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작과비평

창작과비평

정기구독 회원 전용 콘텐츠

『창작과비평』을 정기구독하시면 모든 글의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구독 중이신 회원은 로그인 후 이용 가능합니다.

심사경위

 

만해문학상 운영위원회는 『창작과비평』 창간 50주년을 맞는 올해 이 상의 제정 취지를 한층 강화하기 위해 2016615일 개편안을 의결하였다. 이에 따라 상금을 2천만원에서 3천만원으로 올리고, 기존의 추천 방식이 아니라 예심제를 통해 ‘본심 진출작’을 선정하며, 본심은 두 차례로 나누어 1차 본심에서는 ‘최종심 대상작’ 목록을 확정하고 최종심인 2차 본심에서는 그중의 한 작품을 ‘수상작’으로 선정하기로 했다. 아울러 만해문학상 특별상을 신설하여 해당하는 작품이 있을 경우는 본상과 다른 장르의 작품에 수여할 수 있게 했다.

만해문학상 운영위원회는 올해 예심위원으로 김소연 박형준 손택수(이상 시부문) 강경석 김미정 이경재(이상 소설부문)를 위촉했고, 이들은 해당 장르의 문예물뿐 아니라 문학적 성과가 인정되는 비문예물에 대해서도 대상작을 선정하여 예심을 진행하였다. 만해문학상 규정에 따라 등단 10년 이상 또는 그에 준하는 경력을 가진 최근 3년간(2016615일까지 출간된 작품)의 한국어로 된 문학적 업적을 대상으로 한 예심에서 아래와 같이 시집 6종, 소설 5종, 비문예물 3(총 14종)을 본심 진출작으로 선정했다.

강은교 『바리연가집』, 송경동 『나는 한국인이 아니다』, 송찬호 『분홍 나막신』, 송태웅 『파랑 또는 파란』, 이기성 『채식주의자의 식탁』, 장철문 『비유의 바깥』(이상 시), 권여선 『안녕 주정뱅이』, 김경욱 『개와 늑대의 시간』, 윤이형 『러브 레플리카』, 이인휘 『폐허를 보다』, 한수산 『군함도』(이상 소설), 416 세월호참사 작가기록단 『다시 봄이 올 거예요』, 김형수 『소태산 평전』, 박점규 『노동여지도』(이상 비문예물).

역시 만해문학상 운영위원회가 위촉한 4인의 본심위원들은 841차 본심을 열고 총 14편의 본심 진출작을 대상으로 한 심사에서 앞의 발표문에 나온 대로 시집 2종, 소설 3종, 비문예물 2(총 7종)을 ‘최종심 대상작’으로 결정했다. 이 작품들을 후보작으로 하여 이후 9월 초순의 2차 본심(최종심)을 거쳐 10월초 2016년 만해문학상 수상작이 결정되며 자세한 심사평은 『창작과비평』 2016년 겨울호에 발표된다. 본심위원 명단도 추후 수상작과 함께 공개될 예정이다.

최종심 대상작 7편을 비롯한 총 14편의 본심 진출작에 대한 예심평은 다음과 같다.

 

 

 

본심 진출작 예심평

 

시부문

강은교의 『바리연가집』은 제목 그대로 연가는 연가이되 무섭도록 쓸쓸한 연가이며 그리움에 사무치게 하는 시집이다. 그래서 절망인 듯하면서 희망이고 고통인 듯하면서 신생인 가능성과 만나게 된다. 송경동의 『나는 한국인이 아니다』는 확고한 계몽의 언어가 현장의 구체적 감수성에 의해 유연해지고 변동하는 노동세계에 대한 통찰과 자기부정의 방식을 통해 노동시의 좌표뿐 아니라 시의 지형도를 새로 그려가고 있음을 보여준다. 송찬호의 『분홍 나막신』은 화려한 감탄이나 심오한 지혜 같은 걸 문장으로 동원하지 않고서도, 읽는 이로 하여금 기적을 목격한 느낌이 들게 한다. 이 기적은 언제나 인간에 대해 낙담하고 인간이 사는 세상에 대해 치욕을 느끼는 자들을 각성하게 한다. 송태웅의 『파랑 또는 파란』을 발견한 기쁨은 크다. 온갖 신산고초를 겪어낸 개인의 삶과 시대의 아픔이 하나로 녹아 있는 이 시집은, 서정시가 사회를 놓치지 않으면서도 한 개인의 맑은 노래가 될 수 있음을 탁월하게 보여주는 예라고 할 수 있다. 이기성의 『채식주의자의 식탁』은 서정적이며 전위적이고, 야성적이며 지성적이고, 이미지와 관념이 관능적으로 넘나들며, 완성도를 이룬 채로 자유롭다. 이 양극을 절충하지도 타협하지도 않은 채로 양극 모두를 성취한다는 것은 충분히 가능하며, 그 가능이 곧 우리가 찾고 있는 새로운 목소리라는 것을 알아채게 하는 놀라움이 가득하다. 장철문의 『비유의 바깥』은 독창성이 어떤 유형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질감의 문제라는 인식을 뒷받침하는 지표다. 실재와 언어의 불일치 혹은 균열에 대한 도저한 절망으로부터 전개되는 그의 시는 부정정신이 서정을 만날 때 어떻게 과잉된 감각들로부터 벗어나 구체적 일상의 세계를 보듬게 되는지를 간명하게 보여준다.

