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
박상륭 朴常隆
1940년 전북 장수 출생. 1963년 『사상계』 신인상 수상. 소설집 『평심』 『아겔다마』 『열명길』, 장편소설 『칠조어론』 『죽음의 한 연구』, 산문집 『산해기』 등이 있음.
두 집 사이
제5의 늙은 兒孩 얘기
새로 세든 방에서 늙은네는, 어디다 머리를 둬 다리를 뻗을까 궁리하다, 사흘도 지나지 않아, 방향(方向)을 잃어버렸다. 망망대해나 사막 가운데, 또는 달도 별도 없는 밤의 큰 숲 속에서도 아니고, 하필 자기의 소잡한 방에서, 처음엔 한 방위(方位)를 잃고, 그에 따라 남은 세 방위에 대해서도 확신을 갖지 못하게 되어버린 것이다. 이런 츠쯧, 땀도 못 낼 일이 또 있겠는가. 의식하고서든 못하고서든, 동쪽 되는 데가 언제든 동쪽이고, 서쪽 되는 데도 또한 그렇다고 믿어 지내는 일이란, 삶이, 일상(日常)이라고 이르는 사각진 석반 위에 세운 상륜탑 같은 것이라고 알게 하는데, 그 노반 부분이 흔들리기 시작한다면, 어지러울 테다, 온전치 못할 테다, 땀도 못 낼 테다. 궁여지책으로 늙은네는, 지남철을 하나 구해, 책상 겸용의 개다리상판 한 귀퉁이에 놓고, 남북을 가늠하기에 의해, 동서를 가름해보기도 했으나, 나중엔 차라리 그것이, 늙은네의 방향감각에 더 많은 차질과 혼란을 일으킨다는 것을 알게 되어, 잡동사니들을 처넣는 상자갑 속에다 던져넣어버리고 말았다. 그 상자갑은, 추억이라는 판도라의 상자거나, 수전노의 돈궤(그동안 얼마나 많은 화폐개혁이 있었을 겐가), 또는 아르빠공의 마음의 풍경을 담고 있었을 것이었는다. 철따라 해뜨는 곳이나 지는 곳이 조금씩 바뀌기는 했으나, 그러는 동안 이사도 몇차례 했다 해도, 스물둬 살 이후부터의 평생을 살아온 도시의 동쪽은 늘 동쪽에만 있어온 것이지, 이사를 했다 해서 북두칠성까지도 (자루 도는 것말고) 자리를 옮기는 것은 아니었던 것(동쪽으로 이사를 했으니 동방이 없어져버린다면, 하늘 소맷자락 속에는 여분의 방위가 億數로 많을 테다), 그래서 이제는 거의 고정관념이 되다시피 한 방위들이, 지남철에 의하면, 예를 들면, 이제껏 동방이었던 것이 차라리 북쪽에 가까운 방향이라고 일러주고 하니, 믿을 수 없는 것도 그것이던 것이었던다. 이런 눔의 지남철에 의지해 항해를 하는 수부가 있다면, 그는, 해뜨는 것 보러 부상(扶桑)을 향했는데, 지는 해 함께 함지(咸池)에 꼴깍 함몰하고 말 테다. 방향감각이라는 것도 그렇게 본다는즉슨, 어떤 특정한 고장을 오래 살다보면, 일종의 고정관념을 형성하는 모양인데, 그럴 것이, 술이라도 취해 몸부림을 하며 자는 중, 북두성 자루 돌 때 따라 어디만쯤 빙그르 돌았다는 경우, 이 취한 손이, 오줌이 마렵게 되었다거나, 목이 갈해 더듬기 시작했다 하면, 이제 문제가 생기는 법인 것. 거기 분명히 있어야 될 문이나 숭늉그릇이 없어지고, 대신 이해할 수 없는 딴 것들이거나 벽이 가로막아 있는데, 이제 그는 이 평면 벽의 미궁에 빠지게 되는다. 이차원의 세계로 풍 빠져내린 것이다. 그 미궁은 다름아닌, 방위, 또는 방향에 대한, 그의 고정관념 자체였을 것이다. 그러고도 늙은네가 더 못 참을 일은, 이 방에서는, 동서남북이라는 네 방위 중의 하나가, 자기의 눈이, 깜냥껏 시퍼렇게 뜨고 보는 앞에서 실종을 해버리는, 그 불쾌한 경험인데, 늙은네가 자기의 방향감각에 의해서든, 또는 (이제는 집어치워버린) 지남철에 의해서든, 그쪽 구석〔角〕이 동쪽이며, 저쪽 구석이 서쪽이고, 그러면 이쪽 구석이 마땅히 남쪽이 된다고 하고, 마지막으로 북각(北角)을 정리해내려 하면, 거기 마땅히 있어야 할 그 방위가 민틋하게 깎여 없어져, 보이지도 느껴지지도 않는다는 그것이다. 이 방에서는 언제든, 돌(咄), 방위 하나가 깨끗하게 지워져 없고만 있다. 그러자부터, 이 한 삶의 늙은 탑은, 그 노반 되는 데쯤부터서 흔들리기 시작하고 있다.
늙은네가 세든 방은, (‘河口’라는 말이 있어 하는 말인데) 노구(路口)에 세워진 건물의 삼층에 있다. 길이 둘로 나누어지는 지점에, 또는 두 길이 하나로 합류하는 지점에, 다시 말하면, 길이 만든 삼각주(三角洲)에, 길의 운명이나 횡포에 복종해 세워진 건물이나 가옥은, (대략 말하면) 유독 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