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창비
  • 日本語
  • English
  • 中文
  • 로그인
  • 회원가입
  • ID/PW찾기
  • 고객센터

계간지

검색

상세검색
  • 『창작과비평』 읽기
  • 창비주간논평
  • 온라인 연재
  • 『창작과비평』 소개
    • 계간 『창작과비평』 소개
    • 계간 『창작과비평』 연혁
    • 창비를 말한다
    • 편집위원 소개
  • 구독 안내
    • 종이구독 신청
    • 전자구독 신청
    • 창비어린이 구독 신청

이일영 (李日榮) Lee, Il-young

저자소개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1980년대 중국의 농업개혁’을 주제로 한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 책임연구원을 거쳐, 현재 한신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다. 『창작과비평』 『동향과 전망』의 편집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우리 사회의 대안적 지역경제 모델로 ‘한반도경제론’을 제기하고 연구하는 한편, 청년과 함께하는 ‘사회혁신’ 운동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지은 책으로 『새로운 진보의 대안, 한반도경제』 『중국 농업, 동아시아로의 압축』 『북한 농업개혁의 현황과 전망』 『중국의 농촌개혁과 경제발전』 등이 있다.

 

Born in 1963, Lee Il-young studied economics (BA, MA, and Ph D)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A professor of Chinese studies at Hanshin University, he has authored China’s Agrarian Reform and Economic Development and The Korean Economy’s Development Strategy in an Age of Northeast Asia and co-authored East Asia in an Age of Open-Door Policy: Industry and Policy and China on the Road to the WTO: Change and Continuity.

계간지 글
  • [계간 창작과비평 115호]개방화 속의 국민경제·민족경제·지역경제
  • [계간 창작과비평 125호]한국농업과 동북아농업
  • [계간 창작과비평 127호]새로운 한반도 경제체제의 구상
  • [계간 창작과비평 129호]동아시아 경제와 한국의 87년체제
  • [계간 창작과비평 130호]강준만 『이건희시대』
  • [계간 창작과비평 134호]위기와 희망
  • [계간 창작과비평 135호]새로운 한반도 공간전략을 찾아서: 도시설계가 김석철에게 묻는다
  • [계간 창작과비평 141호]촛불의 경제학
  • [계간 창작과비평 145호]위기이후의대안, ‘한반도경제’
  • [계간 창작과비평 149호]복지국가는 진보의 대안인가
  • [계간 창작과비평 155호]2013년 이후의 ‘한반도경제’
  • [계간 창작과비평 155호]2013년 이후 무엇을 먹고살까
  • [계간 창작과비평 158호]한반도 국토 인프라의 획기적 전환
  • [계간 창작과비평 159호]2012년과 2013년
  • [계간 창작과비평 167호]‘동아시아 자본주의’의 현재와 미래
  • [계간 창작과비평 171호]김기원추모사업회 엮음 『개혁적 진보의 메아리: 경제학자 김기원 유고집』
  • [계간 창작과비평 172호]협동조합의 눈으로 창비를 보다
  • [계간 창작과비평 174호]한국의 재벌, 재벌의 한국?
  • [계간 창작과비평 178호]커먼즈와 새로운 체제: 대안을 찾아서
  • [계간 창작과비평 183호]마강래 『지방분권이 지방을 망친다』
  • [계간 창작과비평 189호]새로운 경제 패러다임과 기본소득
  • [계간 창작과비평 199호]격변하는 세계, 기로에 선 한국경제
주간논평 글
  • 인수위 50일, 무엇을 보여주었나: 새 정부 출범에 즈음해
  • 부동산 대혼란, 국가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 2·26 가덕도 특별법과 생태적 전환
  • 다시, 민주주의를 생각한다
  • 혼란 속의 주거체제
  • ‘디지털-그린-지역’ 뉴딜을 제안한다
  • 코로나 위기와 기본소득
  • 강남의 꿈, 강북의 꿈
  • ‘신한반도체제’와 정책 리더십
  • 적폐청산에서 체제혁신으로
  • 분권화 개헌이 새 시대의 문이다
  • [특집 1] 한미FTA, 노무현정부의 자살인가
  • 위기와 희망
  • 조기유학의 손익계산서
  • 위기, 그리고 ‘새로운 진보’의 대안
  • 새로운 경제와 정치, ‘지역’에서 시작하자
  • 연합은 분단체제를 허무는 돌파구다
  • 복지 논의가 헤쳐가야 할 삼각파도
  • ‘무상·반값’과 체제개혁
  • 한중FTA, 조용한 충격
  • 서울시장 선거가 놓치고 있는 역사적 ‘대세’
  • ‘김정일 이후’의 ‘한반도경제’
  • 성장·발전 동력으로서의 에너지전환
  • 경제민주화는 발전모델 혁신의 쐐기돌이다
  • 박근혜정부의 국정비전을 보며
  • 협동조합은 ‘대안’이 될 수 있을까: 몬드라곤의 교훈
  • 슘페터 『자본주의·사회주의·민주주의』
  • 한중FTA 타결의 의미와 ‘한반도경제’
  • 『개혁적 진보의 메아리: 경제학자 김기원 유고집』
  • 한국경제의 위기,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②: 대우조선, 낙하산 산업정책의 파탄
  • 대선 쟁점으로 떠오른 ‘4차 산업혁명’
창작과비평

10881 경기도 파주시 회동길 184(413-756 경기도 파주시 문발동 출판문화정보산업단지 513-11)
대표전화 031-955-3333(월~금 10시~17시 | 점심시간 11시 30분~13시) / 팩스 031-955-3399 Webmaster@changbi.com
대표이사: 강일우 / 사업자등록번호: 105-81-63672 | 통신판매업 : 제2009-경기파주-1928호 | 개인정보책임자 : 이순화

copyright ⓒ Changbi Publishers, inc. All Rights Reserved.

  •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고객센터
  • 창비
  • 블로그
  • 창비교육
  • 창비학당
FAMILY SITES
  • 창비
  • 창비에듀닷컴
  • 창비 블로그
  • 미디어창비
  • 창비 공식 페이스북
  • 창비 공식 트위터
  • 세교연구소
  • 창비학당
  • 창비서교빌딩 대관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