촌평

 

강준만 교수님께 드리는 편지

강준만 『한국 지식인의 주류 콤플렉스』, 개마고원 2000

 

 

박노자 Vladimir Tikhonov

오슬로국립대학 교수, 한국학

 

 

존경하는 강준만 교수님.

교수님의 최근 저서에 대해 서평을 써달라는 청탁을 받았을 때, 저는 적지 않게 망설였습니다. 언론학자도 아닐뿐더러 한국신문을 정기적으로 읽지도 않는 저 같은 사람이, 한국 지식인과 언론의 관계를 다루는 전문가의 저서를 평한다는 것은, 아무리 좋게 봐도 주제넘은 일로 보였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혹시 오슬로대학에서 제가 맡고 있는 ‘한국 현대사회’라는 과목을 위한 좋은 자료가 나오지 않을까 기대가 생겨서 일단 승낙했습니다. 책을 펼쳐보니 맨 먼저 눈에 띄는 것은, 여태까지 많이 보지 못한 독특한 담화·구어체 혼합의 문체였습니다. 그 문체에 나름대로 매력을 느껴 이 짧은 글도 교수님이 즐겨 쓰시는 서신(書信) 형태로 써볼까 합니다.

저는 ‘조선일보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 교수님께서 여태까지 경주하신 노력에 경의를 표하고 싶습니다. 그러나 솔직히 저는 교수님의 현실참여적 활동 중 어느 부분에 대해서는 상당히 ‘본능적 거부감’을 느낍니다. 『조선일보』의 국가폭력 미화와 역사왜곡이 한국 극우체제의 대중 우민화(愚民化) 전략의 중추를 담당하고 있다는 것은 언론학자가 아닌 저도 잘 아는 사실이지만, ‘좌파들의 신문기고 원칙’을 세워 그 ‘원칙’을 ‘위반한’ 사람을 ‘제1차 비판의 대상’으로 삼는 것은 그 ‘원칙’의 타당성 여부와 관계없이 저의 개인주의적인 체질에는 너무나 맞지 않습니다. 저의 문화적 편견인지 모르지만, ‘좌파들의 『조선일보』 기고 절대불가론’을 펴시는 강교수님의 모습에서 교수님 자신이 그토록 비판하시는 집단주의(집단 결속 위주주의)의 잔재를 느낍니다. 교수님의 주장이 100% 맞아도(저는 원칙적으로 다소 타당한 것으로 생각합니다), 술자리에서 술을 강권하듯이 이 지당한 ‘원칙’을 강요하는 것은 교수님이 주장하시는 ‘자유주의’의 일상적 행동윤리와 좀 상치되는 일이 아닌가 싶습니다. 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