촌평 | 다시 읽고 싶은 책

 

 

『박영근 전집』(전2권), 실천문학사 2016

‘박영근’을 살았던 희망과 사실

 

 

송종원

宋鐘元 / 문학평론가 renton13@daum.net

 

 

200_425-1

수업시간에 있었던 일이다. 학생들에게 몇편의 시를 나눠주고 함께 읽는 자리였는데, 기형도 시를 타이핑한 종이에 박영근의 유고시집에 실린 시 몇편이 의도하지 않게 들어가 있었다. 시인들의 이름을 표기하지 않아서일까, 학생들은 그 시들을 구분 없이 읽었다. 물론 그럴 만한 이유가 있었다. 사소하게는 ‘사내’나 ‘개’의 등장이 유사했고, 무엇보다 두 시인의 시에 공통적으로 드리운 짙은 어둠의 색채가 착각을 불러왔을 것이다. 나중에야 확인한 사실인데 기형도(1960~89) 박영근(1958~2006) 두 시인은 거의 동년배이기도 했다. 학생들에게 두 시인의 작품이 섞여 있다고 밝히며 엉겁결에 다음과 같이 덧붙였다. 한 시인이 대학생 내지 사무직 노동에 종사하는 사회초년생 화자를 통해 자신이 세웠던 수많은 ‘마음의 공장’을 말하며, ‘길 위’라는 다소 추상적으로 보이는 공간에서 “일생을 그르치고 있는 희망”(기형도 「길 위에서 중얼거리다」)이라는 끝간데없는 비관을 이야기했다면, 공장 노동자로 시작(詩作)을 출발한 다른 시인의 시에는 화장실이라는 비좁은 공간에 맞닿아 있는 육체와 희망이 있었다고. 당시엔 정확히 기억하지 못해 학생들에게 미처 전하지 못한 구절이 있는데, 그것은 다음과 같다. “화장실 같은 곳에서나 어쩌다 쉴 수가 있어요/희망 같은 것을 생각해도 좋을까요”(박영근 「비로소 떠나갈 곳조차 없는 이곳에서」).

최근에 구매한 『박영근 전집』(박영근전집 간행위원회 엮음)이 여전히 1쇄에 머무는 것을 보면 이 책은 아는 사람만 알고 있는 듯하다. 민중가요 「솔아 솔아 푸르른 솔아」의 원작시인이며 노동자 시인으로 뚜렷한 족적을 남긴 박영근의 전집은 시인의 10주기에 맞춰 2016년에 출간되었다. 전집은 시를 다루는 1권과 산문을 다루는 2권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산문 전집에는 흥미롭게도 기형도의 「빈집」에 대해 박영근이 쓴 글(「기형도___빈집」)이 실려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