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작과비평

창작과비평

창비주간논평

장편소설 대망론에 거는 기대와 우려

권성우 | 문학평론가, 숙명여대 교수


한국소설의 위기를 장편소설의 활성화를 통해 돌파하자는 제언들이 최근 부쩍 많이 등장하고 있다. 한겨레신문 최재봉 기자의 〈한국소설, 장편으로 진화하라!〉(《한겨레》2007.1.1)로 촉발된 이러한 논의는, 문학평론가 남진우의 〈장편소설의 시대를 열기 위하여〉(《한국일보》2007.1.10)에 이어 《창작과비평》 2007년 여름호의 특집기획 '한국 장편소설의 미래를 열자'를 통해 한층 구체적이며 포괄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특히 《창작과비평》의 최근 논의는 장편소설에 대한 작가들의 육성을 담고 있다는 점에서 이 시대 소설문학의 진로에 대한 소중한 참조가 되리라고 본다.


단편 중심의 소설문학에서 탈피하여 장편소설의 활성화를 기대하는 이러한 논의들이 지금 이 시대 소설문학의 침체를 극복하고 새로운 소설의 시대를 열어젖히고자 하는 진지한 모색의 일환이라는 사실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어 보인다. 아울러 최근의 장편소설 대망론이 국제화시대에 한국문학의 위상을 제고시키고자 하는 의도에 의해 추동되고 있다는 점도 눈여겨보아야 할 것이다.

   

창조적 장편의 시대를 대망하는 몇몇 논자들과 《창작과비평》의 입장에 한편으로는 공감하면서도, 또다른 한편으로는 이 논의들이 미처 헤아리지 못한 몇몇 지점들이 마음에 걸렸다. 이제 그 점들에 대해 얘기해보려고 한다.    

장편소설론, 역사에서 배운다


모든 비평적 논의는 반복된다(나는 최근에 식민지시대의 대표적인 비평가 임화[林和, 1908~1953]를 연구하면서 그가 약 70년 전에 고민한 비평적 과제들이 지금 이 시대의 그것과 놀랄 만큼 유사하다는 사실을 발견한 바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지금 이 시대의 문학논점에 대해 온전히 얘기하기 위해서는 고고학적 시선을 지닐 필요가 있다. 주지하다시피 1930년대 말에도 장편소설론이 활발하게 대두되었다.


당시 김남천(金南天) 등에 의해 제기된 장편소설론은 일제의 군국주의 파시즘화라는 엄혹한 상황에서 문학의 현실성과 총체성을 창조적으로 복원하며 당시의 소설문단을 객관적으로 성찰하고자 하는 시도로 전개되었다. 말하자면 당시 제기된 장편소설론은 단지 소설의 분량이나 형식 차원이 아니라, 변화된 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자 하는 첨예한 시대사적 문제의식을 동반하고 있었다. 그것은 또한 이념과 일상의 괴리 속에서 어떠한 장르를 통해 시대의 본질을 포착할 수 있는가 하는 근본적인 질문을 포함했다.


가령, 김남천의 〈조선적 장편소설의 일 고찰〉(《동아일보》1937.10.19~10.23), 〈장편소설에 대한 나의 이상〉(《청색지》1938.8), 〈장편 소설계〉(《조선문예연감》1939) 등에서 당대의 사회적 상황 및 저널리즘과의 교섭문제, 비평의 기능, 신문과 출판의 상업주의, 통속성 등에 대해 두루 언급하고 있는 것이 그 예다.


장편소설의 강조 속에서 놓칠 수 있는 것들


이에 비추어볼 때, 최근에 제기되고 있는 장편소설 활성화론은 세계관의 문제, 문학적 가치의 문제, 시대사적 전망을 지나치게 경시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되물을 필요가 있을 것이다. 물론 1930년대 말에 제기된 장편소설 논의가 지금 이 시대의 문학적 정황에 기계적으로 대입될 이유는 전혀 없을 것이다. 그러나 동시에 이 시대 소설문학의 위기가 단편소설을 장편소설로 대체하는 방식으로 온전히 돌파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은 분명 일면적인 견해일 따름이다.


