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작과비평

창작과비평
촌평

 

이선영 시집 『일찍 늙으매 꽃꿈』, 창작과비평사 2003

탈수의 디자인

 

 

장석남 張錫南

시인, 한양여대 문창과 교수 sssnnnjjj@hanmail.net

 

 

일찍늙으매

사실(事實)이라고 하는 것이 주체(主體)의 시선(視線)을 거치는 동안 필연적으로 그 깊이만큼 굴절된다는 점을 인정한다면, 시는 굴절을 거친 사실들의 언어적 무늬라고 해도 틀리지 않으리라. 문제는 그 ‘깊이’의 관용도에 있다. 그러나 넓게 보면, 굴절을 거치지 않는 사실이란 있을 수 없겠으나 최소한 시가 요구하는 것은 그 가파름을 통과하는 빛이 일상의 차원을 벗어나는 지점에서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실질적 사실과 굴절된 사실 사이의 폭과 깊이에 참여하여 그것을 체험[享受]하기 위해 독자는 모든 새로운 작품 앞에서 긴장하며 행복을 예비하게 된다.

이선영(李宣姈)이 네 권의 시집을 가지면서 고집스럽게 하나의 방법적 세계를 구축해가고 있다는 발견은 미처 예비하지 못한 행복의 긴장감을 건드린다. 이선영이 ‘저질러놓은’ 새 시집 『일찍 늙으매 꽃꿈』에서 발견되는 두드러진 ‘굴절 공간’은 우선 탈수(脫水)된 것들이거나 탈수되고 있는 사실들에 대한 진술이다. 그것은 작품 속을 살아가는 주인공의 심리가 어떤 시공간에 놓여 있는지를 대변한다. 시집에 배열된 첫번째 시가 「낙엽」이고 두번째 시는 「선인장」, 세번째 네번째가 「마른 꽃」 「시든 꽃」이다. 모두가 탈수된 심상들의 표상이 아닐 수 없다. 이 앞쪽에 배치된 시적 자아들은 “나라는 사막을 견디려고/모든 꽃들은/타고난 잎을 버린다”(「선인장」)에서 나타나듯 갈증에 시달린다. 그 비극은 인용된 시에서의 나=사막이라는 등식 자체(이미 그토록 담담해졌다는 비극!)에 있다기보다는 그토록 담담한 인식에 이르는 과정에 고스란히 노정된다.“때가 오면 저처럼 순순히 떨어져내려야 한다/내가 기댄 한 세계였던, 혹은 연인이었던 나무의 또다른 미래를 위해//나는 한장 자연의 잎”(「낙엽」)에서 드러나듯 나는 ‘남대천’에 알을 까고 둥둥 떠내려가는 ‘연어’이자, 아들에게 업혀 ‘다시는 돌아올 수 없는 길’을 가는 영화 속 고려장의 주인공 ‘오린 할머니’이고 ‘당신의 세계를 함께 가꿔왔던’ 나뭇잎이었지만 어느 순간 스스로 떨어져야 하는 존재인 것이다.

더불어 영혼이 육체를 버린다는 인식이 보태지면 더더욱 강도가 높아진다.“사랑은 말라붙은 꽃만 남기고”(「마른 꽃」)“영혼이 저만 따뜻한 곳 찾아 들어가버린” 문밖에 “영혼이 놓아두고 간/시든 꽃잎들은/이제 아무데로나 떨어져내릴 것”(「시든 꽃」)이다. 그러한 거듭되는 비극적 상상의 발견은 무섭기조차 하다.‘사막’이 되기 전까지 ‘나’는 생산적이었다는 그 암시적 진술이 관념에 머물 때 시적 울림은 사라져버리지만 사실로서의 육체를 획득할 때는 울림이 전이된다. 구체적인 일상 속으로까지 침투해오는 체감의 언어가 제시되는 것은 일련의 산고(産苦) 시편들에서다. 「네가 꽉 채운 나의 배는」 「산고, 탈고, 배설고」 「내가 천사를 낳았다」 등이 그것인데, 이 시들을 읽는 일은 고통스럽다. 놓여날 길 없는 운명에 대들어보기도 하지만 결국 ‘고분고분’ 따라가며 타이를 수밖에 없는 화자는 결국 큰 기쁨을 낳지만 지울 수 없는 “죽은 자줏빛 줄무늬만 또 한줄”(「산고, 탈고, 배설고」) 길고 깊게 그어져 있을 것이라는, 탄생에 겹친 죽음을 발견한다. 그것이 결국 ‘탈수’의 근원 이미지였던 것이다. 그런데 뒤이어,“내가 너에게 한 짓이 무엇이냐/한평생 거기에서 놓여날 길 없는/변기 위에 너를 잡아앉힌 것?”(「네가 그 위에 앉아 있을 때」)이라는 ‘잡아앉힌’ 사나운 어조는 스스로 놀라는 사나움의 표출이다. 딸아이가 변기 위에 앉아서 짧은 다리가 바닥에 닿지 못하고 대롱거리고 있을 때 발견되는 고립의 상징성은 ‘나’이면서 동시에 ‘나의 과거’이자 ‘미래’다. 그 놀라움은 곧이어 “내 속에서 천사가 나왔다/내게 남은 것은 시커멓게 가라앉은 악의 찌끄러기뿐이다”(「내가 천사를 낳았다」)라는 자의식을 낳는다. 악은 내게 주고 천사―여기서 릴케가 그렸던 천사의 이미지에 모종의 연락을 취하고 있음을 발견하게 된다―가 떠나가거나 “도무지/뿌리칠 수가 없는/너, 너의/착취”(「사랑, 그것」)에 의해 ‘나’는 ‘사막’이 되어갔던 것이다.

