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작과비평

창작과비평

정기구독 회원 전용 콘텐츠

『창작과비평』을 정기구독하시면 모든 글의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구독 중이신 회원은 로그인 후 이용 가능합니다.

 

박형준 朴瑩浚

1966년 전북 정읍 출생. 1991년 한국일보 신춘문예로 등단. 시집 『나는 이제 소멸에 대해서 이야기하련다』 『빵 냄새를 풍기는 거울』 『물속까지 잎사귀가 피어있다』 『춤』 『생각날 때마다 울었다』 『불탄 집』이 있음. agbai@naver.com

 

 

 

겨울 귀향

 

 

기차 차창으로 스쳐 지나가는 나무들

몸 벗은 나무들 사이로 떠오르는 달

밥그릇처럼 달그락거리는 저 달에

한그릇 밥 청한다

밥알이 하늘의 얼음장에 말라붙어 있다

 

가을걷이가 끝난 논을 걷다보면

짚단들이 사람처럼 서성였지

어린 시절엔 논에서 술래잡기를 했지

짚단을 빼낸 다음 그 속에 숨었다가 까무룩 잠이 들곤 했지

아이들이 집에 다 돌아가고 시장기에 깨어나

밥 짓는 마을의 굴뚝 연기를 바라보곤 했지

짚단 속은 왜 그리 따뜻했는지

서러우면서도 따뜻했는지

연기를 따라가다보면

불 때는 아궁이 속 불티들이

하늘로 타닥타닥 튀어올라 별이 된 것 같았지

이젠 술래잡기를 할 아이들도

볏짚을 쌓아올릴 사람들도 떠나고 없구나

흰 테이프로 둘둘 말린 채

알처럼 싸매진 화물들,

철새들이 주워 먹을 나락 한알마저 사라진

논은 흰 붕대에 감긴 크레졸 냄새나는

야전병원 같다

어쩔 수 없지, 사람들이 떠났으니

논도 소독하고 청소해놓아야지

 

겨울에 귀향하려면

논바닥을 걸어 집으로 돌아가야지

서리로 부푼 논바닥을 밟으면 들려오는

떠난 사람들의 낮은 음성,

발밑에서 들으며 돌아가야지

논에 기다리는 사람처럼 서성거리는 짚단들

밤 서리를 잔뜩 매달고 있는 짚단들

창공에 꺼지지 않은 별을

알알이 박아놓은 그 눈들

스며 나오는 투명한 시간들,

서리 꺼지는 소리 가득한

겨울 아침 논을 보러 첫기차표를 끊는다

 

 

 

뼈집

 

 

철거되고 허공에 대문만 남아 있는 집 계단을 밟아

꽃 하나를 캐어 내려오던 날이었다

허공에 떠 있는 대문만 남은 집은

계단이 땅에 닿지 못하고 부서져서

닻이 풀린 것 같았다, 대문 안으로 들어가면 다시 공중의 집

노을이 대문 안쪽에 노오란 탱자나무 열매 같은 불을 켜놓았다

아가리를 채 다물지 못하고 집 부서진 땅바닥을 헤집다

멈추어 선 포클레인이 지팡이로 변해 꽃 피어날 것 같았다

 

가장 높은 꽃봉오리에서 떠난 사람들의 목소리가 웅크리고 있다

탱자나무 울타리의 그늘에서 죽은 잠자리의 허물이 남아 있다

추억에 가까이 가면, 뼈집 안의 불빛들

두런거리는 말소리를 거둔 채 바다 같은 침묵 속으로 사그라진다

대문을 밀고 들어오려다가 문득 그 집의 그늘에

죽은 듯 몸을 감추는 밤들, 죽은 잠자리 날개에 맺힌다

이제 돛을 올리고 떠날 시간,

허물에라도 뜬 저기 좋은 별이 반짝이는 나라를 향해

 

뼈집이 호곡(號哭)도 없이 허공을 둥둥

그 안에서 노을이 피워낸 꽃들

손바닥에 호수를 담아 집으로 돌아오는 날은

아직 기다리는 사람이 남아 있는 날이었다

뼈집에 몸 눕히고 노을을 받으며

산동네 주소에서 닻 풀린 배 한척

손바닥에 담아온 꽃 속의 호수엔 별이 총총하게 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