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작과비평

창작과비평

창비주간논평

도서와 정가와 제도

박준

박준

오랜만의 친구와의 통화, 우리는 이런저런 과거의 이야기들을 잔뜩 꺼냈다. “옛날은 가는 게 아니고 이렇게 자꾸 오는 것이었다”(이문재 「소금 창고」)라는 시구처럼 정말 어제의 일들은 내일의 이야기를 위해 존재하는 것만 같았다. 그 친구와 나는 고등학교 내내 도서관을 함께 다니면서 친해졌다. 친구는 공공도서관은 물론 사설도서관 그리고 일반인에게 일부 개방하는 대학도서관들까지 서울 곳곳에 대한 정보를 꿰고 있었다. 당시 나에게 필요했던 것은 도서 열람이나 대출이 아닌 도서관에 있는 면학실 혹은 자습실 같은 공간이었고 나는 친구를 잘 둔 덕분에 어렵지 않게 그런 장소를 얻을 수 있었다. 대화의 끝에서 불쑥 친구는 도서정가제에 대한 이야기를 꺼냈다. 얼마 전 새로 이직하면서 도통 책을 사고 읽을 기회는 없어졌지만 어쨌든 도서정가제 이후 책값이 비싸지지 않았냐? 도서정가제는 많은 이들이 반대하는 단통법(단말기유통구조개선법)과 무엇이 다르냐? 하는 것이 친구의 질문이었다. 어떠한 악의도 없는, 단지 궁금해서 묻는 질문. 하지만 나는 명쾌한 답을 건네지 못했다. 십여년 동안 출판사에서 책 만드는 일을 하고 있지만 또한 시집과 산문집을 출간했지만…… 하긴 어쩌면 이렇듯 내부인(?)이기에 이 답변을 위해서는 스스로에게 물어야 할 것들이 더욱 많았다.

 

먼저 ‘도서’에 대해 질문을 해보았다. 책은 상품이다. 대부분의 도서 뒷장에는 바코드가 찍혀 있다. 사실 이것은 사람으로 따지면 주민등록번호라 할 수 있는 ISBN(국제표준도서번호)이지만 동시에 계산대에서 상품의 가격을 확인하고 재고 등의 전산처리와 연계되는 역할을 한다. 책은 상품이니까 시장 논리에 따라 차등 없이 유통되는 것이 맞다. 하지만 책을 상품이라고 말할 때마다 내 마음속에는 ‘책은 상품이 아니다’ 혹은 ‘책은 상품이 아니어야 한다’라는 생각이 일렁인다. 앞서 말한 것처럼 물성을 가진 책은 상품이지만 그 안을 채우고 있는 작품까지 상품은 아니고 무엇보다 작품은 시장과 자본의 논리에서 어느 정도 자유롭기(자유로워야 하기) 때문이다. 물론 대부분의 독자들은 이러한 지점을 잘 알고 있기에 소비하지 않고 오랜 시간과 노력을 들여 소장하거나 소유하며 작품을 향유한다.

 

출판사는 영리를 목적으로 운영된다. 잘 팔리는 책을 출간하려 노력하고 잘 팔리는 책을 더 잘 팔고 싶어한다. 책은 상품이니까. 하지만 책은 상품만이 아니기 때문에 출판사는 잘 팔릴 거라고 예상되는 도서만을 기획하고 출간하지 않는다. 다시 말해 대중에게 두루 읽힐 만한 콘텐츠의 보편성을 중요하게 살피면서도 동시에 보편적이지는 않지만 새롭고 낯선 세계를 열어내고 있는 콘텐츠를 만났을 때에도 출간을 주저하지 않는다. 하나의 문학작품 안에서도 보편성과 미학성은 늘 끊임없이 길항하는 것이다. 쉽게 이 두가지 가치의 우열을 말할 수는 없지만 두가지를 모두 지니고 있거나 어느 한쪽이든 끝까지 밀고 나간 것들은 ‘좋은 책’이라는 추상적 가치를 획득해낸다.

 

다음은 ‘정가’에 대한 질문이다. 종종 문학이나 출판계와 관계없는 지인들은 나에게 책이 한권 팔렸을 때 얼마를 버느냐고 물어온다. 나는 팔백원이라고 오래 대답했다. 얼마 전까지 내 첫 시집의 정가는 팔천원이었고 인세는 10퍼센트니까. 내 답을 들은 지인들은 생각보다 적은 금액이라며 놀란다. 글은 네가 썼는데 나머지 90퍼센트는 누가 가져가는 거냐고 되묻는 경우도 있다.

