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작과비평

창작과비평

정기구독 회원 전용 콘텐츠

『창작과비평』을 정기구독하시면 모든 글의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구독 중이신 회원은 로그인 후 이용 가능합니다.

 

 

김근 金根

1973년 전북 고창 출생. 1998년 문학동네신인상으로 등단.

시집 『뱀소년의 외출』 『구름극장에서 만나요』 『당신이 어두운 세수를 할 때』 등이 있음.

hartani@hanmail.net

 

 

 

곡우라는

 

 

곡우라는 말. 이상한 말. 본래는 별 이상할 것도 없다가 어느날 별안간 이상해져버린 말. 이상한. 상한. 말. 본뜻과 헤어져버려 본뜻이 무엇인지 떠올려지지도 않게시리. 떠올려봤댔자 이미 모르게만 되어버린. 해서시리 상했대도. 냄새 지독하대도. 조금도 이상할 것 없이. 상한. 이상한. 상해서. 머리를 떠나지 않는 말. 머리를. 떠나지. 않는. 까마귀 소리.

 

어디엔가 안 있었겠는가. 필경 곡우를 아는 자와 곡우를 모르는 자의 다툼 같은 것. 까마귀 소리. 그러다가 오뉴월 한낮 곡우를 아는 자가 땀을 뻘뻘 흘리며 얼굴 울그락불그락 숨을 씩씩거리며 그만 물러서고 만 것 아니겠는가. 곡, 할 때 목구멍 깊은 곳에서 뻑뻑한 어둠 한덩이 끌어올려져 턱 하고 그 목 막히고 마는. 까마귀 소리. 마을을 통째로 뱉을 듯한 소리로 가래를 끌어올리던 무식하기도 짝이 없는 영감탱이 같은. 그런 따위를 일삼는 것이 곡우를 아는 자일 리는 절대 없지 않겠는가 안. 까마귀 소리.

 

모를 때. 비로소 우, 하면 입술을 가벼이 떠나는. 찐득찐득한 가래를 한 주먹이나 뱉어놓고 그 가래 뱉은 자리에 또 마을 통째로나 삼키듯 봉초 담배의 독한 연기나 빨아들였다가 채워넣었다가 다시금 갸르릉거리면서도 목구멍을 긁어내면서도 종내는 되올려 뿜어내고 마는 영감탱이의 어두울 것이 분명한 수수수숨에 섞여서 풀풀풀 연기처럼이나 갈라지고 터진 입술 틈으로 비어져 나와선 돌아보며 돌아보며 돌아보면서도 하얗게 가벼이 떠나는. 말. 곡우라는. 까마귀 소리.

 

상엿소리 높았던가. 그날. 곡소리 흥건했던가. 곡기를 끊고 기어이 영감탱이 떠나던 날. 곡우 전이던가. 곡우 후이던가. 비가 왔던가. 땅에 쩍쩍 금이 갔던가. 까마귀 날았던가. 울었던가. 음산했던가. 맴돌았던가. 흩어졌던가. 남았던가. 사라졌던가. 떠돌았던가. 도착했던가. 그 형용이 끔찍했던가. 알아보기는 힘들었던가. 추깃물만 남았던가. 남았다가는 다시 떠났던가. 다시. 떠나는. 다시. 이상한. 말. 도대체. 떠나지지. 않는. 상한. 말. 곡우라는.

 

냄새 또한 지독할 것 같은. 상한. 영감탱이는. 갑자기 어디서 튀어나왔는지. 쓸데라곤 전혀 없이. 곡우라는 말만 무슨 밤중 나뭇가지에 걸린 허연 상여 쪼가리처럼 남아 부스럭거리고 이따금 바람에 희끗희끗 날리고 한데도 머리를 떠나지는 결코 않는. 하 그래놓고도. 징글징글. 마을을. 그래놓고도. 고오구고오구. 말. 까마귀 소리. 곡우라는.

 

해서. 시방. 이상한. 상한. 말. 말하는. 나는. 느닷없이. 누구인지 모르고. 모르겠고. 끝까지. 모르게 되어버리더라는. 주저리주저리. 꼭은 곡우가 아니어도 될 말을 붙들고 꼭은 아니어도 될 영감탱이를 끌어들여서 꼭은 아니어도 될 내가. 있지도 않은 까마귀 소리로나 귓속을 가득 채우고는. 지껄이고 있냐는 것인데.

 

떠나지는 않고 있냐는 것인데. 영감탱이도. 나도. 곡우도. 못하고 있냐는 것인데. 자꾸 오고만 있냐는. 생기기만 생기고 있어버리냐는. 것인데. 징글징글. 고오구고오구. 말인즉슨. 곡우라는.

 

 

 

세 사람이

 

 

