촌평 | 다시 읽고 싶은 책
공선옥 『자운영 꽃밭에서 나는 울었네』, 창비 2000
꽃씨와 변소
전기화
田己和 / 문학평론가 octobervoice@naver.com
아이들과 함께 섬진강 변으로 놀러 나온 작가는 자운영 꽃밭에 몸을 던진다. 쑥국새 소리를 들으며 아이들이 부르는 소리도 모르는 체하고 파묻혀 있다가 눈물을 흘린다. 궁핍하던 어린 시절 어머니와 꼴을 베어 돌아오던 날을 떠올리면서, 아이들이 꽃밭에서 울던 엄마를 기억해줄까 생각하면서. 작가는 미래 기억에 대한 그리움을 지렛대 삼아 과거를 향한 복고주의적 향수로의 함몰로부터 자신을 들어 올리며 균형을 잡는다.
2000년 출간된 공선옥의 첫 산문집 『자운영 꽃밭에서 나는 울었네』에는 과거와 현재와 미래가 긴밀하게 얽혀드는 장면이 자주 발견된다. 작가는 오랜 시간이 걸려 터전을 잡게 된 시골집에서 유년 시절의 집을 떠올리며 과꽃, 분꽃, 족두리, 맨드라미, 채송화 꽃씨들을 정성스레 심는다(「집에 대한 단상」). 아이들이 커서 삶에 지칠 때 꽃밭을 생각해주길 바라는 마음과 연결되기도 한다는 점에서, 이때의 심는 행위란 과거의 꿈을 현재에 재생시키려는 노력인 동시에 지금 이후를 상정하고 그것에 무언가를 걸어보는 행위라 할 수 있다. 무언가를 심는 일은 언제나 지금 이후를 상정하는 일일 수밖에 없지만, 그 미래란 꽃이 피는 근미래인 동시에 그 꽃피던 시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