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작과비평

창작과비평

창비주간논평

문화의 진보성?

황정아

황정아

켄 로치(Ken Loach) 감독이 자신의 마지막 장편극영화가 될 거라 했다는 「지미스 홀」(Jimmy’s Hall)은 갈등이 여전했던 독립 이후 1930년대의 아일랜드를 배경으로 실존인물 지미 그랄튼(Jimmy Gralton)의 생애 일부를 그린다. 정치활동에 따른 검거를 피해 뉴욕으로 건너갔던 지미는 십년 만에 다시 고향마을로 돌아와 이제는 조용히 살고자 하지만 동네 청년들의 열화와 같은 요청으로 과거 그와 그의 동지들이 지었으나 이제 다 쓰러져가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화면상으로 사뭇 멀쩡한) ‘지미스 홀’을 재건한다. 춤과 노래와 그림을 배우며 책 읽고 토론하는 마을회관 같은 이 홀을 교구 신부와 당국은 눈엣가시처럼 여기다가, 지미 일당이 지주의 횡포로 쫓겨난 소작인의 ‘점거’투쟁을 지원한 일을 빌미로 불태우는 한편 미국시민권 소지를 근거로 지미를 추방 조치한다.

 

이 노감독의 2006년작 「보리밭을 흔드는 바람」의 여운을 기억하며 찾아간 영화관에서 유감스럽게도 이 영화가 보여주고 말하는 바에는 거의 감흥을 얻지 못한 대신, 왜 이렇듯 씁쓸한 뒷맛을 얻는가 하는 의문을 안고 나왔다. 씁쓸함은 그저 영화가 실망스럽다는 느낌과는 다른 것이었다. 물론 실망스럽기도 했다. 더 깊이 찔러 파보아야 할 대목들을 매끈하다 못해 밋밋하게 처리하면서 예리함이 떨어지고 ‘올드’해진 회고담 같은 인상이었다.

 

자유와 억압의 구도가 씁쓸하게 느껴진 까닭

 

영화가 보여주는 상황 자체는 올드하지 않은 현재성으로 넘치고, 한마디로 말해 그때나 지금이나 가진 자들이 더 갖겠다고 난리치는 세상이다. 미국에서 경험한 대공황을 언급하며 시스템이 망상과 착취와 탐욕에 젖어 있다든가 하는 지미의 대사는 오늘 아침에 듣는다 해도 이상할 것 없는 이야기다. 고분고분하지 않은 이들을 걸핏하면 빨갱이로 몰아붙이는 것도 새삼 낯선 일이 아니며, 회관에 출입했다고 강론 도중에 ‘떠든 아이’ 이름 적듯이 한사람 한사람 호명하는 신부의 모습마저 옛날 일로 생각되지 않는 시절을 살고 있다.

 

그렇다면 권력에 맞서는 이들이 너무 모범적 인물로 그려진 점이 비현실적으로 비쳤던 것일까? 지미와 동지들은 애절한 옛사랑에 정신줄을 놓지도 않고, 막 본격 궤도에 오른 회관의 모임들을 위기에 몰아넣으리란 걸 알면서도 쫓겨난 소작민을 외면하지 않으며, 배신을 부추기는 권력의 거의 ‘거절할 수 없는 제안’에도 꿋꿋하다. 회관의 재건을 요청한 젊은이마저 아버지의 채찍질까지 당하면서 기어이 모임에 참석한다. 진보가 어떤 ‘성격적 결함’ 때문에 실패했다는 식으로 그리지 않은 점은 오히려 이 영화의 미덕이라 해도 좋을 것이다. 결함이 실제로 없어서가 아니라 그 결함이 ‘성격적’ 차원보다는 더 깊은 곳에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영화  (배급: 그린나래미디어)

영화 <지미스 홀> (배급: 그린나래미디어)

 

이 영화의 중심에는 춤과 노래와 그림과 독서라는 ‘문화’의 자유로운 향유가 놓여 있고 지미가 할렘에서 배워온 새로운 댄스와 재즈음악이 그런 자유의 상징으로 등장한다. 기득권 문화권력의 대변자에 해당할 신부가 한사코 회관의 모임을 비난하면서 문화를 중심으로 한 자유와 억압의 구도가 자연스레 형성된다. 아마도 이것은 분명 실재했던 대립일 것이다. 그러나 그것이 얼마나 ‘진정한’ 대립이었을까?

 

영화가 충분히 의식적으로 제기하지 않은 문제는 문화의 향유가 소작인의 토지점유투쟁과 어떤 내재적 연관도 없다는 사실이다. 문화적 자유에 대한 의식이 다른 분야의 자유에 대한 의식과 당연히 맞닿아 있을 게 아니냐고? 그리고 그런 의식은 다른 사람이 겪는 억압을 지나칠 수 없는 게 당연하지 않느냐고? 물론 그럴 것이다. 어떤 ‘궁극적인’ 지평에서는. 하지만 소작인의 삶을 옥죄는 억압과 마을회관에서의 문화향유에 대한 억압 사이에 때로 심연과도 같은 간극이 있을 수 있고 또 있어왔다는 것도 분명하다. 지원투쟁에 앞서 회관의 주요 멤버들이 벌인 논쟁은 바로 이 지점과 관련되어 있지만, 회관을 지킬 것인가 위험을 무릅쓰고 지원투쟁을 할 것인가라는 식의 결단의 문제로 제기될 뿐이다. 소작인의 곤경을 ‘언제든’ 외면할 수 없다는 결론에 뚜렷이 새겨진 어떤 근본적 ‘요청’이 마을회관에서 향유하려는 문화나 그 문화에 담긴 자유에 어떻게 배어들어야 할지 묻지는 않는 것이다.

 

‘진보’에게 문화는 어떤 것이었나

 

해야 할 질문을 하지 않는 것은 대개 하지 않아도 되는 대답에 골몰하는 것으로 이어진다. 회관의 재건이 못마땅한 신부는 짐짓 ‘쾌락을 향한 이 열광이 무엇인가’라는 개탄의 질문을 던져놓는다. 어쩌면 단지 기득권이 던졌다는 이유로 아무 의미없는 이 거짓 질문에 ‘열광해도 괜찮아’라며 너무 열심히 반박한 건 아니었을까. 자신을 설득하려고 지미가 놓고 간 재즈음악을 들으며 신부는 흔쾌히 감탄해주면서도 그 일당을 무너뜨리는 일에 한치 흔들림이 없다. 어쩌면 ‘쾌락을 향한 열망’의 인정여부가 문제가 아니라는 것을 역설적으로 신부만이 분명히 알고 있는 것이다.

 

추방당하는 지미를 배웅하며 회관 재건을 약속하는 젊은이들의 모습에서 문화의 향유는 더욱 자유로워질 것이 분명해 보였으나 솔직히 큰 희망을 보지 못한 것은 이 때문이다. 나날이 새로워지고 나날이 세련되어가는 문화의 향유를 진보의 표지로 삼아온 세월이 있었다고 생각한다. 개인이 아니라 구조가 문제라고 읊었으면서도 조금 늦게 혹은 조금 어렵게 제도권에 진입하는 개인적 변화만 성취했을 뿐 정작 그 구조는 바꾸지 못한 많은 ‘진보’들에게 문화가 자주 손쉬운 변명이 되어준다고 생각한다. 내 삶을 실제로 꾸려가는 바탕이자 가치로서의 문화는 어떤 모습인가 묻지 않을 때 이 변명의 구조는 오래 지속될 것이다.

 

 

황정아 / 문학평론가, 한림대 한림과학원 HK교수

2014.10.29 ⓒ 창비주간논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