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작과비평

창작과비평
촌평

 

정호승 『포옹』, 창비 2007

‘희망’이라는 반(反)활음조

 

 

조강석 趙强石

문학평론가 outeast@hanmail.net

 

 

포옹기호와 지시대상의 관계가 자의적일 뿐이라는 사실을 치명적으로 깨닫는 것은‘희망’을 발음할 때이다. 우리는 습관처럼 길을 묻고‘희망’을 더듬는다. 그러나 의외의 곳에서, 선의로 오래 공들이며 확보해온 마음의 한 조차지(租借地)에서 새삼 이 자의성이 승인됨을 확인하는 것은 곤혹스러운 일이다. 인식의 지도라면 엄밀함과 집요함으로, 선의지(善意志)라면 단정하고도 다부진 일념으로 새것을 도모할 수 있으련만,‘희망’은 지금 하나의 미적 사태가 되어 있다. 한편으로는 세계의 어둠에 묻혀 있어 가늠되지 않으며, 또 한편으로는 그 반대로 현실의 굳고 무심한 사태들을 협착한 내면에 연착륙시키고 이를 의지적으로 발화하는 데 유용한 활음조(euphony)로만 기능하기 때문이다. 새삼,‘희망’이란 기호로 우리는 무엇을 지시할 수 있을까?

 

나는 젖지 않는 물이다

봄이 와도 뿌리에 가닿지 못하고 지금까지 젖지 않는 물처럼 살아왔다

(…)

물은 딱딱하다

젖지 않는 물은 늘 딱딱하다

딱딱한 물을 헤치고 청둥오리 한 마리 웃으면서 다가와 내 손을 잡는다

청둥오리가 평생 자맥질을 하며 이끄는 길

그 푸른 물의 길은 어디인가

청둥오리는 끝내 나를 데리고 물속으로 들어가지 못하고

저 멀리 강둑 위에 용서할 사람과 용서받을 사람의 그치지 않는 싸움을 바라본다

바람이 분다

(…)

나는 청둥오리의 손을 놓고 등뒤에서라도 더욱 너를 껴안기 위하여

자맥질을 하면서 딱딱한 강물 속으로 더 깊이 들어간다

-「젖지 않는 물」 부분

 

정호승(鄭浩承)은 새 시집 『포옹』에서 “나는 젖지 않는 물이다”라고 말한다. 이는 “돌파구를 찾는 순간 또 돌파구를 찾아야 하는”(「돌파구」) 삶,‘희망’에 관한 한 잠시의 계류(繫留)도 부덕이 되는 삶에 대한 반성적이며 동시에 실용적인 거리두기에서 비롯된 통찰이다. “봄이 와도 뿌리에 가닿지 못하”지만 습관처럼 품어보는‘희망’, 바로 그‘과잉’을 유보하는 태도에서, 즉‘희망’에 채근당하는 것을 멈추는 것에서 시적 발화의 주된‘물길’이 열린다. 그러니까, 어느정도 역설을 포함하더라도, 이 시집에서‘희망’은‘반(反)활음조’로 기능하고 있다고 말해야겠다. 없어서 없는 것, 단단한 현실을 섣불리 부드럽게 매만지게 하지 않기에 상당한 것, 아직 여기 없기에 바로 그‘없음’이 돋을새김되게 하는 것, 이 시집에서‘희망’은 바로 그런 것으로 지시되고 있다. 시집에 사용된 표현을 빌리자면 “문 없는 문”“집 없는 집” 같은 기표로 지시되면서 희망은 새로운 인식의 방편이나 샘솟는 선의지의 길잡이가 되지 않고 다만 미적 대상 고유의 자리에 지정되고 있다. 규정 없음과 선의(善意) 없음으로 인해 오히려 삶에 대한 진실한 성찰을 불러일으키는 것이 시적‘희망’의 기호적 역능이 아닐까? 대체로 적요한 분위기에서도 이 시집에 현실주의와 낭만주의가 교차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는 이유는 바로 이 때문이다.

『포옹』에는 눈에 띄는 딜레마가 하나 있다. “지금까지 내가 살아온 것은/바다가 보이는 여관방에 누더기 한 벌 걸어놓은 일”(「누더기」)이라거나 “산다는 것은 결국/낡은 의자 하나 차지하는 일이었을 뿐”(「낡은 의자를 위한 저녁기도」)이라고 고백하고, “내가 휘청거리면서 그래도 쓰러지지 않는 것은/내 눈물에도 마디가 있기 때문”(「마디」)이라고 다독이며 녹록하지 않은 현실을 시 속에 고스란히 부려놓는 목소리에는 진정성이 담겨 있으나 그 진정성은 직접성을, 즉 꿈쩍않는 “딱딱한” 현실을 시에 그대로 배달할 때 생기는 위기를 품고 있다. 이것이 위기인 이유는 이 직접성 속에서 의지의 조울증이 배태되기 때문이다.

