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 | 산문

 

당신의 ‘앎’에는 믿음이 존재하는가

고봉준│문학평론가, 수유+너머 연구원

 

 

오늘날‘인문학’과 관련하여 대학에 희망을 걸고 있는 사람들은 거의 없다. 한때 대학은‘현실’과 무관한 지식을 생산한다는 이유로 비판받았지만, 지금은 속물적인 현실을 모방한다는 이유로 지탄의 대상이 되고 있다. 이미 대학은 현실법칙을 모방하는 차원을 넘어 기업으로 변신하고 있다.‘기업’은 대학이‘진리’와‘지성’이라는 이름으로 은폐하려 했던 맨얼굴이었지만, 이제 그 맨얼굴을 부끄러워하는 대학은 없다. 건물 신축에만 열중하고, 산학협력이라는 이름하에 대학에 자본의 영향력을 증가시키고,‘취업사관학교’같은 노골적인 간판을 내거는 것도 모자라 오늘의 대학은‘기업’을 자처한다. 대학 총장들이 CEO를 자임할 때, 한국사회에서 대학의 위치는 어디일까? 학생들에게 대학은‘진리’나‘지성’과는 상관없이 취업을 위해 거쳐야 하는 곳이고, 학자들에게 대학은 위태로운 밥그릇을 고민해야 하는 직장일 뿐이며, 대학당국에 대학은 구조조정으로 실용성을 극대화해야 할 대상일 따름이다. 대학에 학문이 없다거나 대학이 시장논리만을 좇는다는 것은 더이상 욕이 아니다.

경쟁과 실용이 지배할 때‘인문학’의 자리는 위태롭다. 대학에서 쏟아져나오는‘인문학의 위기’는 실상 이 위태로움의 표현이다. 위기론자들은 무차별적 시장논리와 효율성에 대한 맹신이 인문학의 위기를 초래했다고 말하고, 인문학을 되살리려면 대학 또는 국가 차원의 적극적인 지원이 뒤따라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들은 씨스템이 초래한 위기를 또다른 씨스템을 통해 제어할 수 있다고 믿음으로써, 위기를 사유의 대상으로 삼지 않는다. 그렇지만 대학에 몸담고 있는 지식인들을 제외하면‘인문학의 위기’에 동의하는 사람은 별로 없다. 대학은 인문학이 위기라고 말하지만, 정작 대학 바깥에선 인문학에 대한 대중들의 관심이 뜨겁기만 하다. 대학에서는 인문학과 순수 기초과목이 폐강되고 있지만, 대학 바깥에서는 성별과 연령을 초월하여 인문학을 공부하려는 사람들이 늘고 있고, 서점가에선 인문학 관련서적들이 때아닌 호황을 누리고 있다. 심지어 서울시장까지 나서서 인문학의 중요성을 역설하는 시대가 아닌가. 한때 인문학은 불온한 사상을 전파한다는 이유로 금기의 대상이 되었지만, 지금은 삶에 대한 가능성이라는 이름으로 전사회적으로 권장되고 있다. 그러므로‘인문학의 위기’는 제도권 인문학의 위기이고, 지식생산에서 독점적인 위치를 점해왔던 대학의 위상 변화를 나타내는 말에 지나지 않는다.

제도권 인문학은 왜 위기에 빠졌을까? 지식생산 주체의 학문적 게으름을 탓하는 것은 올바른 답이 아니다. 오늘날 강단의 지식인들은‘과중한 업무’에 비유될 만큼 지식생산을 강제당하고, 학문의 후속세대 역시 제도적으로는 탄탄하게 구축되어 있다. 혹자는 위기의 원인을 지식의 계량화에서 찾지만, 제도권 인문학의 위기가 드러나는 양상을 보면 그것도 올바른 지적은 아닌 듯하다. 오래전 대학에서 철학을 강의하는 사람에게 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