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창비
  • 日本語
  • English
  • 中文
  • 로그인
  • 회원가입
  • ID/PW찾기
  • 고객센터

계간지

검색

상세검색
  • 『창작과비평』 읽기
  • 창비주간논평
  • 온라인 연재
  • 『창작과비평』 소개
    • 계간 『창작과비평』 소개
    • 계간 『창작과비평』 연혁
    • 창비를 말한다
    • 편집위원 소개
  • 구독 안내
    • 종이구독 신청
    • 전자구독 신청
    • 창비어린이 구독 신청

한기욱 (韓基煜) Han, Ki-wook

저자소개

1957년 부산에서 태어나 한국외국어대와 서울대 영문과 대학원을 졸6업하고 동대학원에서 허먼 멜빌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문학 연구에 주력하다가 계간 『창작과비평』 편집진에 합류하면서 한국문학 평론을 발표하기 시작했다. 주요 논문으로 「세계문학의 쌍방향성과 미국 소수자문학의 활력」 「문학의 새로움과 소설의 정치성」, 역서로 『브루스 커밍스의 한국현대사』(공역) 『우리 집에 불났어』 『필경사 바틀비』 등이 있다. 현재 『창작과비평』 편집위원이며 인제대 영문과 교수로 재직중이다.

 

Born in 1957, Han Ki-wook studied English literature at the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BA) and Seoul National University (MA). He received a Ph D with his dissertation on Herman Melville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Currently a professor at Inje University, he has authored: “The Scarlet Letter and the Characteristics of American Literature” and “Abstract Man and Nature”; translated into Korean Ariel Dorfman’s My House Is on Fire and Jack London’s Martin Eden; and co-translated into Korean Mike Davis’ Prisoners of the American Dream: Politics and Economy in the History of the Us Working Class.

계간지 글
  • [계간 창작과비평 125호]시민운동과 민중운동, 이대로 좋은가
  • [계간 창작과비평 75호]『주홍글자』와 미국문학의 특성
  • [계간 창작과비평 92호]N. 촘스키 『미국이 진정으로 원하는 것』
  • [계간 창작과비평 100호]지구화시대의 대안적 서사를 찾아서
  • [계간 창작과비평 105호]지구화시대의 세계문학
  • [계간 창작과비평 111호]대중문화 속의 소설과 영화
  • [계간 창작과비평 113호]인터넷 글쓰기의 가능성
  • [계간 창작과비평 114호]미국의 보복전쟁에 반대한다
  • [계간 창작과비평 118호]김재기 장편 『알라 할림』
  • [계간 창작과비평 119호]우리 시대의 사랑·성·환경 이야기
  • [계간 창작과비평 120호]미국의 군사패권주의를 경계한다
  • [계간 창작과비평 121호]변혁기의 반전평화운동
  • [계간 창작과비평 124호]형식실험의 역설
  • [계간 창작과비평 125호]시민운동과 민중운동, 이대로 좋은가
  • [계간 창작과비평 126호]중도의 지혜로 분열과 대립을 극복하자
  • [계간 창작과비평 128호]홍은택 『블루 아메리카를 찾아서』
  • [계간 창작과비평 129호]6자회담에 거는 기대
  • [계간 창작과비평 132호]한국문학의 새로운 현실 읽기
  • [계간 창작과비평 139호]세계문학의 쌍방향성과 미국 소수자문학의 활력
  • [계간 창작과비평 140호]미국에 비굴하고 북한에 으스대는 이명박식 외교
  • [계간 창작과비평 142호]문학의 새로움은 어디서 오는가
  • [계간 창작과비평 144호]문학의 새로움과 리얼리즘 문제
  • [계간 창작과비평 146호]거짓과 위법투성이의 ‘신종 법치’
  • [계간 창작과비평 149호]문학의 새로움과 소설의 정치성
  • [계간 창작과비평 151호]구제역 재앙 앞에서
  • [계간 창작과비평 152호]한국문학에 열린 미래를
  • [계간 창작과비평 155호]역주행하는 원전정책
  • [계간 창작과비평 156호]기로에 선 장편소설
  • [계간 창작과비평 159호]대선 이후에도 키워가야 할 ‘변화 열망’
  • [계간 창작과비평 160호]우리시대의 「객지」들
  • [계간 창작과비평 164호]세월호 참사와 ‘임계사회’ 혁신의 과제
  • [계간 창작과비평 167호]야만적인 나라의 황정은씨
  • [계간 창작과비평 168호]탈북인의 자리를 돌아보다
  • [계간 창작과비평 171호]새 50년을 열며
  • [계간 창작과비평 171호]문학의 열린 길
  • [계간 창작과비평 175호]블랙리스트와 ‘이면헌법’ 없는 세상을
  • [계간 창작과비평 178호]촛불민주주의 시대의 문학
  • [계간 창작과비평 182호]주체의 변화와 촛불혁명
  • [계간 창작과비평 183호]혁명은 끝나지 않았다
  • [계간 창작과비평 186호]사유 · 정동 · 리얼리즘
  • [계간 창작과비평 189호]“숨을 쉴 수 없어”
  • [계간 창작과비평 190호]거대한 변화의 시대, 창조적 대응으로
  • [계간 창작과비평 193호]한국 근대를 살아냈을 뿐
주간논평 글
  • 거대한 변화의 시대, 창조적 대응으로
  • 플로이드 항의시위, 시민권운동을 넘어
  • 혁명은 끝나지 않았다: 『디디의 우산』을 읽고
  • 미국문화 속의 동성애 이야기
  •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에 새겨진 미국사 이야기
  • 세계는 어디로 가고 있는가
  • 트럼프 정치의 동력과 파괴력
  • ‘계속해보겠습니다’와 바틀비
  • 블랙리스트와 ‘이면헌법’ 없는 세상을
창작과비평

10881 경기도 파주시 회동길 184(413-756 경기도 파주시 문발동 출판문화정보산업단지 513-11)
대표전화 031-955-3333(월~금 10시~17시 | 점심시간 11시 30분~13시) / 팩스 031-955-3399 Webmaster@changbi.com
대표이사: 강일우 / 사업자등록번호: 105-81-63672 | 통신판매업 : 제2009-경기파주-1928호 | 개인정보책임자 : 이순화

copyright ⓒ Changbi Publishers, inc. All Rights Reserved.

  •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고객센터
  • 창비
  • 블로그
  • 창비교육
  • 창비학당
FAMILY SITES
  • 창비
  • 창비에듀닷컴
  • 창비 블로그
  • 미디어창비
  • 창비 공식 페이스북
  • 창비 공식 트위터
  • 세교연구소
  • 창비학당
  • 창비서교빌딩 대관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