을 옹호하므로 중국의 동북에 대해서도 그러한 입장에서 말갈·여진·만주 등의 족속과 나라는 모두 중화민족의 역사에 포함된다. 중화인민공화국의 현실이 과거의 역사와 민족과 국경을 규정하는 기준이다. 그런 점에서 남북한의 국경도 존중되어왔다. 역사적으로는 중국과 남북한의 국경을 넘어 걸쳐 있는 고구려사에 대하여,1950~60년대에는 고구려의 독립성을 인정하고 고구려사를 한국의 역사로 보았다. 그러나 1980년대 개혁개방 이후 소수민족 이탈가능성을 봉쇄해야 하는 과제에 직면하여 고구려가 중국의 속국이었다는 관점이 두드러졌다. 그리고 1990년대 중반 이후 본격적으로 고구려 역사를 중국의 변경민족정권으로 보는 관점을 확립하였다. 변경문제에 대한 중국의 현상유지적 해석이 공세적 해석으로 전환되고 있음을 볼 수 있고, 동북공정은 그것을 강화하고 있다.
고구려 역사를 둘러싼 한중간의 논쟁에 대하여, 근대에 만들어진 상상의 공동체로서의 ‘민족’ 개념을 그것이 없던 고대사에 적용하는 것은 시대착오적인 것이라고 주장하는 탈민족주의론은,19통일적 다민족을 ‘중화민족’으로 규정하여 고대로 소급하는 중국의 민족관에 대한 통렬한 비판이다.‘중화민족’은 정말 중화인민공화국 이전에는 존재하지 않은 창조된 민족임에 틀림없다. 그러나 국사·민족의 굴레에서 변경 소수민족의 역사를 해방해야 한다면서 고구려를 놓아주자는 주장에는 공감할 수 없다. 끊임없는 회유와 통합, 정벌과 지배에도 불구하고 정체성과 독립성을 유지하면서 역사와 문화계승의 피나는 노력을 통하여 중국 변경의 끝자락에서 어렵게 국가형태를 유지해온, 소수민족 역사의 실체화가 바로 우리 역사이기 때문이다. 중국이 현재의 국경선을 존중하여 역사를 정리하는 입장이라면 전근대사회의 민족과 국가의 넘나듦은 역사로 남겨두는 것이 옳다. 우리와 같은 소수민족의 역사를 새로 창출한 ‘중화민족’의 역사로 편입하여 ‘신중화주의적’ 민족단결의 소재로 삼을 것이 아니라, 중국의 변경지역에 존재한 수많은 소수민족의 역사를 그 자체로 인정하는 것이 실사구시의 옳은 태도다.
한국사를 한민족의 역사로 보지 말고 동아시아 관점에서 재구성하자는 주장도 있다. 한국의 고구려도, 중국의 고구려도 아닌 ‘동아시아 고구려사’로 보자고 한다. 유럽 각국이 민족주의에서 탈피하여 유럽사의 맥락에서 자국사를 재구성한 것을 모델로 삼아, 한·중·일도 “제국주의적 발상에서 벗어나,21세기에는 평화와 공동의 번영을 위한 동아시아공동체의 건설”로 나아가자고 한다.20정말 옳은 말이다. 문제는 중국이나 일본이 이것을 제창하더라도 중화체제와 대동아공영권의 악몽을 경험한 우리로서는 반신반의할 터인데, 남북분단의 현실에서 이 제안이 어떤 반향을 일으킬 수 있는가? 중국과 일본의 시민사회, 학술·지성계의 사고전환을 어떻게 촉구해야 할 것인가가 문제이다. 중국인이 셍까꾸(尖閣,중국명은 땨오위따오釣魚島)열도에 상륙을 시도함으로써 중일간의 영토분쟁을 촉발하고, 일본인이 독도에 상륙하려 함으로써 한일간의 영토분쟁을 야기하려는 작금의 현실에서는 더욱 그러하다.
