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작과비평

창작과비평

정기구독 회원 전용 콘텐츠

『창작과비평』을 정기구독하시면 모든 글의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구독 중이신 회원은 로그인 후 이용 가능합니다.

 

 

엄원태 嚴源泰

1955년 대구 출생. 1990년 『문학과사회』로 등단.

시집 『침엽수림에서』 『소읍에 대한 보고』 『물방울 무덤』 『먼 우레처럼 다시 올 것이다』가 있음.

wteom@naver.com

 

 

 

이 동물원을 위하여 8

여우 길들이기

 

 

은여우는 꾀 많고 영악해

고슴도치보다 길들이기 어려운 동물이지

 

은여우 조련은

코끼리 조련보다 더 영악한 방법이 필요하지

 

여우 사(舍)에 낮엔 종편채널을

밤엔 유튜브 방송을 줄곧 틀어놓는 거야

 

벨랴예프 방식1보다 덜 과학적이긴 하지만

여우에겐 더 효율적이고 어울리는 방식이긴 해

 

자신이 길드는 걸 알지 못하게 한다는 건 비윤리적이긴 하지

은여우에겐 좀 미안한 일이지만

 

공영방송을 보다가도 바로 결정적인 순간에,

훅 치고 들이대는 CF들에 우리는 분노를 느끼지만

 

그런 폭력적 광고 방식을 도입하고 제도화한 주체가 누구인지는

아무도 굳이 알려고 하진 않지

 

길든다는 건 그런 거지

 

동물원이 떠안아야 하는

운명 같은 것이기도 하다네

 

 

 

이 동물원을 위하여 9

내부의 적

 

 

양을 잡아먹던 늑대들이 소탕되자

옐로우스톤에서 늑대가 멸종되었다고

늑대가 사라지자, 엘크가 폭발적으로 늘어났다고

그러자 풀과 나무들이 급속도로 사라지고

덩달아 새와 곤충이 사라졌다고

사라진 풀 때문에 강둑이 마구 훼손되고

물고기와 비버까지 살기가 어려워졌다고

 

활어차에 메기 한마리 넣어 청어를 더 싱싱하게 운반한다는

메기효과는 진실이 아닐 수 있겠지만

가혹한 환경이 인류의 경쟁력을 높인다는 토인비 선생의 말씀은

적어도 이 동물원에선 진실이 맞겠다 싶다

 

동물원에선 지금

경쟁자가 사라지고 있기 때문이다

 

경쟁을 통해 형평과 균형에 도달한다는 건 너무 이상적인 역설일 뿐

 

내부의 적은 단호하게, 제거되어야 하고

가혹하게, 제거되는 중이다

 

그것이 지구라는 이 동물원 공동체의 운명이 달린 일이라 할지라도

 

종말은,

내부의 적이 절멸되는 날에서 멀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에도 불구하고

 

세상의 적이란 적은

모두가

지구라는 이 거대 동물원 내부의

적일 것이기 때문에

 

사랑하는 그대들이여,

진정 적은 우리의 안과 바깥 구분 없이 존재함을

외계인이라도 침공해 와야 인정하겠는가,

이미 온난화와 미세먼지의 거대한 침공을 받는 중인데도 불구하고

 

 

  1. 1952년 드미뜨리 벨랴예프(Dmitri Belyaev)라는 러시아 생물학자는 사나운 은여우를 길들여보기로 결심했다. 우리 앞에 갔을 때 그나마 호기심을 갖고 다가오는 여우들만 선별해 번식시킨 결과, 길들여진 여우가 단 8세대 만에 나타났다. 45세대 이후 태어난 여우는 80퍼센트 이상이 사람을 따랐다. 명백하게 길들여진 것이다. 궤도 『궤도의 과학 허세』, 동아시아 2018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