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창비
  • 日本語
  • English
  • 中文
  • 로그인
  • 회원가입
  • ID/PW찾기
  • 고객센터

계간지

검색

상세검색
  • 『창작과비평』 읽기
  • 창비주간논평
  • 온라인 연재
  • 『창작과비평』 소개
    • 계간 『창작과비평』 소개
    • 계간 『창작과비평』 연혁
    • 창비를 말한다
    • 편집위원 소개
  • 구독 안내
    • 종이구독 신청
    • 전자구독 신청
    • 창비어린이 구독 신청
백낙청

백낙청 (白樂晴) Paik, Nak-chung

paiknc@snu.ac.kr
https://www.facebook.com/Paik.Nakchung
저자소개

1938년생. 고교 졸업 후 도미하여 브라운대와 하바드대에서 수학. 후에 재도미하여 1972년 하바드대에서 D. H. 로런스 연구로 영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1966년 계간 『창작과비평』을 창간했으며 서울대 영문과 교수, 민족문학작가회의 이사장, 시민방송 RTV 이사장, 6•15공동선언실천남측위원회 상임대표 등을 역임하며 민족문학론을 전개하고 분단체제의 체계적 인식과 실천적 극복에 매진해왔다. 현재 서울대 명예교수, 계간 『창작과비평』 편집인으로 있다.

『민족문학과 세계문학 1 / 인간해방의 논리를 찾아서』(합본 개정판) 『민족문학과 세계문학 2』『민족문학의 새 단계』『통일시대 한국문학의 보람』 등의 문학평론집과 『백낙청 회화록』(전5권)을 냈고, 그밖에 『분단체제 변혁의 공부길』 『흔들리는 분단체제』 『한반도식 통일, 현재진행형』 『어디가 중도며 어째서 변혁인가』 등의 사회평론서와 다수의 편저서가 있다. 제2회 심산상ㆍ제1회 대산문학상(평론부문)ㆍ제14회 요산문학상ㆍ제5회 만해상 실천상ㆍ제11회 늦봄문익환통일상ㆍ제11회 한겨레통일문화상ㆍ제3회 후광김대중학술상 등을 수상했다.

 

Born in 1938, Paik Nak-chung graduated from Kyonggi High School in Seoul and Brown University in the United States, and went on to do graduate work at Harvard University, where he received his MA (1960) and PhD (1972) in English Literature (with a dissertation on D.H. Lawrence). After starting a teaching career in the English Department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in 1963, he founded The Quarterly Changbi in 1966, of which he is still the Editor. In 1974 he was dismissed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for demanding a democratic constitution, but returned to his post in 1980 after the death of Park Chung Hee. A literary critic, he has authored: National Literature and World Literature (2 volumes; 1978 and 1985), In Search of the Logic of Human Liberation (1979), The New Stage of National Literature (1990), The Path of Practice for Transforming the Division System (1994), The Division System in Crisis (1998), Rewards of Korean Literature in the Age of Reunification (2006), Unification Korean-Style, Present Progressive Tense (2006), and Where Is the Middle Way and Wherefore Transformation? (2009), editing and co-authoring many books as well, including a five-volume Conversations of Paik Nak-chung (2007). He has received numerous awards such as the 2nd Simsan Prize (1987), the 1st Daesan Literary Prize (in Criticism, 1993), the 14th Yosan Literary Award (1997), the 5th Manhae Prize (for activism, 2001), and the 3rd Kim Dae-jung Academic Award (2009). Currently, he is Professor Emeritus of English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Co-President of the Korea Peace Forum, and the South Korean Chair Emeritus of the All-Korean Committee for Implementation of the June 15 Joint Declaration.