동북공정은 동북아시아 현실의 변화에 대처하려는 중국의 국가안보전략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동아시아에서 전근대의 중화체제는 근대 일본의 대동아공영권 구상으로 전환되었다가 수십년간의 냉전, 그리고 세계화의 세례를 받으면서 새로운 질서의 재구축을 향해 나아가고 있다. 남북한의 통일문제를 중심으로 중·일·미·러의 이해관계가 착종되고 있다. 남북한이 통일의 길로 갈 수 있는가, 통일의 길로 갈 경우 흡수통일, 전쟁통일, 협상통일,21아니면 어떤 다른 방법의 통일이 가능한가에 따라 동북아의 상황은 매우 유동적이다. 여기에 중·미의 패권주의적 전략이 맞부딪치고 있고, 미국의 후원하에 일본의 응전이 강화되고 있다. 현상유지를 전제로 한 동북아의 평화와 번영에 찬물을 끼얹는 국지적 영토분쟁이 빈발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따라서 중·미의 애국주의적 패권주의 세계전략을 분쇄하는 학문적 노력이 절실하다. 동북아시아 시민사회의 연대와 비판도 이 점으로 향해져야 한다. 그런 점에서 동북공정이 학문적 범위를 넘어서는 것에 대하여 가차없는 비판을 가해야 한다. 동북공정이 영토에 대한 욕망을 은폐하면서 그것을 위한 역사적 명분을 축적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면, 그것이야말로 동북공정에서 스스로 배제한다고 선언한, 학술문제를 정치문제화하는 것으로서 비판받아 마땅하다.
고구려를 중심으로 부각된 국내의 논의도 시야를 넓혀야 한다. 동북공정을 중국이 고구려사를 편입하는 데 목표가 있다고 보고 그것을 한국 국가·민족사의 영역으로 ‘탈환’해오면 문제가 해결된다고 보는 것은 좁은 시각이다. 동북공정은 어디까지나 현실문제에 대한 지극한 관심을 배경으로 하는 것이다. 근현대의 역사, 그리고 국제법적 관계 등 현실에 가까운 문제에 대한 연구가 더욱 시급하다. 나아가 영토문제뿐 아니라 국가와 민족 상호간의 관계와 교류에 대한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그리고 학문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역사와 현실은 상호 긴장관계에 있다. 그 긴장이 한편으로 치우쳐, 현실의 욕망을 위하여 역사가 왜곡되고 악용되는 일은 피해야 한다. 역사가 공헌해야 할 그 현실은 평화와 공존을 지향해야 하는 것이 아니겠는가.
__
- 동북공정에 대한 한국의 연구로는 송기호 「중국의 한국고대사 빼앗기 공작」, 『역사비평』 2003년 겨울호; 윤휘탁 「현대중국의 변강·민족 인식과 ‘동북공정’」, 『역사비평』 2003년 겨울호; 신형식 「중국의 동북공정의 허실」, 『백산학보』 67,2003; 이인철 「중국의 고구려사 편입과 한국의 대응전략」, 『백산학보』 67,2003; 최광식 『중국의 고구려사 왜곡』, 살림 2004; 월간중앙역사탐험팀 『광개토대왕이 중국인이라고?』, 중앙일보시사미디어 2004 참조.↩
- ‘변강중심’ 「1987~2002年度 課題一覽」(www.chinaborderland.com).↩
- ‘변강중심’ 「新疆博爾塔拉蒙古自治州邊界與民族關係調査硏究」(1991) 「海南省海疆管理和南沙海域現狀調査硏究」(1992) 「新疆穩定與發展若干問題的平價與建議」(1993).↩
