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단과 현장 | 시평

 

꺼지지 않는 ‘디지털 촛불’을 들자

YTN 공정방송 사수투쟁기

 

노종면 盧宗勉

전국언론노조 YTN지부장. YTN보도국 프로듀서로 「돌발영상」 제작 책임자를 역임했다. 이명박정부의 구본홍 사장 낙하산 인사 반대투쟁을 벌이다 해직되었다. nodolbal@naver.com

 

 

“YTN불 꺼라”

촛불이 거리를 뒤덮었던 6월초, 수천명의 시위대는 숭례문에서 서울역 쪽으로 이동하고 있었다. 그들은 도로변에 우뚝 선 YTN타워를 지나며 이렇게 외쳤다. “YTN불 꺼라!” 시위대를 취재하던 YTN카메라기자를 향해서도 외쳤다. “YTN찍지 마!” YTN의 보도가‘촛불’을 외면하고 있다는 시민, 아니 시청자들의 질타였다. 당시 YTN에서는 이른바 낙하산 사장 선임에 반대하는 투쟁이 두달 가까이 진행되고 있었고 촛불보도에 대한 내부 반성이 일고 있었지만, 두가지의 연결고리가 명확히 드러나지는 않았다. 그러나 그로부터 넉달이 지난 지금 돌이켜보면 그때 촛불보도가 제대로 됐을 리 만무함을 명백히 인식할 수 있다. 그때는 낙하산 사장 선임 반대투쟁이 미약했으므로 촛불보도 또한 미약할 수밖에 없었다. 그때 투쟁의 본질이‘공정방송 사수’임을 좀더 구체적으로 인식했다면,‘공정방송 사수’가 단지 구호에 그치지 않고 우리에게 좀더 체화되어 있었다면, 촛불보도에 대한 내부 반성이 좀더 치열했을 것이고 보도에 반영하려는 노력이 좀더 가열찼으리라.

‘촛불’과 YTN의 투쟁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구본홍(具本弘)씨의 사장 내정설이 흘러나온 것은 올해 4월초였다. 정보도 막연했고 대응 또한 막연했다. 그러나 촛불이 타오르던 5월부터는 달랐다. 취재현장에서 기자들이 곤욕을 치러야 했다. 날아드는 물통을 피해야 했고 삿대질을 감수해야 했다. 시청자들의 항의가 빗발쳤다. 이들은 하나같이‘촛불보도 똑바로 하라’고 했다. 충격적이었다. 낙하산 사장을 막기 위해 이런저런 모색을 하던 시기, YTN사람들은‘촛불’이라는 이슈 앞에서‘공정방송’의 중요성을 새삼 되새길 수 있었다. 비록 인식이 깊고 넓지 못했지만‘공정방송 사수’투쟁은 그렇게 막을 올리고 있었다.

 

투쟁이 시작되다

낙하산 사장 선임에 대한 우려는 5월 29일 구본홍씨가 이사회에서 사장후보로 추천되면서 본격화됐다. 이사회를 막기 위해 노조원들이 이사회장에 집결했다. 60여명이 모였다. 노조원 수 4백명. 방송 취재 인력과 지방 인력 빼고도 60여명

저자의 다른 글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