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작과비평

창작과비평

정기구독 회원 전용 콘텐츠

『창작과비평』을 정기구독하시면 모든 글의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구독 중이신 회원은 로그인 후 이용 가능합니다.

문화평

 

그때가 그리운 사람들, 관람불가

영화 「그때 그 사람들」

 

 

성은애 成銀愛

단국대 인문학부 교수, 영문학 easung@dku.edu

 

 

 

박지만의 상영금지가처분 소송과 영화 앞뒤의 일부를 잘라내라는 법원의 판결 때문에 이런저런 말들이 많았던 임상수(林相洙) 감독의 「그때 그 사람들」은 소송과정에서 알려졌다시피 1979년 10월 26일 박정희 전 대통령 시해사건이 일어났던 그 하루저녁의 일을 다룬다. 이 영화가 역사적 현실을 얼마나 왜곡했는가, 나아가서 그것이 얼마나 박정희 개인에 대한 명예훼손이 되는가를 판단하는 것은 법률상의 문제이지만, 평범한 관객인 나로서는 사실 법적인 문제에는 별 흥미가 없다. 여자 끼고 술 먹다가 자기 측근에게 총 맞아서 18년 독재를 허무하게 마감지은 것이야 누구나 다 알고 있는 엄연한 ‘사실’일진대, 거기서 더 ‘훼손’될 명예가 남아 있기라도 하더냐.

그러니 이 영화의 사실 정합성에 관한 논란은 촌스럽다. 영화의 앞머리에 이 영화가 실제의 역사적 사건에서 모티프를 얻긴 했지만, 세부사항은 모두 ‘허구’라고 밝히고 있단 말이다. ‘허구’라잖아. 당연하지, 그 당시엔 ‘쿨한 년’ 따위의 말은 있지도 않았으니까 말이다. 중요한 것은 그 역사적 사건이 있던 그날에 대해서 이 영화가 어떤 자세를 취하고 있는가 하는 점이다. 그리고 그 시선이 10·26을 바라보는 기존의 시각과는 다른, 아주 새로운 세대의 것이라는 점이다. 그 시절을 어떤 편에서든 나름대로 절실하게, 때로는 고통스럽게 살아온 사람들에게는 그 새로움이 불편할 수도 있지만 말이다.

 

The Quarterly Changbi

 

이 영화의 새로움은 10·26에 대한 그 모든 진지한 접근을 거부한다는 점에 있다. 잘려나갔다는 앞부분과 등장인물의 후일담을 이야기하는 결말부분을 제외하면 이 영화는 대체로 중앙정보부에서 의전을 담당하던 주과장(한석규 분)의 시선에 의지하고 있다. 주과장은 그 복잡한 씨스템에서 도대체 무슨 일이 벌어지는지 아무 영문도 모르는 피라미드의 밑변과, 그 모든 일을 기획하고 조작하는 꼭대기 양쪽을 다 아우르며 중간에서 뒤치다꺼리를 해야 하는 위치에 있다. 이런 중간적 인물은 눈치 빠르게 굴어야 살아남지만, 또한 제아무리 똑똑하게 굴어도 결국엔 하기 싫은 일, 시키기 싫은 일, 치사하고 더러운 일을 도맡아 해야 하는 난감한 처지이다. 「이중간첩」과 「주홍글씨」가 뭉개지면서 재기가 불투명했던 한석규는 껌 씹는 주과장 역할에서 비로소 제 궤도를 찾은 것으로 보이는데, 김재규 중앙정보부장(백윤식 분)이 시키는 대로 해야 하는 주제에, 자신의 일에서 늘 한발 물러나서 자신의 인생은 맨날 왜 이 꼬라지냐고 구시렁구시렁댄다. 이 냉소적인 주과장의 캐릭터는 바로 그 당시를 바라보는 감독의 시선과도 맞닿아 있다. 우리 현대사는 왜 이 꼴이며, 도대체 우리가 뭘 믿고 저런 자들 밑에서 그렇게 오랫동안 살아왔느냐는.