- ‘변강중심’ 「云南邊疆地區穩定與發展現狀及其對策」(1994) 「云南禁毒工作追踪調査硏究」(1995) 「泰國‘改植工程’與云南‘替代與式’的比較硏究」(1998).↩
- 송기호, 앞의 글 177~79면.↩
- 馬大正 編 『中國東北邊疆硏究』,中國社會科學出版社2003,4면,14면.↩
- ‘변강중심’ 「朝鮮半島形勢的變化對東北地區穩定的靚擊」(1997) 「中國社會科學院中國邊疆地區歷史與社會硏究 東北工作站工作議」(2000.5.25); 윤휘탁, 앞의 글 191면.↩
- 王洛林 「加强東北邊疆硏究, 促進學科建設」,馬大正 編 『中國東北邊疆硏究』,中國社會科學出版社2003.↩
- ‘변강중심’ 「東北工程2002年度工作總結」 「第一批通過立項課題」 「第一批飜譯類課題一覽表」 「第一批檔案類課題一覽表」 「東北邊疆歷史與現狀系列硏究工程課題指南」. 연구과제의 제목은 생략한다. 2002년의 연구과제 제목은 윤휘탁, 앞의 글 194~95면, 2003년의 연구과제는 송기호, 앞의 글 161면 참조.↩
- ‘변강중심’ 「1987~2002年度 課題一覽」; 馬大正 「關于‘東北邊疆歷史與現狀系列硏究工程’的數介問題」, 馬大正 編 『中國東北邊疆硏究』, 中國社會科學出版社 2003, 18면.↩
- ‘변강중심’ 「東北工程簡介」; 번역본은 최광식 『중국의 고구려사 왜곡』(살림 2004)의 부록 「동북공정의 개요」 참조.↩
- 허권 「유네스코의 선택, 한국이냐 중국이냐」, 월간중앙역사탐험팀 『광개토대왕이 중국인이라고?』, 중앙일보시사미디어 2004.↩
- ‘변강중심’ 「1987~2002年度 課題一覽」.↩
- 고구려 역사의 귀속에 대한 중국학자의 견해는 중국귀속, 중국과 한국 이중귀속이 압도적으로 많고, 한국귀속은 소수견해로서 소멸되어가는 추세이다. 쑨 진지(孫進己) 「중국 고구려사 연구의 개방과 번영의 6년」, 『고구려의 역사와 문화유산』, 중국의 고구려사왜곡 공동대책위원회의 국제학술심포지엄(2004.3.26) 참조.↩
- 여호규 「중국의 고구려사 왜곡에 대한 대응과정과 향후 전망」,한국고대사학회 『중국의 고구려 유적 정비현황과 고구려사 왜곡에 대한 대응방안」(2004.1.30); 최광식 「고구려사 왜곡에 대한 대처과정」, 최광식 『중국의 고구려사 왜곡』, 살림 2004.↩
- ‘변강중심’ 「東北工程簡介」.↩
- 馬大正 編, 앞의 책 緖論篇 참조.↩
- 여호규 「중국학계의 고구려 대외관계사 연구현황」, 『한국고대사연구』 31호(2003); 이인철, 앞의 글 참조.↩
- 임지현 「국사의 안과 밖―헤게모니와 국사의 대연쇄」, 『국사의 신화를 넘어서』, 휴머니스트 2004; 임지현 「국가주권과 역사주권의 사이에서」, 한양대 비교역사문화연구소 심포지엄자료집 『근대의 국경, 역사의 변경』(2004.4.23).↩
- 김기봉 「매트릭스 사관에서 탈피, 동아시아로 보자」, 월간중앙역사탐험팀 『광개토대왕이 중국인이라고?』, 중앙일보시사미디어 2004; 「시대착오적 역사해석에서 탈피하라―역사전쟁 부르는 ‘한중 고구려사 논쟁’에 부쳐」, 『교수신문』 2003년 12월 22일자; 「민족사관 대(對) 동아시아사관: 탈민족주의에서 바라보면」, 『중앙일보』 2004년 1월 20일자 참조.↩
- 『경향신문』 2004년 1월 11일자의 ‘원로 연속인터뷰 강만길’ 「남북공조로 ‘협상통일’ 향해 나아가야」 및 『경향신문』 2004년 2월 9일자의 강만길 「中은 왜 고구려를 뺏으려 하나」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