두 사람이 있어야 한다. 두 육체가 있어야 한다. 하나의 육체는 앉아 있게 한다. 하나의 육체는 누워 있게 해야 한다. 그는 식어가는 육체 곁에 앉아 있었다. 이런 문장으로 시작한다. 나는 담배를 피운다. 문장을 쓰자마자 나는 문장에 연루된다. 다음 문장이 씌어지지 않는다. 담배 연기가 문장으로 스며든다. 몸속 깊은 곳으로부터 담배 연기가 흘러나왔다. 이 탁한 한숨이 육체에 깃들면 육체가 금방이라도 일어나기라도 한다는 듯이 그는 담배 연기를 점점 더 차가워지는 육체의 얼굴 위에 뱉어냈다. 삼인칭으로 한 사람을 부른다. 일단 남자일 것이다. 한 사람은 육체라고 부른다. 핏기라곤 하나 없는 하얀 얼굴 비로소 그는 그 얼굴이 아름답다고 생각했다. 죽어서야 아름다움을 알아볼 수 있는 얼굴 하나가 그의 곁에 반듯하게 누워 있다. 잘못 씌어진다. 아름다움은 계산에 없었다. 그의 감정이 아니다. 나의 감정이다. 그는 내가 아니다. 나는 육체가 아니다. 나는 모르는 이야기를 아는 이야기처럼 쓴다. 육체는 살아생전 그를 사랑했다. 그에게 집착했으며 밤이면 전화를 걸어 그에게 욕설을 퍼부었다. 너 때문에 난 이렇게 살게 됐어. 이건 아는 이야기다. 이 이야기의 주인공은 죽었다. 그는 아는 사람이 아니다. 그도 나를 아는 사람이라고 생각하며 죽었을 리 없다. 모르는 사람의 삶에 대해 생각한다. 아무려도 나는 알 수 없다. 제 운명이 그의 탓이기라도 하다는 듯이 그러나 충분히 그 자신의 운명도 육체의 탓은 아니므로 둘 다 서로를 탓할 수밖에는 도리가 없었다. 둘 다 진실을 알고 있었지만 진실은 그들의 대화와는 너무도 먼 곳에 있다는 사실이 둘을 힘들게 했다. 모르는 사람도 모르게 쓴다. 모르는 사람에 대해서 혹은 아는 사람에 대해서 모르는 사람이 알게 쓰거나 아는 사람이 모르게 쓰고 나면 그는 아는 사람인지 모르는 사람인지 모르게 된다. 그냥 모른다. 아는 것은 모른다는 것뿐이다. 모른다는 것을 안다는 것뿐이다. 그는 모르고 죽었다. 그랬으면 좋겠다. 나는 그를 모른다. 여러번 육체는 팔목을 그었다. 이건 들은 이야기이다. 그때마다 그는 응급실로 달려가 육체의 헐떡이는 숨소리를 들어야 했다. 끊어질 듯한 숨소리 속으로 매번 눈물이 흘러내렸으며 그런 일들이 반복될수록 그는 그와 육체를 공유한 어머니가 아무것도 알지 못한 채 그저 의문에만 사로잡힌 채 고통을 공유하려 하지 않은 채 늙어가는 모습을 지켜봐야 했다. 아는 이야기와 모르는 이야기가 뒤섞여 있다. 이 이야기는 내가 감당하기엔 너무 특수하다. 엇나가고 있다. 그와 육체는 아는 사이다. 그에게 육체는 아는 육체다. 육체도 그를 알았다. 내가 아는 사람은 아니 내가 모르는 사람은 그인가 육체인가 기억이 뒤엉긴다. 진실은 너무나도 먼 곳에 있다. 문장이 문장 밖을 참견한다. 엇나가고 있다. 아는 육체는 어떻게 모르는 육체가 되는지 불현듯 궁금하다. 그 생각은 이어지지 않는다. 쓰는 자가 문장 안에서 길을 잃는다. 문장은 문장 바깥과 너무 많이 연루된다. 쓰는 자는 제 문장으로부터 벗어나야 한다. 그 이후엔 또 누군가 써야 한다. 누군가는 나인가 아닌가 나는 모른다. 나도 모르고 죽을 것이다. 그랬으면 좋겠다. 육체는 익사하지도 않았는데 축축하게 젖어 있었다. 이야기는 실패하고 있다. 문장 안의 육체의 감각은 문장 밖의 나의 어머니의 주검에서 비롯된다. 점점 굳어가는 종아리 근육 위로 정맥류가 도드라진 게 보였다. 그는 그것이 그의 육체에 흘렀던 마지막 강물 같은 것으로 생각되었다. 더 실패하고 있다. 그는 육체 곁에 몸을 뉘었다. 밤이 찾아오는 것 같았다. 사위는 어두워지고 육체도 어두워졌다. 그 곁에서 그 역시 어두워졌다. 그는 육체에게 손을 뻗었다. 차갑고 딱딱한 피부가 만져졌다. 그는 어둠 속에서 육체를 더듬었다. 육체의 성별을 생각한다. 최악의 실패는 선정적이다. 그 밤 형에게서 바람이 오고 나는 바람으로 온통 부풀어. 형뿐이기만 한 바람 때문에 온몸에서 강물이 일어. 강물로 뒤덮여 나는 곧 흘러내릴 테지만. 육체가 말하려 한다. 가까스로 육체의 벌어지지 않은 입을 틀어막는다. 이렇게 시작하는 이야기였으면 나았을지 모른다. 담배를 한대 더 피웠더라면 실패하지 않았을지 모른다. 나는 쓰는 자와 타협한다. 쓰는 자는 이미 내가 아니다. 육체는 꼼짝하지 않았지만 샅샅이 육체의 기억을 손끝에 모두 입력하기라도 하듯 육체를 만지고 만졌다. 식어가는 육체 곁에서 그는 뜨거워지고 있었다. 그때 그 밤 어둠 속에서 처음으로 더듬더듬 육체를 만졌을 때처럼. 더 잘 잘못 씌어진다. 비로소 시는 잘 실패한다. 두 사람이 있어야 한다. 아니 세 사람이 있어야 한다. 두 육체가 있어야 한다. 아니, 세 육체가 있어야 한다. 하나의 육체는 앉아 있게 한다. 하나의 육체는 누워 있게 해야 한다. 하나의 육체는 문장을 쓰도록 한다. 그중 나는 누가 될지 결정하지 않는다. 그는 식어가는 육체 곁에 앉아 있었다. 이런 문장으로 다시 시작한다. 다시 더 잘 실패한다. 네 사람이 있어야 한다. 아니, 다섯 사람이. 아니 아니, 여섯, 일곱 사람이. 더더더 실패한다. 있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