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작과비평

창작과비평

창비주간논평

『내가 태어나서 가장 먼저 배운 말』

피로, 작가들의 건강법
-김금희 외 『내가 태어나서 가장 먼저 배운 말』

 

 

rehhre‘해보자’의 글쓰기 vs ‘해봤자’의 글쓰기

 

글쓰는 사람이 쓰기에 대해 쓸 땐 두 경우가 있는 것 같다. 하나는 ‘해보자’의 글쓰기다. 야심이 넘실댄다. 뭐가 뭔지 모르겠지만 일단 써보겠단 말엔 수줍음이 느껴지나 포부의 농도는 짙다. 다른 하나는 ‘해봤자’의 글쓰기다. 침울함이 뚝뚝 떨어진다. 뭐가 뭔지 모르겠기 때문에 이 생활을 왜 하는지 모르겠다란 말엔 피로가 느껴지나 외려 건강의 수위는 높다. 각 작품마다 소재는 다르지만 대체로 ‘글을 쓴다는 것은?’이라는 물음이 겹쳐 있는 테마 소설집 『내가 태어나서 가장 먼저 배운 말』(한겨레출판 2015)을 지배하는 분위기는 후자다. 이 소설집에 참여한 열명의 작가들은 각자의 피로를 독자에게 이야기한다.

 

피로가 쌓이면 예민해진다. 간혹 선의는 비의가 되고 단어와 문장들엔 저의가 쌓인다. 피곤한 사람들은 이런 저의로 가득 찬 사회를 포착하는 눈이 밝다. 가령 이런 것이다. 오늘날 ‘○○을 준비하다’의 동의어는 ‘놀(쉬)고 있다’이다. ‘불우하다’의 동의어는 ‘(다들 힘겨우니 그 정도는) 평범하다’이다. ‘월세’의 동의어는 ‘(이 땅을 살아가는 자들의) 자세’다. 내가 보기에 작가들은 ‘잘 피로한’ 자들의 체질을 지녔다. 없으면 단련시켜야 한다. 그래야 버틴다. 해보자의 글쓰기를 얼른 ‘흑역사’로 부인하고 부질없음의 단계로 진입해야 한다. 찌질하진 않되 찌들어야 한다. 그것이 작가들의 건강법이다. 그렇다고 겁먹을 필요까진 없다. 피로를 활력으로 생각하는 이들의 문장에 졸릴 틈은 없다. 『내가 태어나서 가장 먼저 배운 말』을 관통하는 것은 ‘잘 표현된 피로’이기 때문이다. 내게 이 소설집은 열가지 색깔의 숙성된 피로론이었다.

 

열가지의 숙성된 피로론

 

그중 최정화의 「지극히 내성적인 살인의 경우」는 스스로 피로를 불러일으켜 누군가의 괜찮은 피로를 탐하고 싶은 욕망을 그렸다. 피로를 불러일으키는 이는 작가에게 작업실을 내주는 미옥이며, 미옥이 소유하려는 것은 소설가 오난영과 그녀의 피로에 묻은 예민함이다. 미옥은 난영에 비해 둥글둥글하다. 반면 난영은 작가 하면 떠오르는 민감함이 배어 있다. 처음엔 난영은 미옥이 가까이하기엔 먼 ‘선생님’이다. 그러나 난영이 집필 중인 원고를 하나둘 보여주기 시작하면서 관계의 주도권이 미옥으로 향하게 된다. 좋은 말만 일삼던 미옥은 자신의 반응에 안절부절못하는 난영의 모습을 읽게 되고, 까칠한 반응을 부러 지어낸다.

 

이 작품은 제목처럼 ‘내성적’이기보단 엄밀히 말해 ‘내향적’이다. 미옥과 난영은 서로의 행동과 거리감을 신경 쓸수록 자신의 에너지가 소모되는 것에 민감해진다. 미옥은 난영을, 난영은 미옥을 외부의 자극으로 인식하면서 서로를 점점 ‘앗아가는’ 존재로 대한다. 독자들의 일상에 깃든 피로를 관찰하고 활용해 생업을 이어가는 작가의 전략은 거꾸로 독자인 미옥의 것이 된다. 작가의 모습을 보며 옴짝달싹하지 못하던 독자는 작가의 피로를 간파해 자신에게 깃든 피로의 품질을 높인다. 작품 후반부, 난영의 신작 북콘서트 장면을 통해 최정화는 작가의 피로를 독점적으로 소유하려는 독자의 모습을 써스펜스 스릴러처럼 보여준다.