예컨대 한편으로는 “부디 다시는 태어나지 말라고/태어나지 않은 날이야말로 내 생일”(「생일」) “그동안 내가 즐겨 입고 다닌 옷/모두 수의”(「수의」) “가방 속에 구겨져 있으면 인간이 되지 않아서 좋다”(「가방」) 같은 구절들이나 “죽으면 내 가죽으로 구두 한 켤레 만들어”(「다시 벗에게 부탁함」)달라고 호소하는 대목에서 보듯, 삶에 대한 냉소와 죽음충동, 좀더 정확히 말하자면‘희망’에 지친 자의 피로가 낳는 무기물 귀환충동이 바로 이 직접성에 담겨 있다. 그런가 하면 반대로 “진정으로 살아보지도 않은 채 죽어간다는 것이/그 얼마나 어리석은 일인가를”(「무인등대」) 같은 구절에 대표적으로 나타나듯, 죽음조차 충만한 의미로 건사하려는 의지 역시 이 직접성 속에 팽배해 있다. 삶을 매개 없이 시에 바로 끌어오는 고백의 직접성 속에서 충동 혹은 의지 들이 충돌하고, 이는 서정의 위기를 낳는다. 진술이 너무 느슨해지거나 문맥 외적인 의지가 과도해지기 때문이다. 여기에 진정성과 직접성의 딜레마가 놓여 있다.

때로 어떤 시인들은 삶을 직접적으로 시 속으로 불러들이고 이 직접성의 위기를 수사적 아포리아로 극복하려 혹은 치장하려 한다. 또 어떤 시인들은 삶의 난관을 시적 아포리즘으로 넘어서려 한다. 그러나 삶이 그 무슨 오관(五關)의 돌파겠으며 시가 어찌 통과의례의 낙죽(烙竹)일 수 있겠는가. 전자는 (시적 언어라는) 매개의 오용이요 후자는 매개의 남용이다. 만약 그것이 낙죽일 수 있다면 아포리즘이나 위약(placebo)이 아닌 방식, 아포리즘적 교훈이나 성급한 화해가 아닌 방식으로‘상처의 낙죽’(「낙죽」)이 되어줄 뿐이다.

 

뼈로 만든 낚싯바늘로

고기잡이하며 평화롭게 살았던

신석기 시대의 한 부부가

여수항에서 뱃길로 한 시간 남짓 떨어진 한 섬에서

서로 꼭 껴안은 채 뼈만 남은 몸으로 발굴되었다

그들 부부는 사람들이 자꾸 찾아와 사진을 찍자

푸른 하늘 아래

뼈만 남은 알몸을 드러내는 일이 너무 부끄러워

수평선 쪽으로 슬며시 모로 돌아눕기도 하고

서로 꼭 껴안은 팔에 더욱더 힘을 주곤 하였으나

사람들은 아무도 그들이 부끄러워하는 줄 알지 못하고

자꾸 사진만 찍고 돌아가고

부부가 손목에 차고 있던 조가비 장신구만 안타까워

바닷가로 달려가

파도에 몸을 적시고 돌아오곤 하였다

-「포옹」 전문

 

시가 삶의 고단함과 피로감 그리고 그에 따른‘무기물-충동’을 전달하는 것을 넘어, 즉 곤경의 확대를 조성하고 성급한 화해를 권유하는 직접성을 넘어 독자를 위무할 수 있다면, 그것은 경구(警句)나 위약을 통해서가 아니라 현실을 매개하며 삶의 곤경을‘시적 현실’로 벼릴 때 생기는 거리를 통해 상처를 돌볼 수 있게 하는 시적 언어 고유의 직능 때문이다. 이런 맥락에서 표제작 「포옹」은 눈여겨볼 만하다. 여기에, 가없는 시간의 지평에 시선을 둠으로써 상처를 위로받고 대신 그 힘으로 다시 삶의 구체성을 부감하는 현장이, 추상과 구체가 언어를 매개로 교환되는 장면이 있다. 이 시는, 추상적으로는 영원성이라는 지평에 비추어본 삶과 죽음의 문제를 환기하며 예의 그 적요한 분위기를 유지하고 있지만, 좀더 구체적으로는 타자의 삶에 대한 눈에 보이는 실증들 앞에서도 타자를, 타자의 존재감을, 타자의 삶을 그려내지 못하는, 그래서 몰염치에까지 이르는 상상력 결핍의 문제를 구체적 이미지를 통해 제시하고 있다. 정호승 특유의 서정시가 빛을 발하는 대목은 바로 이런 곳이다.

조강석

저자의 다른 계간지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