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동 『국수』, 솔 2018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

 

 

유용주 劉容珠

시인 sinmusan@daum.net

 

 

182_458

『국수(國手)』(전6권)가 27년 만에 완간됐다. 대통령이 여름휴가에서 봤다고도 한다. 끝까지 다 봤을까? 좋다. 끝까지 안 봤어도 좋다. 대통령이 우리 문학, 장편소설을 읽었다는 게 중요하다. 후배의 한 사람으로 우리나라 사람들이 김성동을 읽었으면 좋겠다. 나는 『국수』가 완간됐다고는 안 본다. 그렇다고 『국수』가 차지하는 한국문학에서의 위치를 끌어내리자는 얘기가 아니다. 그냥 중간보고하는 자리라고 할까. 1부 ‘노을’을 끝내는 데 27년이 걸렸으니, 2부 ‘밤길’과 3부 ‘새벽’까지 완간하려면 얼마나 기다려야 할까. 사랑은 기다려야 온다는데, 너무 오래 걸린다. 김성동의 저력을 믿어본다.

『국수』에 대해 논하자면 이 작품의 탄생에서부터 공간적·역사적 배경, 등장인물, 줄거리, 문체, 이야기를 끌어가는 힘, 모두 중요하다. 『국수』 다섯권의 전체 주제는 단 한마디다. 가사를 벗고 밖에 나가면 한가락 하고도 남을, 철산화상이 도령 석규(김옥균의 항렬을 따라 원래 이름은 석균이다)에게 한 말, “밥이야 있지. 다만 나눠먹지 않으려고 하니까 그렇지.”(1권 32면)

대략 120년에서 130년 전쯤 일을 다루고 있지만, 지금하고 똑같다. “무릇 큰 고기는 중간치 고기를 잡아먹고 중간치 고기는 작은 고기를 잡아먹고 사는 이치로 아전배들 위에서 더 큰 작간질을 하는 것은 군수라고 하였다.”(4권 272면)

더군다나 우리 문단은 단편이 주를 이루고 장편이 대우를 못 받는 한심한 지경에 이르렀는데, 김성동은 대단한 일을 해냈다. 부디 『임꺽정』과 『토지』를 뛰어넘는 작품으로 거듭나길 바란다. 이 글에서는 남들이 보통 건너뛰는 사랑 이야기를 다루어봤다.

 

<

저자의 다른 글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