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초점 | 시선과 시선

 

김사과 스타일, 무모함인가 새로움인가

 

오창은 정여울

 

 

자기애에 갇힌 테러리스트

 

오창은(吳昶銀)│문학평론가 longcau@daum.net

 

 

‘한국문학의 과도한 휴머니즘이 싫다.’

2005년, 문단에 앳된 얼굴을 내밀었던 김사과의 외침이었다. 한국문학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과잉 해석해 표현한 것이겠지만, 기성문단에 대한 도전적인 출사표였다. 실제로 그의 등단작 「영이」는 기묘한‘광기’가 행간에 넘실거린다. 자아가 분리되면서 서로 충돌하는 독특한 서사 속에서 독자는 인간 무의식에 잠재하는 어두운 내면을 감지했으리라. 그의 첫 작품에는 세상을 향한 날선‘대결의식’이 곧추서 있었다.

김사과는 최근 한국문학에 매운 바람을 불러일으키는 80년대생 작가군(김애란 김유진 정한아 최진영 한유주 등) 중에서도 가장 어리다. 또한 정한아와 더불어 단편집보다 장편소설을 먼저 선보인 야심만만한 작가이기도 하다. 80년대생 작가들은 대부분 자신의 방식대로 새로운 소설 문법을 만들려고 고투하는데, 그중 김사과의 소설은‘독기를 머금은 내면세계’를 개성적으로 버무려냈다.

장편 『미나』(창비 2008)는 김사과가‘한국문학의 휴머니즘을 배반’하기 위해 들고 나온 작품이다. 이 소설의 주인공이 김미나가 아니라 이수정이라는 사실에 비춰볼 때,‘미나’라는 제목은 독자를 혼란에 빠뜨린다. 이러한 전도된 설정은 자아(이수정)와 또다른 자아(김미나)를 뒤섞어‘대립’을 강조하기 위한 작가의 포석이다. 미나는 수정이 닮고 싶어하는 거울이자, 다른 면모를 지닌 수정의 또다른 자아이다. 수정은 미나가 대안학교로 떠나버린 후, 새로운 거울을 만들거나 거울 없는 독립적 자아가 되어야 했다. 이때 소설이 새로운 거울을 만드는 것으로 귀착되면, 그것은‘청소년 드라마’가 되고 만다. 만약 독립적 자아 형성을 위해 고투하는 과정을 그리게 되면, 그것은 전통적 의미의‘성장소설(교양소설)’로 나아간다. 하지만 『미나』는 이 두가지 길 모두를 가로지르며 질주한다. 이 소설에 대한 찬성과 반대는 바로 이 부분에서 갈린다. 『미나』의 질주를 스타일로 읽어낸 이들은‘혁명’이라고 칭송하고, 극단적인 일탈로 독해한 이들은‘테러’라고 거부한다.

작가의 창조적 의지가 적극적으로 발현되는 가상의 세계에서는 그 어떤 상상도 가능하다. 검열 없이 표현할 수 있는 것도 패기어린 젊은 작가의 특권이다. 문제는 그 세계가 어떤 감수성을 표현했으며, 궁극적으로 독자에게 무엇을 전달했는가이다.

먼저 이 소설의 중요한 스타일로 고평되고 있는 언어의 문제를 살펴보자. 『미나』는‘청소년들의 대화법’을 그대로 활용해‘언어적 개성’을 획득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