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창비
  • 日本語
  • English
  • 中文
  • 로그인
  • 회원가입
  • ID/PW찾기
  • 고객센터

계간지

검색

상세검색
  • 『창작과비평』 읽기
  • 창비주간논평
  • 온라인 연재
  • 『창작과비평』 소개
    • 계간 『창작과비평』 소개
    • 계간 『창작과비평』 연혁
    • 창비를 말한다
    • 편집위원 소개
  • 구독 안내
    • 종이구독 신청
    • 전자구독 신청
    • 창비어린이 구독 신청

정홍수 (鄭弘樹)

저자소개

문학평론가. 저서로 『소설의 고독』『흔들리는 사이 언뜻 보이는 푸른빛』『소진의 기억』(공편저) 등이 있다.

계간지 글
  • [계간 창작과비평 91호]지난 연대를 향한 문학의 증언
  • [계간 창작과비평 101호]실존의 글쓰기, 목숨의 글쓰기
  • [계간 창작과비평 125호]정지아 소설집 『행복』
  • [계간 창작과비평 131호]지하실의 윤리에서 항성의 상상력까지
  • [계간 창작과비평 132호]불가능의 역설을 사는 소설의 운명
  • [계간 창작과비평 133호]세계의 실패를 앓는 소설의 고통
  • [계간 창작과비평 134호]‘이후’의 시간과 소설의 고독
  • [계간 창작과비평 138호]세계문학의 지평에서 생각하는 한국문학의 보편성
  • [계간 창작과비평 145호]전성태 소설집 『늑대』
  • [계간 창작과비평 148호]소설의 정치성, 몇가지 풍경들
  • [계간 창작과비평 155호]시대의 빈곤을 응시하는 가난한 언어
  • [계간 창작과비평 157호]고독의 연대, 움직이는 숲으로의 초대
  • [계간 창작과비평 158호]세상의 고통과 대면하는 소설의 자리
  • [계간 창작과비평 160호]작가들이 만난 현실
  • [계간 창작과비평 164호]‘다른 세상’에 대한 물음
  • [계간 창작과비평 167호]이 계절에 주목할 신간들
  • [계간 창작과비평 168호]이 계절에 주목할 신간들
  • [계간 창작과비평 169호]이 계절에 주목할 신간들
  • [계간 창작과비평 170호]이 계절에 주목할 신간들
  • [계간 창작과비평 180호]정승철 『방언의 발견』
  • [계간 창작과비평 181호]그렇게 구체적으로 말해줘 고마워요
  • [계간 창작과비평 189호]루이스 세풀베다 『역사의 끝까지』
  • [계간 창작과비평 191호]이 계절에 주목할 신간들
  • [계간 창작과비평 195호]단절과 침묵, 그리고 ‘이어짐’의 상상력
  • [계간 창작과비평 198호]강경석 『리얼리티 재장전』
주간논평 글
  • 마음의 접속면, 다섯번의 손잡기: 김금희 장편소설 『경애의 마음』
  • 남아 있는 시간에 대한 두 질문
  • 문학과 역사의 감옥: 황석영 자전 『수인』을 읽고
  • 밥상의 언어와 문학의 위엄
  • 단순성의 힘
  • 어떤 작가연보의 감동
  • 인간 열망의 한없는 연대기
  • 장 키플스타인 그리고 게리 워커 존슨
  • 너무도 간단한 정의
  • 넬슨 만델라의 걸음
  • 용서의 시작
  • 밀양 할매들의 행복
  • 어떤 기억의 방식: 한강 『소년이 온다』
  • 보이지 않는 사람들
  • 키드랏 타히믹 감독의 질문과 꿈
  • 문학의 자리를 생각한다: ‘밤의 맨 가장자리’와 ‘팔꿈치들의 간격’
  • 울음에 대하여: 「공산토월」과 작가회의 40년
  • ‘통증의 형식’과 ‘공감의 형식’
  • 이야기가 사라져가는 시절
  • 한국영상자료원에서 챙겨본 생각들
  • 쇠스랑으로 다시 발을 찍는 시간: 신경숙 씨를 생각하며
  • 나는 모르고 있었다: 송경동 시집 『나는 한국인이 아니다』를 읽고
  • 밥 딜런이 보내온 질문
  • 진공의 고요와 뜨거움: 황정은 중편 「웃는 남자」를 읽고
  • 변화하는 문예지
  • 세상의 다른 법칙: 다르덴 형제의 「내일을 위한 시간」을 보고
  • ‘세월호’와 문학의 자리
  • 인생의 제시간과 서성임: 최정례의 시 「나는 짜장면 배달부가 아니다」를 읽고
  • 소설 읽는 시간
  • 세상의 시간, 세상의 풍경: 허우 샤오시엔 이야기
  • 2016년 새해 신춘문예 단상: 문학이란 何오?
  • 이야기로 환원되지 않는 시간들: 차이 밍량의 「하류」를 보고
  • 다시 읽는 『채식주의자』: 한강의 수상을 축하하며
  • 역사의 짐: 거제도 포로수용소와 한국문학
창작과비평

10881 경기도 파주시 회동길 184(413-756 경기도 파주시 문발동 출판문화정보산업단지 513-11)
대표전화 031-955-3333(월~금 10시~17시 | 점심시간 11시 30분~13시) / 팩스 031-955-3399 Webmaster@changbi.com
대표이사: 강일우 / 사업자등록번호: 105-81-63672 | 통신판매업 : 제2009-경기파주-1928호 | 개인정보책임자 : 이순화

copyright ⓒ Changbi Publishers, inc. All Rights Reserved.

  •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고객센터
  • 창비
  • 블로그
  • 창비교육
  • 창비학당
FAMILY SITES
  • 창비
  • 창비에듀닷컴
  • 창비 블로그
  • 미디어창비
  • 창비 공식 페이스북
  • 창비 공식 트위터
  • 세교연구소
  • 창비학당
  • 창비서교빌딩 대관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