 

셈법을 쉽게 하기 위해 책의 정가를 만원이라고 하자. 출판사는 이 책을 칠천원 정도의 가격으로 서점에 판매한다. 그리고 천원은 작가에게 인세로 지급한다. 남은 돈은 육천원. 여기에서 제작비를 빼야 한다. 양장이냐 무선이냐 어떤 종이를 썼느냐 후가공은 어떻게 했느냐 등등 책의 차림마다 차이는 있지만 평균적으로 책의 인쇄 및 제작 비용은 권당 이천 오백원. 아울러 오백원 정도는 창고 및 물류비로 지출한다. 온도와 습도에 민감한 종이의 특성상 책은 다른 일반적인 공산품에 비해 창고 및 물류비 지출 비율이 높다. 그러면 출판사는 남은 삼천원으로 인건비와 임대료 등의 비용을 해결해야 한다. 서점 역시 만원짜리 책을 칠천원에 사 와 판매한다. 주로 인터넷서점에서는 정가의 십 퍼센트를 할인해서 구천원에 팔고 오백원 이내의 마일리지를 적립해주기도 한다. 오프라인서점에서는 주로 구매 전에 해당 도서를 살펴볼 시간과 장소를 제공하는 대신 정가대로 판매하는 경우가 많다. 다시 말해 한권의 책에는 작가와 출판사, 서점, 인쇄소, 출력소, 제본소, 후가공업체, 창고와 물류 등 여러 사람들의 팽팽하고도 온당한 몫이 담겨 있다.

 

끝으로 ‘제’에 해당하는 제도에 대해 되물을 필요가 있을 것이다. 현재와 같은 도서정가제가 시행되기 이전, 출간 일년 이내의 신간은 온라인서점에서만 십 퍼센트 할인, 오프라인서점에서는 할인이 금지되었지만 출간 일년이 넘는 구간 도서들은 규제 없이 할인 가능한 시기가 있었다. 그 옛날 보도 기사의 일부를 옮겨둔다.

 

온라인 서점과 대형 체인서점에 밀려 지역 토종 서점들이 잇따라 문을 닫고 있다. 대구지역 서점업계의 간판이던 중구 동성로의 제일서적이 지난 18일 부도 처리됐다. 대구에서는 지난 몇 년간 분도서점, 청운서림, 하늘북서점 등 도심에 위치한 토종 서점들이 잇따라 문을 닫았다. 춘천에서도 42년간 영업해온 청구서적이 매출 급감으로 이달 말 폐점할 예정이다. 작년에는 포항에 위치한 43년 역사의 경북서림이 폐점했으며 서울에서도 신촌의 신촌문고가 부도나는 등 서점들의 폐업과 부도가 잇따르고 있다. (…) 서점 관계자는 “온라인 서점을 갖춘 대형 체인서점에 밀려 동네 서점들이 설 곳을 잃고 있다”며 “온라인 서점과 오프라인 서점에 차등적으로 적용되는 현행 도서정가제가 서점간 양극화 현상을 더욱 부추겼다”고 지적했다.(「지역 토종서점 줄줄이 폐업」, 연합뉴스 2006.4.23)

 

도서정가제 시행 덕분에 더 좋은 ‘도서’들이 발간되었다고 단언할 수는 없다. 하지만 신생출판사 및 독립출판물의 증가에서 알 수 있듯 다양성의 증가로 이어진 것은 부인할 수 없다. ‘정가’ 역시 사실상 오르지 않았다. 정가를 턱없이 높게 책정한 다음 할인율을 내세우는 일부 행태가 불가능해진 것뿐이다. 그리고 이 ‘제도’는 2014년 시행 이후 독립서점을 다섯배 이상 증대시키는 효과를 만들어냈다. 어쩌면 도서정가제는 출판 생태계의 종다양성을 지키는 경계선 같은 것이다. 끝이라는 것이 아니라 이 경계부터가 시작이라는 이야기다.

 

지금 책상 위에 한권의 책이 있다. 어떤 사람은 책이 놓여져 있는 것을 보고 ‘책을 보다’라고 말할 것이고 또다른 사람은 책을 펼쳐 작품을 읽으며 ‘책을 보다’라고 말할 것이다. 도서정가제에 대한 논의를 위해서는 가장 먼저 나는 지금 책을 어떻게 보고 있는가를 물어야 할 것이다.

 

박준 / 시인

2020.9.9. ⓒ창비주간논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