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창비
  • 日本語
  • English
  • 中文
  • 로그인
  • 회원가입
  • ID/PW찾기
  • 고객센터

계간지

검색

상세검색
  • 『창작과비평』 읽기
  • 창비주간논평
  • 온라인 연재
  • 『창작과비평』 소개
    • 계간 『창작과비평』 소개
    • 계간 『창작과비평』 연혁
    • 창비를 말한다
    • 편집위원 소개
  • 구독 안내
    • 종이구독 신청
    • 전자구독 신청
    • 창비어린이 구독 신청

김종엽 (金鍾曄) Kim, Jong-yup

저자소개

金鍾曄

1963년 경남 김해 출생. 현재 한신대 사회학과 교수, 문화평론가. 계간『창작과비평』 편집위원.
저서로 『웃음의 해석학』(1994)와『연대와 열광』(창작과비평사 1998), 역서로『토템과 터부』(1995), 편서로 『87년체제론』(2009)이 있음.

 

Born in 1963 in Gimhae, South Gyeongsang Province, Kim Jong-yup studied sociology (BA and MA)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Currently a professor at Hanshin University and a cultural critic, he has authored A Hermeneutics of Laughter (1994), Solidarity and Enthusiasm (1998), Regret at the Age (2001), and For Emile Durkheim (2002) and translated into Korean Sigmund Freud’s Totem and Taboo (1995).

