촌평

 

카라따니 코오진 『세계공화국으로』, 도서출판 b 2007

국민국가를 넘어 세계공화국으로?

 

 

유재건 柳在建

부산대 사학과 교수 jkyoo@pusan.ac.kr

 

 

세계공화국카라따니 코오진(柄谷行人)의 『세계공화국으로』(世界共和國へ,조영일 옮김)는 제목만으로도 대충 결론은 짐작되는 그런 책이다. 인류의 다가올 파국을 막기 위해 우리가 근대 국민국가를 넘어서 세계공화국으로 나아가야 한다는 결론이다. 전쟁과 환경파괴, 경제적 격차라는 절박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른 방도가 없다는 것이다. 카라따니는 작년 국내에 소개된 『근대문학의 종언』(도서출판 b)의 한국어판 서문에서도 이 세가지 과제를 문학이 떠맡지 못하기에 문학을 떠난다는 소회를 밝힌 바 있다. 물론 세계공화국 이념은 그가 제창해온‘뉴 어쏘씨에이션 운동’(NAM), 즉 자본과 국가의 내부로부터 대안적인 삶의 방식을 찾아나가는 운동과 불가분 연결되어 있다. NAM이 아래로부터의 운동이라면, 이제 세계공화국을 향한 위로부터의 운동과의 연계를 통해 새로운 글로벌 커뮤니티(어쏘씨에이션)를 점진적으로 실현해간다는 구상이다.(225면) 오늘날 세계경제에서는 국가나 자본주의를 일국단위로 생각할 수 없기 때문에 국가체제를 내부에서 대체하는 과정과 동시에 세계차원의 통합과정이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세계공화국은 어떻게 가능할까? 각국이 국민국가의 군사적 주권을 서서히 국제연합에 양도해 국제연합을 강화·재편성함으로써 가능하다는 것이다.(같은 곳) 좀 싱겁다고 해야 할지, 실천적 방책으로는 아무튼 이상주의적으로 보인다.

그런데 책의 실제 내용은 그리 녹록치 않다. 일반 독자를 염두에 두고 썼다는 저자의 말이 무색하게, 계속 다가오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