 

최정화가 소설가와 독자 사이의 피로를 둘러싼 고투를 이야기한다면, 박민정의 「아름답고 착하게」는 대필작가와 자서전 속 주인공이 벌이는 피로전이다. 자서전 대필을 부탁하는 교수가 가진 것은 글재주가 아니라 부유함과 미담의 건덕지를 잘 아는 능력이다. 교수는 주인공에게 ‘아름답고 착하게’란 문장만 직접 남긴 채 나머지 내용을 부탁한다. 쓰고 싶은 것만 쓰면서 살 줄 알았던 주인공은 피곤해진다. 교수가 자신의 약점인 ‘생활’을 건드리기 때문이다. 교수는 호화스런 작업실 제공부터 주인공의 자식이 좋아할 법한 그림책 선물까지 생활상의 세심한 편의로 주인공에게 다가간다. 교수와의 작업을 통해 주인공은 ‘해보자’의 시절을 씁쓸하게 그리워한다. 그러면서 ‘해봤자'의 글쓰기로 자신의 마음을 동여맬 수밖에 없는 피곤한 처지를 돌아본다.

 

이렇게 피로가 쌓인 자들은 감탄에 머뭇거리기 마련이다. 쉽게 감탄하는 사람들은 잘 피로한 자들의 먹잇감이 되기 쉽다. 그래서인지 작품들의 기운은 대체로 착잡한 편이다. 다들 뭔가에 데이기라도 한 듯 조심스럽다가도 신중함 끝에 주고받는 작품 속 인물들의 말은 사뭇 따갑다.

 

문학, 피로를 긍정할 수 있는 미로

 

따가우면 말과 글이 망설여진다. 허나 피로로 단련된 자들은 안다. 글이 망설여지고, 급기야 안 써지는 순간마저도 작품이 되어야 한다는 것을. 참 얄궂지만 ‘매문(賣文) 인생’은 그렇게 시작된다. 김수영이 「이 거룩한 속물들」이란 에세이에서 털어놓았듯, 해보겠다는 활력이 한창 달아오를 때엔 세상은 그 활력이 주도하는 내용에 관심이 없다. 그러다 내 몸과 마음에 모든 기운이 사라지고 피로에 허덕이면 세상은 그때서야 예전에 품던 활력을 청탁한다. “쓴 것을 후회한다/후회하는 것을 지운다/지운 것을 후회한다/후회하는 것을 다시 쓴다”(이제니의 시 「분실된 기록」)의 과정이 반복된다. 반복된 과정 속에서 작가들은 피로란 몰아내야 할 병이 아니라, 세상에 상처받지 않기 위한 약이 됨을 깨닫는 자들이다.

 

피로라는 건강법에 단련된 이 열명의 작가들은 글쓰기의 현실에 대한 의미를 재배치한다. ‘후회하다’를 ‘감당하다’의 동의어로, ‘(마냥) 긍정하다’를 ‘잊히기 쉽다’의 동의어로 피부에 익힌 채 살아가는 것이다. 이를 “현실로 현실을 수선하기”라는, 영화감독 로베르 브레쏭의 말로 꿰어볼 수 있다면, 내게 이 소설집은 피로로 피로를 수선하는 사람들의 기록이다. 언제나 그랬듯 문학은 늘 내게 ‘살 만해?’ 하고 묻는다. 평탄하지만 피곤한 질문이다. 그 피곤함 때문에 문학이 재미있다. 문학은 내가 이 피로를 유일하게 긍정할 수 있는 피곤한 미로이기 때문이다. 오늘도 헤매지만 견딜 만하다. 헤매기에.

 

 

김신식 / 감정사회학도, 『말과활』 기획위원

2015.10.14. ⓒ 창비주간논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