촌평
무조의 철학
노명우 『계몽의 변증법을 넘어서』, 문학과지성사 2002
민형원 閔炯源
덕성여대 철학과 교수 hwmin@duksung.ac.kr
테오도르 아도르노(Theodor W. Adorno)는 철학자·사회학자이면서도 일급 에쎄이스트이자 작곡가였다. 그러나 그는 철학자나 사회학자로보다 작곡가로 이해받기를 원했다. 그랬기에 1980년대 독일의 헤쎈방송(HR)은, 프랑크푸르트학파 제1세대의 주요인물을 다룬 다큐멘터리 씨리즈에서, 아도르노 편의 제목을 “아도르노의 잘 알려지지 않은 측면”으로, 부제를 “나는 일차적으로 작곡가입니다”로 정했다. 아도르노는 자신을 알반 베르크의 제자로서 아르놀트 쇤베르크를 중심으로 하는 ‘제2차 빈 악파’의 일원으로 생각하면서 평생 작곡을 철학적 작업과 병행했다. 때문에 피히트(G. Picht)는 아도르노 철학을 쇤베르크의 음악이 ‘무조음악’(atonale Musik)이라고 불리는 것에 비겨, ‘무조(無調)의 철학’(atonale Philosophie)이라고 이름하였다. 때문에 “아도르노 사상의 원천을 사회학에서 거의 무시해왔던 아도르노와 신음악과의 관계”(36면)에서 찾는 것이 목표라는 저자 노명우의 말은 강한 설득력을 갖는다.
저자는 아도르노의 『계몽의 변증법』과 『신음악의 철학』의 관계에 대해 특별한 중요성을 인정하고 있는데, 사실 이 두 저작은 계몽의 비판과 극복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