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간 40주년에 부쳐 | 일본

 

겐다이시소오(現代思想)

『창작과비평』을 다시 만나기 위해

 

 

이께가미 요시히꼬 池上善彦

『現代思想』편집장 jikegami@ka2.so-net.ne.jp

 

 

2001년 무더운 여름, 타이뻬이(臺北)에서 열린 한 심포지엄의 뒤풀이 장소는 다시 찾아가려 해도 찾을 수 없을 정도로 미로 같은 골목에 있는, 타이뻬이대학 앞의 어떤 음식점이었다. 그곳에서 한국학자 한 명을 만났다. 당시 『창작과비평』의 편집위원인 백영서씨였다. 『창작과비평』, 그 이름을 처음 들은 것은 1980년이었다.

1980년 4월, 나는 서울에 있었다. 첫 방한이었다. 70년대 이후의 한일교류(그것을 교류라고 부를 수 있다는 전제가 필요하긴 하지만)를 거론할 때 잊어서는 안될 것이 있다. 그것은 60년대 말부터 시작된, 김지하 등으로 상징되는 한국 정치범에 대한 일본의 지원운동이다. 그중에는 재일한국인 정치범에 대한 구원운동도 포함된다. 한국에서 재일한국인들이 체포된 후, 일본 내 그들의 가족과 친구를 중심으로 구원회가 조직되었다. 나는 그 집회에 가끔 참석한 학생에 불과했지만, 그날 한국의 감옥에 있는 정치범에게 차입물을 넣어주기 위해 토오꾜오를 출발해 한국에 왔던 것이다. 서울 체재중에 수없이 들었던 것이 『창비』와 백낙청씨의 이

저자의 다른 글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