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작과비평

창작과비평

창비주간논평

야스꾸니와 반중 감정

백영서 | 연세대 교수, 역사학


지난달 20일부터 이틀간 서울에서는 야스꾸니반대공동행동 한국위원회가 주최한 국제심포지엄 '세계의 눈으로 야스꾸니를 본다: 문명과 야만 사이'가 열렸다. 바로 그날, 일본에서 전(前)궁내청 장관이 1988년 작성한 메모가 공개되었는데, 그 안에는 히로히또 일왕이 A급전범 합사 이후 불쾌감을 표명하면서 야스꾸니신사 참배를 중단했다는 내용이 담겨 있었다. 이 사실이 보도되면서 일본은 물론이고 동아시아 전체에서 야스꾸니 문제가 다시금 관심을 끌고 있다. 적어도 8·15까지는 그 열기가 이어질 것이 분명하다.

그런데 야스꾸니 문제를 일본에서 논의중인 별도의 전몰자 추모시설을 설립하는 것으로 갈음하면 한중일 사이에 문제가 해결되는 것인가. 새 시설을 세우기까지 일본 내에서 적지않은 분란이 있을 터이나, 정말 실현된다 하더라도 동아시아 정부간의 외교관계 개선에는 보탬이 될지언정 야스꾸니가 상징하는 근본적인 문제가 해결될 것으로는 보이지 않는다. 그것은 동아시아 근대사의 전개과정에서 구조적으로 형성된, 한층 복잡한 동아시아 역사인식 문제의 일부이기 때문이다. 그러니 또다른 추모시설을 세우는 것으로 한국인과 중국인의 뿌리깊은 반일감정이 쉽게 해소될 리 없다. 바로 그렇기에 한국인과 중국인의 반일은 종종 일본인의 반중 및 반한(조선)과 연동되어 나타난다. 이 점을 명확히 인식해야만 비로소 진정한 화해로 나아갈 수 있다.

온전한 화해를 위해서는 일본인의 반중 및 반한(조선) 감정을 동아시아적 맥락 속에서 파악하는 한결 깊이있는 자세가 요구된다. 최근 한국에 대한 일본인의 감정은 한류의 영향과 한일문화교류의 진전에 힘입어 대체로 좋아졌지만, 그것과 표리를 이루기라도 하듯이 '반북조선' 감정이 폭발하고 일부에서는 혐(嫌)한류가 퍼지고 있다는 사실도 우리에게 어느정도 알려졌다. 이에 비해 일본인의 반중감정은 덜 알려진 편이다.

지금의 반중정서는 직접적으로는 1998년 11월 쟝 쩌민 국가주석이 방일했을 때 미래의 중일관계를 전망하면서 역사문제를 정면으로 거론하고 나선 데서 촉발되었다. 그후 2002년 5월 탈북자 다섯명이 랴오닝성 션양 일본영사관에 진입한 사건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중국당국이 일본측의 동의 없이 강제연행하는 장면이 여과없이 보도됨으로써 중국에 대한 나쁜 이미지가 미디어에 의해 증폭되었다. 그리고 유사한 보도가 잇따랐다. 그 결과 중국에는 인권감각이 없다, 법치국가가 아니다, 언론자유가 없다, 북한과 한편이다라는 식의 이미지가 확산되어갔다.

이런 현상을 역사적 관점에서 보자면, 막부 말기와 명치 초기에 그전까지 지녀온 중국에 대한 선망감이 희박해지고 멸시감이 생긴 이래, 선망감의 도착된 형태인 반중감정의 틀이 지금까지 유지되고 있는 듯하다. 그렇다고 그 틀이 역사의 국면 변화에 따라 변형되기도 했다는 사실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이 연속성 속의 변화에 착안할 때 긴 역사 속에서 구조화된 갈등을 해결할 실천의 근거를 찾아낼 수 있다.

여기서 오늘날 일본인의 중국관이 탈냉전 추세에서 그들이 겪는 정체성의 혼란이 표출된 것임에 주목하고 싶다. 동아시아 냉전을 동서진영간 대립과 각 진영의 내부역학의 연관관계란 관점에서 보면, 1972년 미중관계 정상화에서부터 흔들리기 시작한 진영간 대립이 90년대 들어 종식됨에 따라 각 진영의 내부결속이 이완되는 국제정세가 전개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일본은 한미일 동맹관계를 재조정하며 다양한 진로를 논의하고 있는 중이다. 그러나 당분간은 미일동맹을 강화하면서 중국과의 대립에 대비하는 '탈아(脫亞)'의 방향이 지배할 것으로 전망된다. 심지어 무섭게 발전하는 중국을 두려운 눈으로 보는 일본인의 위기감에서 수십년 뒤에는 '제2의 냉전'으로 접어들지도 모른다는 어두운 예측마저 나온다. 현재 일본인의 반중정서는 이런 불안의 소산이라 할 수 있다.

이런 갈등의 국면을 넘어서기 위해 우리가 수행하지 않으면 안될 일감이 있다. 유동하는 국제정세가 한반도에서는 오히려 냉전적 긴장을 격화시켜 동아시아인 간의 정서적 갈등을 더욱 조장하고 있는 오늘, 중국과 북한 대 한미일 동맹이 또다시 대립하는 신냉전질서가 출현할까봐 경계하는 소리가 들린다. 실제로 현실정치를 보면, 일본과 미국 그리고 한반도 남과 북의 일부 수구세력은 그런 식으로 동아시아 판도를 짜려는 것 같다. 그러나 진영간 경계가 흐트러져 국가간 상호의존이 다방면에서 돌이킬 수 없을 정도로 깊어질 뿐만 아니라 이전과 같은 진영 내부의 결속을 불가능하게 만드는 다양한 세력의 역량이 날로 성장하고 있다. 그러니 기득권을 수호하려는 구상은 달콤한 환상일 수밖에 없지 않은가. 바로 이 환상을 꿰뚫고 동아시아 협력체의 틀을 새롭게 구성하는 전략적 지성을 널리 결집시키는 일이 시급한 과제다.

특히 분단문제를 해결할 평화·통일세력이라는 이미지를 쌓아온 한국의 진보세력은 한미동맹과 다자주의의 균형을 남북공조와 결합시켜 남북문제를 해결할 방법을 제시해야 한다. 그럴 때 또다시 국민으로부터 호응을 얻고, 반일-반중-반한(조선) 감정의 연동작용을 억제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야스꾸니는 우리가 찾고 있는 그 해법과 관련되기에 문제삼는 것이다. 야스꾸니는 'A급전범 합사'나 '정교분리' 또는 '총리참배' 따위의 쟁점을 넘어선 냉전 부활의 상징이자 평화의 동아시아에 걸림돌이 되기 때문이다.


2006.08.01 ⓒ 백영서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