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창비
  • 日本語
  • English
  • 中文
  • 로그인
  • 회원가입
  • ID/PW찾기
  • 고객센터

계간지

검색

상세검색
  • 『창작과비평』 읽기
  • 창비주간논평
  • 온라인 연재
  • 『창작과비평』 소개
    • 계간 『창작과비평』 소개
    • 계간 『창작과비평』 연혁
    • 창비를 말한다
    • 편집위원 소개
  • 구독 안내
    • 종이구독 신청
    • 전자구독 신청
    • 창비어린이 구독 신청

임형택 (林熒澤) Lim, Hyung-taek

저자소개

1943년 전라남도 영암에서 태어나 서울대 문리대 국문학과 및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계명대와 성균관대 한문교육과 교수로 재직했고, 민족문학사연구소 공동대표와 성균관대 대동문화연구원장, 동아시아학술원장, 연세대 용재석좌교수 등을 역임했다. 1960~70년대만 해도 철저히 소외된 분야였던 한문학을 체계적인 학문 영역으로 정립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 1970년대 한국고전문학연구회와 한국한문학연구회, 1990년대 민족문학사연구소 설립을 이끌며 한문학의 가치 재정립에 평생을 바쳤다. 현재 성균관대 명예교수로서 실학박물관 석좌교수를 겸하고 있으며, 계간 『창작과비평』 편집고문이다.

 

주요 저서로 『한문서사의 영토』(전 2권) 『한국문학사의 시각』 『실사구시의 한국학』 『한국문학사의 논리와 체계』 『우리 고전을 찾아서』 『문명의식과 실학』 등이 있으며, 주요 역서로 『이조한문단편집』(공편역) 『역주 백호전집』 『역주 매천야록』(이상 공역) 등이 있다.

 

한국문학사에 남긴 업적에 대한 평가로 2005년에 한국학중앙연구원으로부터 명예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도남국문학상, 만해문학상, 단재상, 다산학술상 등을 수상했다. 2012년에는 인촌상(인문․사회․문학 부문)을 수상했다.

 

Born in 1943 in Yeong’am, South Jeolla Province, Lim Hyung-taek studied classical Korean literature (BA and MA)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Currently a professor at Sungkyunkwan University and the joint head of the Society for Korean Literary History, he has received the 15th Manhae Prize for Literature for his Practical Koreanology. He has authored: Perspectives o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Narrative Poems from the Joseon Dynasty, The Logic and System of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A Treatise on the History of Modern Korean Literature, and A Reappraisal of Im Ggok-jeong; translated and edited A Collection of Short Sino-Korean Fiction from the Joseon Dynasty; co-translated The Complete Works of Baekho, Translated and Annotated; and edited East Asian Literature in an Age of Transition.

계간지 글
  • [계간 창작과비평 126호]주체적이고 세계적인 학문은 가능한가
  • [계간 창작과비평 19호]황매천의 시인의식과 시
  • [계간 창작과비평 27호]신문학운동과 민족현실의 발견
  • [계간 창작과비평 42호]홍길동전의 신고찰(상)
  • [계간 창작과비평 43호]홍길동전의 신고찰(하)
  • [계간 창작과비평 45호]분단시대의 민족문화
  • [계간 창작과비평 49호]한문단편 형성과정에서의 강담사
  • [계간 창작과비평 51호]國文學硏究와 文化創造의 방향
  • [계간 창작과비평 58호]國文學, 무엇을 어떻게 할 것인가
  • [계간 창작과비평 62호]茶山詩의 현실주의에 대한 재인식
  • [계간 창작과비평 65호]통일을 생각하며 북한문학을 읽는다
  • [계간 창작과비평 71호]우리 민족ㆍ변혁운동론의 어제와 오늘
  • [계간 창작과비평 75호]급변하는 시대에 善變하는 지혜
  • [계간 창작과비평 78호]임진왜란, 민족의 어제와 오늘
  • [계간 창작과비평 85호]癸未 通信使와 실학자들의 일본관
  • [계간 창작과비평 91호]19세기 西學에 대한 經學의 대응
  • [계간 창작과비평 96호]지구화시대의 한국학
  • [계간 창작과비평 101호]한국문화에 대한 역사적 인식논리
  • [계간 창작과비평 107호]한민족의 문자생활과 20세기 국한문체
  • [계간 창작과비평 115호]혜강 최한기의 시간관과 일통사상
  • [계간 창작과비평 124호]20세기 동아시아의 ‘국학’
  • [계간 창작과비평 126호]주체적이고 세계적인 학문은 가능한가
  • [계간 창작과비평 146호]한국학의 역정과 동아시아 문명론
  • [계간 창작과비평 151호]전통적 인문 개념과 문심 혜두
  • [계간 창작과비평 159호]임화의 문학사 인식논리
  • [계간 창작과비평 166호]염상섭의 작가정신과 한국 근대: 『삼대』를 중심으로
  • [계간 창작과비평 169호]해방/종전 70년, 새로운 패러다임을 찾아서
  • [계간 창작과비평 177호]벽사 이우성의 삶과 학문
  • [계간 창작과비평 183호]3·1운동, 한국 근현대에서 다시 묻다
  • [계간 창작과비평 188호]근대 한국어, 그 파란의 역사와 희망찬 오늘
주간논평 글
  • 산문의 현대적 부활을 제안함
창작과비평

10881 경기도 파주시 회동길 184(413-756 경기도 파주시 문발동 출판문화정보산업단지 513-11)
대표전화 031-955-3333(월~금 10시~17시 | 점심시간 11시 30분~13시) / 팩스 031-955-3399 Webmaster@changbi.com
대표이사: 강일우 / 사업자등록번호: 105-81-63672 | 통신판매업 : 제2009-경기파주-1928호 | 개인정보책임자 : 이순화

copyright ⓒ Changbi Publishers, inc. All Rights Reserved.

  •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고객센터
  • 창비
  • 블로그
  • 창비교육
  • 창비학당
FAMILY SITES
  • 창비
  • 창비에듀닷컴
  • 창비 블로그
  • 미디어창비
  • 창비 공식 페이스북
  • 창비 공식 트위터
  • 세교연구소
  • 창비학당
  • 창비서교빌딩 대관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