이미 소설가 황석영이 수차 지적한 대로 이 시대 소설문학의 위기는 현실에서 멀어지면서 시대에 대한 성찰을 제대로 보여주지 못한 점에서 비롯된 것이 아닐까. 그러므로 지금 이 시대 소설문학의 위기를 제대로 돌파하기 위해서는 소설 형식이나 분량 차원의 문제의식에서 더 나아가 과연 어떠한 방식의 소설쓰기가 이 새로운 시대에 대한 성찰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는가 하는 문제의식이 긴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보면, 장편소설의 활성화가 필요하다는 제언을 곧이곧대로 수용하더라도, 저널리즘, 출판 등의 문학제도가 "점점 강화되는 자본의 포섭"(최원식)에서 자유롭지 않은 이 시점에서 그러한 자본의 포섭력에서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영역이 중단편소설에 있다는 점도 명심할 필요가 있다. 어떤 측면에서 보면 상업적 이해관계에서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중단편소설이 꾸준히 활발하게 생산되고 있다는 것이야말로 외국문학과 변별되는 우리 소설문학의 독자성이자 특수성이리라. 이러한 점들이 과연 극복과 청산의 대상인가 하는 점은 좀더 엄밀한 고려와 심화된 토론을 요구하는 문제이다.


계간지 중심 문학제도의 양면성

또한 계간지 중심의 문학제도가 장편소설의 활성화에 장애가 된다는 의견도 다른 차원에서 바라볼 필요가 있다. 예컨대 《창작과비평》을 보자. '창비'는 푸꼬적인 의미의 문화권력이면서도 동시에 제도에 대해 성찰하는 비판적 지성의 참호이기도 하다. 이러한 계간지의 양면적 성격에 대한 열린 이해가 필요하다.


문예계간지의 비판적 성찰의 역할과 대화적 비평의 기능이 온전히 활성화되지 않은 이 시점에서 볼 때, 경우에 따라 장편소설의 무원칙한 양산은 그나마 소극적으로 유지되고 있던 계간지의 긍정적 역할과 비판적 성찰의 기능을 제도적으로 축소시킬 가능성도 있다. 그러했을 때, 한국소설의 장편화는 안 그래도 심각한 출판상업주의를 한층 노골적으로 가속화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되리라. 그러한 과정은 장편소설의 상업적 가능성에 비평적 성찰의 역할을 종속시키는 결과를 동반할 수도 있다.


시대적 성찰과 비평적 대화로 진정한 장편시대를


물론 나는 지금보다 장편소설이 한층 활발하게 창작되어야 한다는 점에 대해서는 어떠한 이견도 없다. 다만 장편소설 대망론에 앞서 시대적 성찰과 비평적 대화의 복원을 통해 장편소설의 가치와 작품의 질에 대한 활발한 토론이 가능한 문화가 전제되었을 때, 장편소설의 진정한 융성이 가능하리라고 본다. 예를 들어 문예지 상호간에 작품을 둘러싼 논쟁과 해석학적 대화가 활성화되어야 한다. 현재 이러한 대화가 부족하다는 점이 바로 이 시대 소설의 위기를 가져온 중요한 원인이 아닐까 싶다. 이러한 토론과 비평적 기능의 활성화는 앞으로 이 땅의 장편소설이 진정한 문학적 경쟁력을 확보하는 데 커다란 도움이 될 것이다.


나는 한 사람의 비평가로서, 비판적 지성의 산실이었던 '창비'가 지금까지 제기한 문제의식을 온전히 감당할 수 있는 열린 비평적 거점이 되기를 고대하고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창비의 장편소설 대망론이 한국소설을 한 단계 도약시키는 긍정적인 촉매제가 되기를 희망한다.


2007.6.12 ⓒ 권성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