‘할아버지’ 혹은 ‘어르신’이라고 불리는 대통령(송재호 분)은 실제의 박정희보다 훨씬 온화한 인상의 노쇠하고 외로운 독재자이다. 과장하기에 따라선 훨씬 험악한 성격파탄자로 그릴 수도 있었을 텐데, 오히려 많이 봐준 거 아닌가 모르겠다. 김재규는, 나중에 취조과정을 지켜본 전두환이 중얼거리듯 ‘미친놈’도 아니지만, 그렇다고 일각에서 말하듯 ‘애국자’라거나 ‘민주투사’도 아니다. 그가 대통령에게 총을 들이밀게 된 과정은 꽤나 우스꽝스럽고, 심지어 알쏭달쏭하다. 그가 ‘민주주의를 위해서 야수의 심정으로’ 그에게 총을 쏘았다고 진술할 때, 그 진술은 비장하기는커녕 화장실에서 변비로 낑낑대며 ‘오늘은 되는 일이 없네’라고 중얼거리는 그의 모습과 오버랩되면서 매우 코믹한 효과를 자아낸다. 경호실장 차지철이나 비서실장 김계원의 주접스러움은 말문이 막힐 정도다. 내가 보기에 명예훼손으로 영화사를 고소할 사람은 박지만이 아니라, 영화 내내 간사한 쪼다로 묘사된 김계원의 가족들인 듯싶다. 대한민국 육군을 책임지는 정승화 육군참모총장(정종준 분)의 어수룩함은 육군본부 앞에서 헌병(홍록기 분)에게 망신을 당할 때 절정에 이른다. 한마디로 한 나라를 운영하는 핵심에 있는 사람들 모두가 우리가 보기엔 막말로 ‘지랄하고 자빠진’―이는 주과장이 내내 입에 달고 사는 말이다―형국인 것이다.

그렇게 묘사된 유신 말년의 그 치명적인 하룻밤은 어이없고 혼란스러우며 부조리하다. 도대체 우리가 정말 저런 인간들에게 나랏일을 맡기고 살았던가 하는 생각이 들게 하는 것이다. 감독은 사실과 과장의 경계를 묘하게 넘나들면서 사반세기 전 그 가을의 하루를 우리에게 보여주고는 이렇게 말한다. 결국 자세한 것은 모르지만 사태는 이런 거 비슷하지 않았겠느냐고, 우리가 그렇게 말도 안되는 시절을 살았다고, 그때는 나라가 망할 듯이, 하늘이 무너지고 땅이 꺼진 듯이 소란스러웠고, 또 한편에선 ‘겨울공화국’이 마침내 끝나고 민주주의의 봄날이 온 듯이 요란했지만 결국 냉정하게 보면 이런 거 아니었겠느냐고, 그런데다가 그 천박하고 촌티나는 체제의 잔재와 유령들이 여전히 우리 사회에서 큰 목소리를 내고 있는 것은 정말 비웃음을 살 만한 일이 아니겠느냐고, 이젠 정말 그 시절을 웃어넘길 때도 되지 않았느냐고. 그런데 난데없이 영화에다가 웬 가위질? 영화에 등장하는 사반세기 전의 ‘그때 그 사람들’과 하나도 다를 바 없는 수준임을 스스로 드러내는 일일밖에.

표현의 자유, 명예훼손, 역사적 사건에 대한 객관적인 재현, 이런 심각한 얘기 다 떨쳐버리고, 국기 하강식에서 횡단보도를 건너야 되나 말아야 되나 하며 우왕좌왕하던 그 시절을 어떤 사람들이 이끌었는지 이제는 좀 가벼운 마음으로 되돌아보자. 배우들의 연기도 주·조연 막론하고 골고루 탄탄하며, 초반에는 다소 과장되고 만화적이라는 느낌을 주다가 이야기가 진행될수록 점점 ‘실감’이 생생해지는 연출 또한 역사적 사건에 대한 핵심적인 통찰과 가벼운 풍자 사이에서 만만찮은 솜씨로 절묘하게 균형을 잡고 있다.

박정희 체제가 눈물나게 그리운 사람들은 속 뒤집히므로 관람불가.

그 외 모든 사람, 중학생 이상 남녀노소 무조건 관람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