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간 40주년에 부쳐 | 대만 홍콩 중국

 

뚜슈(讀書)

우리의 공동 사명을 위하여

 

 

왕 후이 汪暉

『讀書』주간 wanghui1010@yahoo.com.cn

 

 

『뚜슈』는 1979년 4월 창간된 이래 올해로 27년이 되었다. 창간호의 표제 “독서에 금역은 없다”는 말은 문화대혁명 후 사상해방운동의 정신을 그대로 보여준다. 각 시대마다 금기와 지배이데올로기가 있는만큼, 이 구호는 특정 시대의 특정 금기만을 겨냥한 것은 아니다. 매 시대에 발생하는 모든 새로운 금기에 대항하자는 의미가 담겨 있다. 『뚜슈』의 필자는 몇세대에 걸쳐 있다. 그들은 서로 겹치기도 하고 엇갈리기도 하면서, 각자의 글을 통해 개혁시대 중국의 변화의 현주소를 보여주었다. 1979년에서 1984년 사이 『뚜슈』는 당시 사상해방운동과 결합했고, 기성세대를 중심으로 제기된 맑스주의적 휴머니즘 문제는 중대한 반향을 일으켰다. 1985년을 전후해서는 젊은 신세대 지식인들이 무대의 주역으로 등장했다. 그들은 서구 현대사상의 경전적 저작들을 번역하여 출간하는 데 주력했고, 문화와 전통의 문제에 대해 깊이있는 토론을 벌였다. 『뚜슈』가 정치와 사회문제에 대해 보인 정열적인 관심은 사상과 이론 그리고 학술의 방식을 통해 표현되었고, 그러한 방식으로 중국의 현실에 개입함으로써 후대의 젊은 지식인들에게 지속적인 영향을 미쳤다.

나는 1996년 초부터 싼롄서점(三聯書店)의 요청으로 『뚜슈』의 주간을 맡아왔다. 후에

저자의 다른 글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