계간지 글
  • [계간 창작과비평 1호]새로운 창작과 비평의 자세
  • [계간 창작과비평 5호]역사소설과 역사의식
  • [계간 창작과비평 7호]소설 『이성계』에 대하여
  • [계간 창작과비평 10호]『창작과비평』 2년 반
  • [계간 창작과비평 14호]시민문학론
  • [계간 창작과비평 28호]문학적인 것과 인간적인 것
  • [계간 창작과비평 35호]민족문학의 현단계
  • [계간 창작과비평 39호]『창비』 10년: 회고와 반성
  • [계간 창작과비평 41호]민족의 역사, 그 반성과 전망
  • [계간 창작과비평 44호]역사적 인간과 시적 인간
  • [계간 창작과비평 45호]분단시대의 민족문화
  • [계간 창작과비평 47호]한국 기독교와 민족현실
  • [계간 창작과비평 48호]소설 『무지개』와 근대화의 문제
  • [계간 창작과비평 49호]내가 생각하는 민족문학
  • [계간 창작과비평 50호]인간해방과 민족문화운동
  • [계간 창작과비평 51호]사회비평 이상의 것
  • [계간 창작과비평 52호]오늘의 女性問題와 女性運動
  • [계간 창작과비평 53호]第三世界와 民衆文學
  • [계간 창작과비평 56호]4·19의 歷史的 意義와 現在性
  • [계간 창작과비평 57호]민중·민족문학의 새 단계
  • [계간 창작과비평 58호]『창비 1987』을 엮어내며
  • [계간 창작과비평 58호]현 단계 한국사회의 성격과 민족운동의 과제
  • [계간 창작과비평 59호]계간 『창작과 비평』을 다시 내며
  • [계간 창작과비평 59호]오늘의 민족문학과 민족운동
  • [계간 창작과비평 60호]선거후 국면과 계간지
  • [계간 창작과비평 60호]한국의 민족문학과 한일 민중의 연대
  • [계간 창작과비평 61호]민족통일운동과 민주화운동
  • [계간 창작과비평 63호]통일운동과 문학
  • [계간 창작과비평 64호]살아있는 신동엽
  • [계간 창작과비평 66호]민주주의의 이념과 민족민주운동의 성격
  • [계간 창작과비평 67호]지혜의 시대를 위하여
  • [계간 창작과비평 67호]맑시즘, 포스트모더니즘, 민족문화운동
  • [계간 창작과비평 69호]사회주의 리얼리즘과 엥겔스의 발자끄론
  • [계간 창작과비평 70호]생태계의 위기와 민족민주운동의 사상
  • [계간 창작과비평 71호]90년대 민족문학의 과제
  • [계간 창작과비평 75호]신념과 실력
  • [계간 창작과비평 75호]세계사 속의 한국전쟁과 통일한국
  • [계간 창작과비평 76호]로렌스 소설의 전형성 재론
  • [계간 창작과비평 77호]세계 속의 분단체제를 알자
  • [계간 창작과비평 78호]분단체제의 인식을 위하여
  • [계간 창작과비평 79호]넓은 시야와 올곧은 심지로
  • [계간 창작과비평 79호]미래를 여는 우리의 시각을 찾아
  • [계간 창작과비평 81호]지구시대의 민족문학
  • [계간 창작과비평 82호]문학과 예술에서의 근대성 문제
  • [계간 창작과비평 83호]지구시대와 ‘국가경쟁력’
  • [계간 창작과비평 85호]‘김일성 이후’의 분단체제
  • [계간 창작과비평 85호]분단시대의 최근 정세와 분단체제론
  • [계간 창작과비평 86호][대담] 한ㆍ일의 근대경험과 연대모색
  • [계간 창작과비평 87호]해방 50년, 분단 50년, 그리고 창비 29주년
  • [계간 창작과비평 89호]민족문학론, 분단체제론, 근대극복론
  • [계간 창작과비평 90호][좌담] 변혁운동과 녹색사상
  • [계간 창작과비평 91호]기념호를 내면서
  • [계간 창작과비평 92호]새로운 전지구적 문명을 향하여
  • [계간 창작과비평 95호]되찾은 6월을 소중하게
  • [계간 창작과비평 95호]6월항쟁 10년 후의 한국현실과 개혁문화
  • [계간 창작과비평 97호]『외딴 방』이 묻는 것과 이룬 것
  • [계간 창작과비평 99호]백낙청 편집인에게 묻는다
  • [계간 창작과비평 100호]종합토론
  • [계간 창작과비평 103호]21세기의 시련과 역사적 선택
  • [계간 창작과비평 105호]한반도에서의 식민성 문제와 근대 한국의 이중과제
  • [계간 창작과비평 107호]2000년대의 한국문학을 위한 단상
  • [계간 창작과비평 109호]6·15선언 이후의 분단체제 극복작업
  • [계간 창작과비평 109호]좌담: 통일시대를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
  • [계간 창작과비평 110호]종합토론
  • [계간 창작과비평 111호]21세기, 통권 111호, 창간 35주년
  • [계간 창작과비평 111호]다시 지혜의 시대를 위하여
  • [계간 창작과비평 115호]한반도의 2002년
  • [계간 창작과비평 118호]한반도에 ‘일류사회’를 만들기 위해
  • [계간 창작과비평 119호]희망 속의 진통
  • [계간 창작과비평 122호][좌담] 동북아시대 한국사회의 중·장기 전략과 단기적 과제