 

소설부문

권여선 소설집 『안녕 주정뱅이』는 삶의 가차없음을 향해 망설임 없이 직핍해 들어간 일곱편의 기록으로 채워져 있다. 신산하기 이를데없는 주인공들의 삶은 작가의 이지적 균제력에 힘입어 신파조를 훌쩍 뛰어넘곤 하는데 그 아슬아슬한 경계를 끝까지 견뎌내는 집중력이야말로 권여선 소설이 안겨주는 절실한 감동의 원천이라 할 수 있다. 김경욱 장편 『개와 늑대의 시간』은 1982년 ‘우순경 사건’을 작가 특유의 블랙 유머, 아이러니, 가독성 높은 문체에 실어 풀어냄으로써 독자로 하여금 읽는 재미를 느끼게 한다. 하지만 어느 순간 이 이야기가 단지 유희를 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님을 깨닫게 되는 아이러니가 이 소설의 가장 큰 미덕이다. 윤이형 소설집 『러브 레플리카』는 근대의 보편적인 가치에 이제껏 포함되어본 바 없는 것들을 통해 보편적인 인간을 둘러싼 우리의 통념이나 감각을 질문하게 한다. 이런 의의뿐 아니라 언어로 표현할 수 있는 최대치의 상상력과 세계를 자유자재로 보여주는 점도 눈여겨볼 바이다. 이인휘 소설집 『폐허를 보다』는 저마다의 개성으로 충전된 다섯편의 중단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오랫동안 문학장의 중심부에서 소외되었던 노동, 현장, 운동과 같은 주제가 망라될 뿐 아니라 그것을 지나간 과거의 시간에 유폐시키지 않고 살아 있는 오늘의 문제로 현재화하는 데 성공하고 있다. 한수산 장편 『군함도』는 강제징용과 조선인 피폭 문제가 동아시아의 공존을 말하기 위해 반드시 거쳐야 하는 현대적 과제라는 사실을 알려준다. 이름 없이 스러져간 민초들을 하나의 개성으로 살려낸 작가의 상상력과 군함도의 돌멩이 하나까지도 눈에 잡히도록 묘사한 고증의 공력이 서로 우열을 가리기 힘들만큼 잘 어우러져 있다.

 

비문예물

416 세월호참사 작가기록단의 『다시 봄이 올 거예요』는 『금요일엔 돌아오렴』(2015)의 후속작으로 세월호를 한국의 십대 학생들을 통해 재현함으로써 이른바 ‘세월호 세대’라는 확장된 문제틀과 연동 가능하게 만들었다. 또한 한명의 시선에 의해 소실점을 가지는 내러티브가 아니라 문제의 당사자성을 자각하는 이들의 다양한 시점과 말이 담겨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기록이다. 시인이자 소설가인 김형수의 『소태산 평전』은 원불교의 창시자 소태산(少太山) 박중빈(朴重彬) 대종사의 생애와 사상을 집대성한 저서다. 전기문학의 전통이 부실하고 토착사상에 대한 관심이 희박한 문화사적 가난 속에서 저자가 교도가 아니면서도 교도와 비교도가 두루 읽을 만한 저술이 이러한 종교적 체득의 깊이를 지니고 출현했다는 것 자체가 하나의 경이다. 박점규의 『노동여지도』는 전국을 돌며 노동현장에 드러워진 그림자를 양지바른 곳으로 옮겨와 세세히 알려준다. 그 생생함은 결국 이 문제에 누구나 연루되어 있다는 것을 깨닫게 하는 힘으로 작용한다.

강경석 김미정 김소연 박형준 손택수 이경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