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기구독 회원 전용 콘텐츠
『창작과비평』을 정기구독하시면 모든 글의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구독 중이신 회원은 로그인 후 이용 가능합니다.
촌평
주디스 버틀러‧아테나 아타나시오우 『박탈』, 자음과모음 2016
포스트 담론에 기대어 (신)자유주의를 넘어서기
진태원 陳泰元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HK연구교수 jspinoza@empas.com
주디스 버틀러(Judith Butler)는 최근 국내에서 가장 왕성하게 번역되는 외국 사상가 중 하나이다. 국내에 처음 소개된 그의 저작은 결코 좋게 평가할 수 없는 번역 탓에 거의 반향을 얻지 못했지만, 대표작으로 꼽히는 『젠더 트러블』(문학동네 2008)이 출간된 후 최근 사오년간 가속이 붙어 올해에만 네권이 출간되었다. 이 중 이번에 서평 대상으로 고른 『박탈: 정치적인 것에 있어서의 수행성에 관한 대화』는 버틀러가 그리스의 문화이론가인 아테나 아타나시오우(Athena Athanasiou)와 나눈 대화를 기록한 책이다. 국내에 소개된 버틀러 책들 가운데는 가장 최신의 저작(영어판은 2013년 출간)이고, ‘정치적인 것에서의 수행성’이라는 주제를 다룬다는 점이 마음을 끌었다.
처음 이 책을 손에 들었을 때는 버틀러의 사상에 관한 대중적인 해설용 대담집이 아닐까 생각했는데, 몇 페이지를 읽으면서 잘못된 생각이었음을 깨달았다. 또한 주요 사상가들과의 대담집이 으레 그렇듯이, 질문자가 사상가의 사상에 관하여 이런저런 질문을 하면 사상가가 그의 저작에서는 뚜렷하게 드러나지 않았던 점들을 구체적으로 해명하는 방식을 따를 것이라고 예상했던 바 역시 보기 좋게 빗나갔다. 아타나시오우라는 생소한 학자는 이 책의 조연이 아니라 주연 중 하나였으며, 이 책의 화두를 이끄는 사람이 바로 그라고 해도 좋을 만큼 능동적인 대화 주체였다. 그는 아래에서 더 자세히 논의할 ‘박탈’이라는 개념을 대담의 화두로 제안하면서, 이 개념에 입각하여 어떻게 페미니즘, 신자유주의, 인종주의, 극단적 폭력 등과 같은 폭넓은 주제를 다룰 수 있을지 흥미로운 실마리를 제공한다.
따라서 이 책은 버틀러의 저작, 특히 2000년대 이후의 윤리적·정치적인 저술에 기반을 두면서 동시에 그 저술에 담긴 이론적 개념들을 신자유주의·탈식민주의·성소수자·정치적 저항 등과 같은 쟁점들에 관하여 폭넓고 자유롭게 변주하는 책이라고 할 수 있다. 두 사람이 나누는 간결하면서도 깊이있고 독창적인 논의들은 특히 포스트 담론에 입각한 정치철학 및 윤리학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사람들에게 유익하고 건설적인 자극을 준다.
이 글에서는 총 21개의 꼭지로 이루어진 이 대담집을 이끌어가는 몇가지 주요 개념, 곧 박탈(dispossession), 관계성, 취약성, 감응성(affectivity), 수행성 등에 주목하고 싶다.
옮긴이(김응산)가 박탈이라고 번역한 ‘dispossession’이라는 단어는 이 책의 원제로 쓰일 만큼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저자들이 이 단어에 주목하는 이유는 그것이 지닌 양가적인 의미 때문이다. 첫째, ‘dispossession’은 말 그대로 ‘박탈’을 가리킨다. 곧 이 단어는 “우리가 장소와 생계, 주거지, 음식, 보호 등을 빼앗길 수 있는 존재”라는 점, 따라서 이를 우리에게서 박탈할 권리와 힘을 지닌 권력에 우리가 종속되어 있음을 가리킨다. 둘째, 하지만 이 단어는 또한 존재론적이고 윤리적인 의미에서 우리가 타인에게 원초적으로 의존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자유주의와 신자유주의에 공통으로 전제된 소유적 개인주의의 원리와는 달리 ‘dispossession’이라는 개념은 우리 각자가 서로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자율적 개인이 아니며, “우리는 처음부터 우리의 쾌락과 고통을 어떤 지속된 사회계 혹은 지속적인 환경에 빚지고 있는 상호 의존적인 존재”(이상 23면)라는 점, 그리고 이러한 타자와의 (영향을 주고받는) 관계가 실은 우리의 삶 그 자체라는 점을 가리킨다.
그리고 자아 내지 개인 주체의 원초적인 타자 의존성이라는 의미로 인해 ‘dispossession’이 아주 문제적인 개념이라는 점이 드러난다. 만약 이 개념의 뜻이 첫번째 측면으로 국한된다면, 비판적인 이론과 정치의 목표는 꽤 단순해진다. 부당하게 자신의 소유와 권리를 박탈당한 각각의 개인 및 집단에게 그들에게 고유하게 속하는 소유와 권리를 회복시켜주거나 부여해줌으로써, 개인들 사이의 평등한 자유의 질서를 확립하면 되기 때문이다. 이것이 넓은 의미의 자유주의적 입장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자아 내지 개인들이 원초적인 독립 주체가 아니라 그 본질 및 정체성에서, 그리고 삶의 과정 자체에서 타자에게 의존적인 존재들이라면, 자유주의를 넘어선 이론적 분석과 실천적 해법이 요구된다. 이 책은 이 문제에 대한 난상토론이라고 볼 수 있다.