  • [계간 창작과비평 124호]소설가의 책상, 에쎄이스트의 책상
  • [계간 창작과비평 126호]‘창비적 독법’과 나의 소설읽기
  • [계간 창작과비평 128호]박정희시대를 어떻게 생각할까
  • [계간 창작과비평 134호]남남갈등에서 한반도 선진사회로
  • [계간 창작과비평 136호]외계인 만나기와 지금 이곳의 삶
  • [계간 창작과비평 139호]87년체제의 극복과 변혁적 중도주의
  • [계간 창작과비평 140호]근대 한국의 이중과제와 녹색담론
  • [계간 창작과비평 142호]문학이 무엇인지 다시 묻는 일
  • [계간 창작과비평 143호]전지구적 경제위기 속의 한국과 동아시아
  • [계간 창작과비평 146호]현대시와 근대성, 그리고 대중의 삶
  • [계간 창작과비평 147호]‘포용정책 2.0’을 향하여
  • [계간 창작과비평 150호]우리시대 한국문학의 활력과 빈곤
  • [계간 창작과비평 151호]국가주의 극복과 한반도에서의 국가개조 작업
  • [계간 창작과비평 154호]D. H. 로런스의 민주주의론
  • [계간 창작과비평 156호]4・11총선 이후의 한국정치
  • [계간 창작과비평 157호]2013년체제와 변혁적 중도주의
  • [계간 창작과비평 159호]2012년과 2013년
  • [계간 창작과비평 161호]‘핵심현장’에서 현대아시아사상의 탐구로
  • [계간 창작과비평 163호]이 계절에 주목할 신간들
  • [계간 창작과비평 164호]인문학의 새로움은 어디서 오나
  • [계간 창작과비평 166호]큰 적공, 큰 전환을 위하여
  • [계간 창작과비평 170호]근대의 이중과제, 그리고 문학의 ‘도’와 ‘덕’
  • [계간 창작과비평 173호]자본은 어떻게 작동하며 세계와 중국은 어디로 가는가
  • [계간 창작과비평 175호]‘촛불’의 새세상 만들기와 남북관계
  • [계간 창작과비평 181호]어떤 남북연합을 만들 것인가
  • [계간 창작과비평 184호]3·1과 한반도식 나라만들기
  • [계간 창작과비평 188호]근대 한국어, 그 파란의 역사와 희망찬 오늘
  • [계간 창작과비평 191호]기후위기와 근대의 이중과제
  • [계간 창작과비평 193호]다시 동학을 찾아 오늘의 길을 묻다
주간논평 글
  • [신년칼럼] 살던 대로 살지 맙시다
  • [신년칼럼] 성공하는 2기 촛불정부를 만들려면
  • [신년칼럼] 세상의 민낯을 본 뒤에 무엇을 할까
  • 4·15총선, 누구를 어떻게 심판할까
  • [신년칼럼] 촛불혁명이라는 화두
  • [신년칼럼] 하늘을 본 뒤에 무엇을 할까
  • [신년칼럼] 촛불혁명과 촛불정부
  • ‘촛불’이 한반도 평화를 만들어낼까
  • [특집 2] 한미FTA 협상, 일단 끌고 볼 일이다
  • 소설 속의 환상과 콘래드의 다짐
  • 곱셈의 정치는 가능할까
  • 시민참여형 통일과 민간통일운동
  • 북의 핵실험으로 한가해졌다?
  • 2007년, 색동 담론 아롱진 한해가 될까
  • 남북정상회담과 한미FTA
  • 대선 직후에 서둘러 할 일들
  • 거버넌스에 관하여
  • [신년칼럼] 지난 백년을 되새기며 새 판을 짜는 2010년으로
  • [계간 창비] ‘포용정책 2.0’을 향하여
  • 6·15시대는 계속됩니다
  • [신년칼럼] 2010년의 시련을 딛고 상식과 교양의 회복을
  • [신년칼럼] ‘김정일 이후’와 2013년체제
  • [신년칼럼] ‘희망2013’을 찾아서
  • [신년칼럼] 사회통합, 불가능한 일은 아니다
  • [신년칼럼] 광복 70주년, 다시 해방의 꿈을
  • [신년칼럼] 신종 쿠데타가 진행중이라면
  • 편안한 마음으로 투표합시다
  • [신년칼럼] 새해에도 가만있지 맙시다
  • ‘내란’을 당하고도 국민은 담대하고 슬기로운데
창작과비평

10881 경기도 파주시 회동길 184(413-756 경기도 파주시 문발동 출판문화정보산업단지 513-11)
대표전화 031-955-3333(월~금 10시~17시 | 점심시간 11시 30분~13시) / 팩스 031-955-3399 Webmaster@changbi.com
대표이사: 강일우 / 사업자등록번호: 105-81-63672 | 통신판매업 : 제2009-경기파주-1928호 | 개인정보책임자 : 이순화

copyright ⓒ Changbi Publishers, inc. All Rights Reserved.

  •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고객센터
  • 창비
  • 블로그
  • 창비교육
  • 창비학당
FAMILY SITES
  • 창비
  • 창비에듀닷컴
  • 창비 블로그
  • 미디어창비
  • 창비 공식 페이스북
  • 창비 공식 트위터
  • 세교연구소
  • 창비학당
  • 창비서교빌딩 대관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