촌평

 

이흔복 시집 『먼 길 가는 나그네는 발자국을 남기지 않는다』, 솔 2007

나그네가 우는 날은 그늘이 넓다

 

 

김종훈 金鍾勳

문학평론가 splive@chol.com

 

 

먼길가는나그네이흔복의 『먼 길 가는 나그네는 발자국을 남기지 않는다』(이하 『먼 길 가는 나그네』)는 운율도 시를 일구는 훌륭한 일꾼임을 새삼 일깨워주는 시집이다. 현대시에서 곁방살이로 운신하던 운율은 『먼 길 가는 나그네』를 만나 오랜만에 활발히 움직인다.‘허무의 재림’을 들어 김사인은 소월(素月)을 연상했다. 소월을 연상하는 자리에 여유가 있다면,‘생동하는 운율’이 가장 먼저 그 자리를 차지할 것이다.

소월이 주로 여성의 목소리로 민요를 불렀다면 이흔복은 나그네의 옷을 입고 판소리를 부른다. 서양음악의 장조에 대응하며 주로 아악에 쓰이는 평조와 달리, 판소리는 서양음악의 단조에 대응하며 속악에 두루 쓰이는 계면조의 음계를 사용한다. 이흔복의 나그네는 그중에서도 계면조의 판소리 중 웅장하고 호탕한 동편제보다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