계간지 글
  • [계간 창작과비평 127호]새로운 동아시아 질서와 87년체제
  • [계간 창작과비평 95호]성애의 사회사 안에서 포르노그라피의 발명
  • [계간 창작과비평 97호]채인선 동화집 『전봇대 아저씨』
  • [계간 창작과비평 100호]영화 「타이타닉」을 보고
  • [계간 창작과비평 102호]교육개혁은 이제부터다
  • [계간 창작과비평 107호]아사다 아끼라 『도주론』
  • [계간 창작과비평 108호]과외금지 위헌 판결과 한국사회
  • [계간 창작과비평 110호]프로이트와 기차
  • [계간 창작과비평 115호]학벌사회와 서울대 개혁
  • [계간 창작과비평 117호]월드컵 이후 한국의 문화와 문화운동
  • [계간 창작과비평 119호]P. 끌라스트르 『폭력의 고고학』
  • [계간 창작과비평 120호]T. 알리 『근본주의의 충돌』
  • [계간 창작과비평 121호]정현백 『민족과 페미니즘』
  • [계간 창작과비평 122호]지방대학의 위기와 교육혁신의 방향
  • [계간 창작과비평 123호]정치개혁을 위해 무엇을 할 것인가
  • [계간 창작과비평 124호]총선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자
  • [계간 창작과비평 125호]노동운동의 성숙을 위해
  • [계간 창작과비평 127호]새로운 동아시아 질서와 87년체제
  • [계간 창작과비평 128호]공병호 『10년 후, 한국』
  • [계간 창작과비평 130호]분단체제와 87년체제
  • [계간 창작과비평 134호]수전 조지 『루가노 리포트』
  • [계간 창작과비평 136호]87년체제의 궤적과 진보논쟁
  • [계간 창작과비평 141호]촛불항쟁과 87년체제
  • [계간 창작과비평 142호]패권 이후의 미국과 한반도적 실천
  • [계간 창작과비평 143호]스스로 다스림의 한해를 시작하며
  • [계간 창작과비평 144호]김항 『말하는 입과 먹는 입』
  • [계간 창작과비평 145호]이런 사회 이런 정치를 나는 원한다
  • [계간 창작과비평 147호]이명박시대, 민주적 법치와 도덕성의 위기
  • [계간 창작과비평 153호]더 나은 체제를 향해
  • [계간 창작과비평 154호]안철수 현상과 2013년체제
  • [계간 창작과비평 156호]야콥 타우베스 『바울의 정치신학』
  • [계간 창작과비평 157호]나는 언론인이다
  • [계간 창작과비평 158호]87년체제를 넘어 2013년체제로 나아가자
  • [계간 창작과비평 160호]니클라스 루만 『사회의 사회』
  • [계간 창작과비평 161호]분단체제와 87년체제의 교차로에서
  • [계간 창작과비평 163호]박근혜 1년과 민주파의 대응
  • [계간 창작과비평 165호]‘사회를 말하는 사회’와 분단체제론
  • [계간 창작과비평 166호]얼마나 더 떨어져야 바닥에 닿을까
  • [계간 창작과비평 169호]바꾸거나, 천천히 죽거나
  • [계간 창작과비평 171호]창작으로 이어지는 담론이 되었으면_조효제 인터뷰
  • [계간 창작과비평 173호]지구적 자본주의에 도전하는 교육개혁의 길
  • [계간 창작과비평 176호]촛불혁명의 새로운 단계를 향하여
  • [계간 창작과비평 181호]어빙 고프먼 『수용소』
  • [계간 창작과비평 183호]변혁적 중도주의와 자유주의
  • [계간 창작과비평 186호]조국사태, 대학입시 그리고 교육불평등
  • [계간 창작과비평 188호]촛불혁명, 제21대 총선 그리고 87년체제
주간논평 글
  • 사립유치원에서 사립대학이 보인다: 유치원 3법과 공적 재정 투명성
  • 크리스토퍼 보엠 『숲속의 평등』
  • 촛불혁명의 새로운 단계를 향하여
  • 캐나다 교육계를 압박하는 한국의 학부모들
  • 공적 대의와 사적 행복 사이에 길을 내자
  • 교과서채택 비리를 넘어 공공문화의 강화로
  • 연말정산이 씁쓸한 까닭
  • 부활한 본고사, 논술에 대한 사회적 책임
  • 서울대 엘리뜨의 퇴행성 본고사주의
  • 산소마스크를 쓰고 연명하는 고교평준화
  • 폭로 너머의 사회학을 위하여
  • 수능시험 출제에 사회적 관심을 기울이자
  • 문제는 이명박이 아니다
  • 광우병에 대한 진실 혹은 거짓말
  • 6월의 광장을 딛고 나아가는 2008년 촛불항쟁
  • 촛불이 갈 길
  • 3불정책을 옹호함
  • 4.29 재보선은 촛불의 승리
  • 사교육비 경감대책, 왜 넌센스인가
  • 김대중: 이승만, 김일성, 박정희를 넘어선
  • 진보-보수의 담합과 경쟁의 이중구조
  • 대학 등록금 문제를 어떻게 풀 것인가
  • 6.2 지방선거와 지식인의 정치적 책임
  • 경쟁의 이중구조와 대중문화
  • 보수파의 오프싸이드 전략과 분단체제
  • 노인 자살과 대학 등록금
  • 대학 등록금, 교과부 관료, 그리고 대학 개혁
  • 종로경찰서장 폭행사건을 둘러싼 풍경
  • 대구중학생 자살사건에 대한 몇가지 단상
  • 다가오는 총선과 대선, 무엇을 이루어낼 것인가
  • 4.11 총선을 바라보며
  • 박근혜도 4.11총선의 심판대상이다
  • 내곡동 사저의 ‘꺾기도’
  • ‘국립대 통합네트워크’에서 서울대를 빼버리자
  • ‘멘붕 스쿨’의 박근혜 후보
  • 87년체제를 넘어 2013년체제로 나아가자
  • 아직 깨지지 않은 박근혜에 대한 환상
  • 안철수, 좋은 놈과 이상한 놈의 기로에서
  • ‘이석기 사태’와 분단체제 극복을 위한 또다른 길
  • 화이, 우리 시대의 오이디푸스
  • ‘무상버스’ 공약을 근심하는 이들에게
  • 새정치연합의 기초선거 정당 무공천 철회와 정치문화
  • 얼마나 더 떨어져야 바닥에 닿을까
  • “청소년에게 교육감 선거권을 주자”
  • 박근혜-최순실게이트가 초래한 위기와 우리의 자세
  • 보수의 의리에 대해
  • 대통령으로부터 지켜내야 할 개정 국회법
  • 야권 지지자들의 총선 전략을 위해
  • 김영삼 전 대통령, 지금 ‘우리’에게 없는 것을 가졌던 이
  • 국회의장의 어깨에 걸린 민주주의
  • 행정고시를 없애자: 관료제 개혁을 위한 제언
  • 마르셀 푸르니에 『프랑스 인류학의 아버지, 마르셀 모스』
창작과비평

10881 경기도 파주시 회동길 184(413-756 경기도 파주시 문발동 출판문화정보산업단지 513-11)
대표전화 031-955-3333(월~금 10시~17시 | 점심시간 11시 30분~13시) / 팩스 031-955-3399 Webmaster@changbi.com
대표이사: 강일우 / 사업자등록번호: 105-81-63672 | 통신판매업 : 제2009-경기파주-1928호 | 개인정보책임자 : 이순화

copyright ⓒ Changbi Publishers, inc. All Rights Reserved.

  •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고객센터
  • 창비
  • 블로그
  • 창비교육
  • 창비학당
FAMILY SITES
  • 창비
  • 창비에듀닷컴
  • 창비 블로그
  • 미디어창비
  • 창비 공식 페이스북
  • 창비 공식 트위터
  • 세교연구소
  • 창비학당
  • 창비서교빌딩 대관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