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창비
  • 日本語
  • English
  • 中文
  • 로그인
  • 회원가입
  • ID/PW찾기
  • 고객센터

계간지

검색

상세검색
  • 『창작과비평』 읽기
  • 창비주간논평
  • 온라인 연재
  • 『창작과비평』 소개
    • 계간 『창작과비평』 소개
    • 계간 『창작과비평』 연혁
    • 창비를 말한다
    • 편집위원 소개
  • 구독 안내
    • 종이구독 신청
    • 전자구독 신청
    • 창비어린이 구독 신청

백지연 (白智延) Baik, Ji-yon

저자소개

1970년 서울 출생, 경희대 대학원 국문과 박사과정 수료. 1996년 경향신문 신춘문예 평론부문에 「아담의 글쓰기, 환유적 욕망의 변주」로 등단. 평론집 『미로 속을 질주하는 문학』이 있음.

 

Born in 1970, Baik Ji-yon studies Korean literature (Ph D program) at Kyung Hee University. She made her literary debut with the selection of her criticism “Adamic Writing, Metonymic Desire” in the annual contest hosted by the daily Kyunghyang Shinmun. She has published Literature That Speeds through a Labyrinth, a collection of literary criticisms.

계간지 글
  • [계간 창작과비평 92호]현재를 응시하는 ‘수인(囚人)’의 글쓰기
  • [계간 창작과비평 96호]핏줄의 서사, 혼 찾기의 지난함
  • [계간 창작과비평 102호]서평 고요의 시간, 정적의 언어
  • [계간 창작과비평 106호]전통의 미학적 복원
  • [계간 창작과비평 115호]공선옥 천운영 윤성희 소설
  • [계간 창작과비평 124호]낭만적 사랑은 어떻게 부정되는가
  • [계간 창작과비평 128호]사라진 ‘아비’와 글쓰기의 기원
  • [계간 창작과비평 129호]망각과 기억의 사이
  • [계간 창작과비평 130호]성장서사와 균열의 상상력
  • [계간 창작과비평 143호]이승우 소설집 『오래된 일기』
  • [계간 창작과비평 146호]타자의 인식과 공공성의 성찰
  • [계간 창작과비평 148호]천안함 사건이 일깨우는 진실
  • [계간 창작과비평 149호]강남의 꿈은 붕괴하는가
  • [계간 창작과비평 152호]공동체와 소통의 상상력
  • [계간 창작과비평 153호]‘희망버스’가 보여준 연대의 가능성
  • [계간 창작과비평 156호]장편소설의 현재와 가족서사의 가능성
  • [계간 창작과비평 159호]사랑과 혁명, 그 끝나지 않는 이야기
  • [계간 창작과비평 162호]장편소설의 곤경과 활로
  • [계간 창작과비평 163호]‘억울하지 않을 자유’를 위하여
  • [계간 창작과비평 165호]이 계절에 주목할 신간들
  • [계간 창작과비평 168호]‘가능한 미래’를 성찰하는 문학
  • [계간 창작과비평 170호]비평의 질문은 어떻게 귀환하는가
  • [계간 창작과비평 171호]이 계절에 주목할 신간들
  • [계간 창작과비평 172호]이 계절에 주목할 신간들
  • [계간 창작과비평 173호]이 계절에 주목할 신간들
  • [계간 창작과비평 174호]이 계절에 주목할 신간들
  • [계간 창작과비평 176호]페미니즘 비평과 ‘혐오’를 읽는 방식
  • [계간 창작과비평 178호]광장의 목소리를 잇는 일상의 혁명
  • [계간 창작과비평 180호]페미니즘과 공공의 삶, 그리고 문학
  • [계간 창작과비평 184호]페미니즘의 눈으로 읽는 문학사
  • [계간 창작과비평 185호]평화와 상생의 촛불정신
  • [계간 창작과비평 190호]생명, 노동, 돌봄의 문학
  • [계간 창작과비평 192호]삶의 전환을 꿈꾸는 돌봄의 상상력
  • [계간 창작과비평 193호]아이들이 잘 자라는 나라
  • [계간 창작과비평 198호]참사 이후의 질문들
주간논평 글
  • 참사 이후의 질문들
  • 아이들이 잘 자라는 나라
  • 평화와 상생의 촛불정신
  • ‘살아남은 여자들’의 세계: 박문영 『지상의 여자들』
  • 광장의 목소리를 잇는 일상의 혁명
  • 잔혹한 상상력과 관습적 서사
  • 국가의 폭력성과 개인의 윤리
창작과비평

10881 경기도 파주시 회동길 184(413-756 경기도 파주시 문발동 출판문화정보산업단지 513-11)
대표전화 031-955-3333(월~금 10시~17시 | 점심시간 11시 30분~13시) / 팩스 031-955-3399 Webmaster@changbi.com
대표이사: 강일우 / 사업자등록번호: 105-81-63672 | 통신판매업 : 제2009-경기파주-1928호 | 개인정보책임자 : 이순화

copyright ⓒ Changbi Publishers, inc. All Rights Reserved.

  •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고객센터
  • 창비
  • 블로그
  • 창비교육
  • 창비학당
FAMILY SITES
  • 창비
  • 창비에듀닷컴
  • 창비 블로그
  • 미디어창비
  • 창비 공식 페이스북
  • 창비 공식 트위터
  • 세교연구소
  • 창비학당
  • 창비서교빌딩 대관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