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작과비평

창작과비평

창비주간논평

‘인간-되기’가 어려운 이유: 영화 「블레이드 러너 2049」를 보며

황정아

황정아

무언가의 ‘속편’으로 세상에 나온다는 건 흠잡을 태세가 되어 있는 사람들 앞에 나서는 일과 비슷하다고들 한다. 그래도 어지간한 팬이 아니라면 (그리고 원작인 필립 K. 딕의 소설까지 챙겨 읽은 사람이 아니라면) 1982년작 「블레이드 러너」의 세부는 상당히 잊힌 터라, 이 경우 오리지널이 속편을 평가하는 엄격한 잣대가 되기보다 오히려 속편을 통해 다시 기억되거나 구성되는 쪽에 가까울지 모르겠다. 적어도 내게는 그랬는데, 오리지널이 던진 신선한 충격이라는 것은 기술의 발전과 SF 장르의 발전 양쪽에 의해 상당 부분 퇴색될 수밖에 없는 성격이어서 그랬기도 했을 것이다. 「블레이드 러너 2049」는 오리지널에 버금가는 충격으로 승부하기보다 오리지널을 정색하며 이어나가고 뒤집고 되비추면서 (오리지널에서 레플리컨트 제작 회사의 모토였기도 한) ‘인간보다 더 인간적인’으로 요약되는 고색창연한 주제를 밀고 나가려 한다.

 

이 영화가 오리지널과 결정적으로 달라지는 지점이자 이후 사건들을 좌우하는 설정은 속편의 주인공 K가 레플리컨트(인조인간)라는 점이다. 원본을 전제하는 ‘레플리컨트’라는 말 자체가 종속성을 내포하거니와, 이 세계에서 레플리컨트는 맡겨진 임무를 그 임무에 최적화된 인간처럼 해내면서도 절대적으로 순종적인 존재로서만 살아남을 수 있다. 인간에게 종속된 ‘길들여진 신체’라면 무엇보다 동물을 떠올릴 수 있겠는데, 말하자면 레플리컨트의 지위는 ‘말하는 동물’, 혹은 처분 가능한 생명으로 완벽하게 ‘동물화한 인간’이다. 사건의 주요 실마리가 되는 죽어 있는 나무, 단지 나무로 만들어졌다는 이유로 귀한 것으로 취급되는 목각상 같은 데서 알 수 있듯이, 이 영화는 디스토피아란 인간이 사라지는 세계가 아니라 비(非)인간이 사라진 세계임을 선명히 보여준다. ‘자연’으로서의 비인간이 압도적으로 소진된 그 ‘너무 인간적인’ 세계를 견디고 연장하기 위해 인간은 스스로 비인간을 제작한 것이다.

 

오리지널에서 주인공 데커드가 인간과 비인간의 절대적 구분을 믿고 또 실천(!)하다가 회의에 빠지는 인물이었다면, 여기서 K는 ‘레플리컨트답게’ 인간과의 차이를 온순하게 받아들이는 듯 보인다. 하지만 K의 순종이 무슨 본성의 발로가 아니라 조심과 긴장으로 유지된 것임은 말할 필요도 없고, 따라서 순종이라는 자질은 실제로는 인간과 레플리컨트를 구분하는 기준이기보다 레플리컨트를 마음대로 처분할 핑계로 작동한다. 이렇듯 모호하기만 한 인간과 비인간 사이의 경계를 사실상 유일하게 지탱해주는 차이는 탄생의 과정, 곧 얼마나 ‘자연스럽게’ 제작되었는가 여부이다. 그런데 이제 임신하고 출산한 레플리컨트의 존재가 알려지면서 이 차이마저 무너지려 하고, 그 ‘기적’의 산물인 아이를 찾아 반란을 도모하려는 레플리컨트 세력과 이를 더 용이한 레플리컨트 제작의 단서로 삼으려는 측의 충돌이 시작된다.

 

그 틈에 낀 K는 몇가지 증거들을 발견하면서 비인간에서 인간으로 도약한 그 ‘선택된 자’가 자신이 아닐까 추론하고 두려움과 기대를 동시에 품은 채 아이 아버지로 알려진 데커드를 찾아간다. 아들이 아버지를, 혹은 창조된 자가 자신의 창조자를 찾아가는 것은 『프랑켄슈타인』 이래 이 장르에서 반복되어온 진행인데, ‘아버지’의 책임을 묻고 끝내 죽음으로 응징하는 오리지널의 오이디푸스적 장면과 달리 여기서는 K가 데커드의 폭력을 일방적으로 견딘 끝에 겨우 대면을 허락받는 것으로 뒤집혀져 있다. 역전은 계속 이어져 K는 결국 데커드의 목숨을 구해주고 그의 아이에게 안내까지 해준다.

 

일찍이 들뢰즈는 특유의 ‘되기’(becoming) 개념을 설명하면서, 가령 인간의 ‘동물-되기’란 동물이 무언가 다른 것으로 되는 한에서 인간이 그 동물이 되는 것이라 설명한 바 있다. 그렇게 본다면, 레플리컨트에게서 태어난 아이는 ‘인간’이 설정한 기준에 비추어 ‘인간-되기’를 실현했으므로, 다시 말해 그 ‘인간-되기’를 통해 인간이 조금도 다른 무언가로 되지 않았으므로, 실은 실패한 것이라 말할 수 있겠다. 그렇다면 K의 경우는 어떤가. 자신의 ‘인간-되기’가 좌초했음을 확인한 다음에도 K가 데커드를 돕는 것은 언뜻 순종의 습관으로 비치기도 한다. 하지만 이 순종은 동시에 엄청난 불복종을 동반하므로 명백히 K가 선택한 하나의 온전한 ‘행위’이다. 이를 통해 K는 분명 무언가 다른 것으로 되지만 그 무언가가 ‘인간’임을 확인해줄 인간은 이 세계에 등장하지 않는다.

 

하지만 ‘인간-되기’란 레플리컨트들에게만 어려운 게 아니다. ‘인간-되기’가 우리 자신에게도 얼마나 어려운지 알기 위해서는 굳이 영화관을 찾을 필요도 없다. 11월 3일까지 유튜브에 공개되는 영화 「공범자들」을 보라. 거기서 언론을 말아먹은 이들이 우리의 ‘인간-되기’를 어떻게 가로막고 있는지 낱낱이 지켜볼 수 있다.

 

황정아 / 문학평론가, 한림대 한림과학원 HK교수

2017.10.25. ⓒ 창비주간논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