촌평 | 다시 읽고 싶은 책
김종철 『땅의 옹호』, 녹색평론사 2008
쇼핑몰에서 흙 묻은 언어 상상하기
김해자
金海慈 / 시인 haija21@naver.com
3년 전 작고한 김종철 선생(1947~2020)의 글은 떨쳐 일어서게 한다. 양배추처럼 안팎이 똑같아서 아무 데나 펼쳐 읽어도 생생하다. 자비와 분노가 한통속인 문채(文彩)다. 이해했다고 생각했으나 읽을 때마다 새로운 뉘앙스가 발견된다. 매번 뭐라도 하게 만든다. 새삼 문학의 힘을 신뢰하게 하고, 폼 잡지 말고 시라도 써야지 싶어진다. 영문학을 전공한 문학평론가이자 1991년 『녹색평론』을 창간하고 한국의 생태담론을 주도한 생태사상가였던 저자의 평론은 물론 강연과 대담과 토론 글이 함께 수록된 『땅의 옹호: 공생공락의 삶을 위하여』는 통 크고 깊숙하고 절박하게 질문하는 책이다. 근대문명과 성장과 진보에 대한 근본적 성찰이 담겨 있거니와 민중의 평화와 자치 그리고 민주주의 등 저자가 다룬 굵직한 주제들은 오늘날 절체절명의 위기 앞에서 어찌 살아야 하며 무엇을 해야 하는지 숙고하게 한다. 절박하면 용기가 생긴다. 근본적인 질문이 부재하거나 회피되는 시대를 향해 저자는 거침없이 피력한다. 명백히 파국으로 치닫고 있음에도 “환경이냐 경제냐 하는 양자택일을 강요하는, 그렇게 함으로써 사고를 단순화시키고 비판적인 물음을 봉쇄하기 일쑤인 오늘날 세계를 지배하고 있는 권력들에 대하여 우리는 그들이 세계화의 이름으로 지금 우리더러 가자고 하는 방향은 공멸의 길이라는 것을 말해줄 수 있어야 한다”(149면)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