 

잎들이/내 살갗을 뚫고 숭숭 돋아나온다/불거진, 붉은/이파리들 잔뜩 내뱉은 이 나무가/안에서는 폐허를 만들고 있는 이 나무가/바로 단풍(丹楓), 나무

―「단풍」 부분

 

첫 파수(破水)의 기억만 어렴풋, 나무들의 자궁이 닫히기 때문이다//낳는다는 것은/나의 죽어가는 세포가 새로운 세포를 만들어내는 것이다//나의 아이들, 가을에 떨군 내 잎들

―「가을 잎」 부분

 

너는 두꺼운 한권의 비밀!/나의 눈 바깥에 있는 또다른 너/너의 시작이 그랬듯이 뿔뿔이 흩어질 것만 같은 네 몸에/내 두 눈을 온통 쏠리게 하는/때로 네 몸 하나가 내 두 눈의 천체(天體)가 된다

―「내가 읽고 또 읽는 너의 몸」 부분

 

내가 사막이 되어가는 과정은 거기에만 그치지 않는다.“끝내 다 읽을 수도 없을” “두꺼운 한권의 비밀”을 생산해냈고 그것은 내 전생애가 볼 수 있는 전체(천체)였던 것이다. 그 기름진 그리움은 아슬아슬하고 위태롭고도 아름답다. 몸이라고 하는 늙어가는 비밀의 생성과 소멸의 과정이 이 아름다운 시를 돌올히 빛낸다.

그의 대개의 시어법의 경직성과는 무관하게 우리 시의 전통에서 발견되는 한(恨)의 정조를 새삼 발견하게 되는데 자의적 해석의 위험을 무릅쓴다면 그 한은 전통 속에서의 ‘여성적 한’과는 다른 맥락의 ‘생태적 한’ 또는 여성의 ‘자의식적 한’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선영의 가장 아름다운 시는 그러나 여성성이 그대로 노출된 시이기보다는 다음과 같은 시다.

 

눈이여, 너는

땅에 닿지 말아라

너는 하늘에서 와르르 무너져내리는 유리창, 공기의 하얗게 벌어지는 열매여서

땅에 내린 너는 깨어진 조각이고 으깨어진 열매이다

눈송이여, 잠깐만 나를 가두어다오

땅 위에서 나의 종적(蹤迹)을 찾을 수 없게

 

눈이여, 너는

땅에 살지 말아라

공중으로 잠깐씩 들어올려지고 싶은 육체들을 거두어들이는

날아다니는 밀실(密室)이 되어라

―「눈」 전문

 

하늘의 유리창이요 공기의 열매인 눈은 땅에 닿으면 곧바로 깨어진 조각이고 으깨어진 열매다. 땅위에서 종적을 감추고 싶은 내가 숨을 곳은 눈송이 속이다. 그것은 깨어진 파편이고 으깨어진 것이기에 나를 감추기에 알맞다. 왜냐하면 내가 바로 그러한 존재이기 때문이다. 공중으로 잠깐씩 들어올려지고 싶고 가벼워지고 싶은 육체란 무엇인가. 그것은 살아 있는 육체이기보다는 죽어가는 육체에 가깝다. 산산이 부서진 육체가 튀어오르는 공중,살아가지만 아주 으스러지지 않고 반복하는 슬픈 육체가 때로 숨고 싶은 공중정원이 바로 날아다니는 ‘밀실’인 것이다. 함박눈이거나 눈보라 속이 밀실이라니! 이 역설이야말로 실로 아름다운 비극의 드라마가 아닐 수 없다.

이선영의 자아들이 인식하는 ‘사막’ 내지는 ‘늙음’은 시적 자아의 개인사적 해석의 지평에 가두어지길 거부한다. 여성성이라는 틀에 가둘 수 없는 무엇이 그의 시를 빛나게 하는 것이다. 우리는 자연스럽게 그 지평의 바깥을 넘어가볼 필요가 있다. 왜 그런가, 거기엔 우리들의 사회구조―모든 단계에서의 생산계급의 탈수현상―의 단면이 넌지시 개인의 일상사 속에 철저하게 숨겨놓는 방법으로 드러내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개인이면서 전체의 몸이 그의 시에는 숨어 있는 것이다. 어느 글귀에서처럼 시인에게 세계는 언제나 너무 슬픈 장소다. 그 개인을 벗어난 사실 내지 현실해석의 심리들이 다양한 무늬로 떠올라 있기 때문이다. 지금, 그러나 슬픔이 과도하지 않을 때 나머지 슬픔을 우리 독자들은 간직하게 된다. 그런 의미에서 이선영의 사막은 그 여백과 같은 곳이다.

장석남

저자의 다른 계간지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