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문

 

그 말을 심장에 받아 적듯이

 

 

한강 韓江

소설가. 장편 『검은 사슴』 『그대의 차가운 손』 『채식주의자』 『바람이 분다, 가라』 『희랍어 시간』 『소년이 온다』 『흰』, 소설집 『여수의 사랑』 『내 여자의 열매』 『노랑무늬영원』 등이 있음.

 

 

 

최근 그 묘지에 다시 간 것은 지난 8월이었다. 거의 3년 만의 방문이었다. 『소년이 온다』의 독일어판 출간을 앞두고, 그곳의 한 방송사가 광주의 구도청과 망월동 묘지에서 인터뷰를 진행하고 싶어했기 때문이었다. 비가 그친 뒤 햇볕이 몹시 뜨겁던 날이었다. 화강암 벽면에 부조로 조각된 항쟁의 군상들 앞에 서서 나는 질문들에 답했다. 묘지 중앙에 있는 커다란 놋쇠 향로 앞에 서서 향을 태우고 묵념을 했다. 오직 이 인터뷰를 위해 베를린에서 광주까지 날아온, 화상을 입는 것이 아닌지 걱정스러울 만큼 빨갛게 얼굴이 익은 프로듀서 마티아스는 내가 수백기(基)의 무덤들 사이를 걷는 장면을 찍어도 되겠느냐고 조심스럽게 물었다. 그럴 수 없다는 것을 나는 그때 깨달았다. “저는 그냥 한권의 책을 쓴 것뿐인데요. 저에게는 그렇게 할 자격이 없어요.” 나의 대답에 마티아스도 촬영감독도 고개를 끄덕였다.

 

처음으로 그 묘지를 찾아갔을 때 나는 혼자였고, 스무살이었다. 1989년, 아직 군인이 대통령이었던 해, 얼마 전의 그날처럼 햇볕이 뜨겁던 8월이었다. 광주에 대해 말하는 것이 여전히 금기였던 시절이므로, 지금처럼 예산을 들여 잘 정돈해놓은 묘지는 아니었다. 오직 살아남은 자들의 간절함으로 겹겹이 꽃과 사진과 양초들로 둘러싸놓은, 검은 묘석들이 끝도 없이 늘어서 있는 그 언덕에서 나는 현기증을 느끼며 땀을 흘리고 있었다. 그건 물론 무섭도록 뜨겁

저자의 다른 글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