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초점

 

그녀의 눈물이 토성의 궤도를 벗어나는 순간

김소연 시집 『눈물이라는 뼈』

 

 

김영희 金伶熙

문학평론가. 제16회 창비신인평론상 수상. 주요 평론으로 「라일락과 장미향기처럼 결합하는: 진은영 시의 ‘감성’과 ‘정치’」 등이 있음. yhorizon@naver.com

 

 

『눈물이라는 뼈』(문지 2009)를 읽으면서 우리는 자주 우울한 개인의 환영과 마주하는데, 그럴 때마다 이 시인은 토성의 기질을 가진 사람이 아닐까 생각해보게 된다. 서양 점성술에서 토성적인 기질은 느림, 몽상, 슬픔, 우울 등으로 설명되곤 한다. 쑤전 쏜택은 벤야민의 기질을 토성적인 것이라는 관점으로 분석한 흥미로운 글(「토성의 영향 아래」, 1978)에서 “프랑스인들은 벤야민을 ‘슬픈 사람un triste’이라고 불렀다”라는 말로 서두를 시작한다. 김소연(金素延)은 슬픔을 “생의 속옷”(산문집 『마음사전』, 2008)이라고 정의한 적이 있는데, 그녀에 따르면 슬픔이란 우리가 평생 몸 가장 깊숙한 곳에 매설하고 살아야 하는 근원적인 감성이다. 더불어 시집 곳곳에서 드러나는 느리다, 고독하다, 기억하다, 반항하다, 몰입하다, 여행하다 등의 표지들 또한 토성적인 것의 일부를 이룬다.

이같은 토성의 표지들 속에서 공통적으로 작동하는 기호는 바로 ‘눈물’이다. 눈물을 ‘몸의 언어’라고 말해볼 수 있을까. 눈물을, 고독을 증언하고(「고독에 대한 해석」) 고통을 증명하기(「고통을 발명하다」) 위해 몸이 송신하는 메씨지로 이해한다면

저자의 다른 글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