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문 | 내가 사는 곳 ②

 

고향을 떠나기 전

 

 

천현우 千鉉宇

『얼룩소』(alookso) 에디터, 용접공, 칼럼니스트. 국무총리실 산하 청년정책조정위원회 위원.

serinblade@naver.com

 

 

용접작업 전엔 반드시 방독마스크를 쓴다. 밴드를 당겨 뒤통수에 고정하고 입마개를 올리면 숨이 턱 막혀온다. 마치 공기가 한껏 덩어리져서 콧구멍에 넣고 빼기조차 벅찬 느낌. 오래간만에 그 불편함을 집 안에서 체험하게 되었다. 어머니 심여사와 마주한 방 안의 분위기는 묵직했다. 꼭 서울로 올라가야 하겠냐는 물음에 죄라도 지은 듯 대답했다. 새 언론사에서 채용 제안이 왔다. 봉급도 봉급이지만 내가 성장할 기회를 놓칠 순 없다. 집도 이미 알아봤고 근로계약서에 싸인도 했다. 곧 칠순인 심여사께서는 고개를 푹 숙였다. 얼떨결에 불효자가 된 죄책감에 목구멍이 마르는 한편 주절주절 상경의 이유를 늘어놓는 내 신세가 참 얄궂다고 생각했다. 줄곧 경남권에서 벗어날 생각이 없던 내가 느닷없이 서울이라니. 대화를 마치고 방에서 나오니 절로 꼬리 긴 한숨이 새어나왔다. 일자리가 없어서 혹은 공부가 하고 싶어서 일찌감치 고향을 떠났던 친구들은 감정의 살덩이가 마구 꼬집히는 이 느낌을 어찌 참아냈을까.

의기소침해져 방 안에서 한참을 웅크려 있다가 문득 밖으로 나가고 싶단 충동이 끓었다. 창원처럼 번잡하진 않되 진해처럼 고즈넉하지도 않은 인구 36만명대의 중소도시. 행정구역상 마산합포구와 마산회원구로 창원시에 편입된 지 벌써 12년이 다 되어가지만 내겐 아직도 ‘마산시’라는 이름이 더 익숙한 장소. 줄곧 짝사랑해온 내 고향을 직접 두 발로 느끼고 싶었다. 새벽 한시, 발이 제일 편한 운동화를 골라 신발끈 꽉 죄고 현관을 나섰다.

 

우리 집은 경남대학교 위쪽 밤밭고개 꼭대기에 있다. 경사는 높고 버스도 잘 안 오며 가장 가까운 편의점이 10분 거리에 있는 최악의 입지. 굳이 여기에 자리 잡은 이유는 침수 트라우마 탓이다. 마산만을 끼고 있는 해안대로 인근은 수해에 무척 취약했다. 장마철만 됐다 하면 도시 전체가 물에 잠기기 일쑤였다. 버스정거장에 놓인 벤치가 안 보일 정도로 침수가 심한 날이면, 행인들의 당혹 섞인 비명과 불법 주차했던 차주들의 곡소리가 섞여 물지옥을 연출했다. 지친 몸으로 퇴근해서 문지방을 넘으려는 빗물의 파도를 바가지 하나로 세시간 넘게 막아내다보면 힘듦에 앞서 서러움이 복받쳤다.

그 무력함이 싫어 이 집을 택한 결과, 집 나설 땐 어디로 떠나든 처음엔 긴긴 내리막을 걸어야 했다. 그렇게 월영마을 아파트단지를 죽 내려와 커다란 언덕 하나 넘으면, 한껏 각진 건물 세채가 서로 찰싹 붙어 있는 국립마산병원이 나타난다. 새벽녘에도 환히 불 켜진 병원 모습을 보니 속이 쓰렸다. 야간일 하는 설비노동자들의 노고가 훤히 보였기 때문이다. 남들 잘 시간에 일한다는 것은 평범한 이들과 함께 섞일 수 없다는 뜻이기도 하다. 그렇기에 야간노동은 대체로 고독하고 음울하다. 그 씁쓸한 사정은 몇푼 안 되는 야근수당에 막혀 공론화의 장까지 도달하지 못한다.

가포고등학교까지 이어진 굽이길 따라 걸어서 사방팔방에 널린 장엇집과 요란한 불빛의 모텔촌을 지나면 가포신항공단에 도달한다. 들어선 공장의 수가 열 손가락 겨우 넘기는 아담한 공단은 낮과 밤을 가리지 않고 살풍경하다. 모든 회사가 불 꺼진 와중에 현대차 계기판 만드는 공장 한곳만 열심히 돌아가고 있었다.

좀더 걸어 마침내 첫 목적지에 도달했다. 나의 안식처 가포해안변공원이었다. 20대 절반을 고통과의 전면전으로 보냈다. 아버지를 잃고 빚더미에 짓눌려 진로조차 포기해야 했던 시기, 술로 다 씻기지 않는 아픔의 고비마다 이곳을 찾곤 했다. 물결 따라 주름진 바다가 저조차 갈 길 모른 채 한없이 일렁이는 모습을 바라보면 어느덧 마음속에 몰아치던 파도가 잔잔해졌다. 저 거대한 물길조차 자기 몸뚱이 하나 맘대로 가누지 못하는데, 나처럼 작은 존재가 삶의 흐름 앞에 흔들리지 않을 수 있겠는가. 찌든 때처럼 눌어붙은 가슴 속 절망을 하나씩 떼

저자의 다른 글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