그렇다면 이러한 양가적인 측면을 드러내기에 과연 ‘박탈’이라는 번역어가 적절한지 의문을 제기해볼 수 있다. 이 번역어는 오히려 첫번째 측면에 너무 경도된 것이 아닌가? 첫번째 측면에서는 부당한 법적·정치적·물리적인 탈취, 몰수라는 뜻이 핵심인 반면, 두번째 측면에서는 자율적인 자아 내지 개인 주체가 성립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요청되는 자기소유(self-possession 내지 self-ownership)가 타자와의 원초적 관계에 의해 사후에 성립되는 것이며, 더욱이 이러한 원초적 관계를 은폐하거나 억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는 점이 핵심이다. 따라서 두번째 측면에서는 소유적 개인주의의 전제인 소유 및 자기소유의 논리적 불가능성과 윤리적 폭력성을 드러내는 게 중요하다. 그렇다면 사실 ‘탈소유’로 옮기는 편이 더 낫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이 경우에는 전자의 의미가 약화되기 때문에, ‘탈소유’라는 번역어도 완전히 만족스럽지는 않다. 따라서 ‘dispossession’이라는 개념에 대한 적절한 번역어가 무엇인지는 열려 있는 문제이며, 말 그대로 개념적 번역과 이론적 (재)창조의 문제라고 할 수 있다.
‘dispossession’의 문제는 ‘감응성’, 곧 ‘affectivity’의 문제와 긴밀하게 관련되어 있다. 우리가 원초적으로 타자와의 관계를 통해 성립되는 관계적인 존재들이라면, 그러한 관계의 구체적인 양상을 표현하는 용어가 바로 ‘affectivity’ ‘affect’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역자는 이 용어들을 일관되게 ‘감응성’과 ‘감응’이라는 용어로 옮기고 있다. 이러한 번역은 정동성, 정동, 심지어 ‘정동하다’(능동태인 affect의 번역이다), ‘정동되다’(수동태인 affected의 번역이다) 같은 괴상한 신조어들을 남용하는 일부 연구자들의 번역보다는 훨씬 사려 깊은 태도이다. 하지만 내가 생각하기에는 ‘감응’보다는 ‘정서’라는 개념에 기반을 둔 번역이 이 책의 논의를 이해시키는 데도 더 낫고, 미국 문화이론계의 논의를 우리 식으로 전유하고 변용하는 데도 더 낫다.
우리가 어떤 감정이나 정서를 느낄 때 여기에는 항상 타자와의 관계가 함축되어 있다. 우리는 타자를 사랑하거나 미워하고, 타자가 고통받는 것을 보고 분노하거나 즐거워하며, 타자의 기쁨을 시샘하거나 부러워한다. 더욱이 스피노자(B. Spinoza)의 정서 모방(affectuum imitatio) 개념에 따르면, 우리의 욕망은 언제나 이미 타자의 욕망을 모방함으로써 생겨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감정 내지 정서는 항상 신체적인 작용을 수반한다. 우리가 기쁨을 느낄 때 신체적인 역량 내지 에너지도 증가하며, 우리가 고통이나 자괴감을 겪을 때 우리의 신체도 무기력해진다. 우리의 분노는 동시에 강렬한 신체적인 반응을 촉발하며, 흐뭇한 마음은 신체적인 이완을 낳는다. 이것이 바로 이 책에서 affect 및 affectivity가 뜻하는 바이다.
그런데 다음 번역문을 보자. “이와 같은 반응의 성향은 우리를 ‘경첩에서 어긋난’(out of joint) 상태로, 그리고 ‘우리 스스로로부터 이탈하도록, 곧 자기 정신줄을 놓도록’(beside ourselves) 만드는 다양한 감응, 곧 분노와 절망, 욕망, 격분, 희망 등의 감정 속에서 여실히 드러납니다.”(123면) 내가 볼 때 여기에서 ‘감응’ 대신 ‘정서’라는 번역어를 쓴다면, 논의의 내용이 더 분명히 드러난다. 논의의 요점은 분노, 절망, 욕망, 격분 같은 정서들이 강렬한 신체적 반응을 촉발하면서 우리의 평정한 상태를 깨뜨리고 우리를 평상시와 다른 모습으로 만든다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것이 ‘out of joint’나 ‘ beside ourselves’ 같은 표현이 함축하는 바이다. “공감과 친절함, 연대는 물론이고 긴장, 괴로움 혹은 갈등과 같은 강렬하고도 정치적인 감응적 요소들을 통해”(286면) 같은 대목도 ‘정서적 요소들’이라는 번역이 이해를 더 쉽게 해준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affect나 affectivity가 정서의 차원을 넘어서는 신체적 변화의 차원을 지칭하는 경우도 있다. 그 경우에는 ‘정서적 변용(성)’이나 그냥 ‘변용(성)’ 같은 용어를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183~85면에 집중적으로 나오는 ‘심급’이라는 용어는 원문 ‘instance’의 번역인데, 이 경우에도 ‘사례’ 내지 ‘경우’로 옮기는 편이 낫다. 전체적으로 꽤 공을 들인 꼼꼼한 번역인데, 이처럼 몇가지 용어 선택이 아쉽게 느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