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초점 | 시선과 시선

 

문태준을 읽는 두가지 방법

문태준 시집 『그늘의 발달』

 

홍용희

강정

 

 

‘그늘’의 역동성을 위하여

홍용희(洪容熹)│문학평론가

 

 

초점_문태준_그늘의-발달

문태준(文泰俊) 시집 『그늘의 발달』(문학과지성사 2008)은 제목에 명시된 대로 발달된‘그늘’이 주조음을 이루고 있다. 어느 때보다 그의 시편들은 무겁고 느리고 어둡고 고요하다.‘그늘’의 음역은 음(陰)적 기운의 표상으로서 양(陽)적인 밝은 빛의 음역과 상반되는 내향적이고 수렴적이고 정적인 속성을 지닌다. 따라서 이것이 창작방법론에 적용되면 현실적 삶의 고통, 억압, 결핍에 직접 대응하여 표출하는 것이 아니라 이를 내면화하여 정서적 울림과 촉기로 풀어내는 미적 양식으로 드러난다. 이것은 우리 시사에서 김소월, 김영랑, 서정주, 박재삼 등으로 면면히 이어지는 전통 서정시의 계보와 깊은 친연성을 지닌다. 첫시집부터 그늘들이 오래 머물러 사는‘수런거리는 뒤란’에 시적 거점을 마련한 문태준의 시세계가 전통 서정시의 감각과 음조를 짙게 띠는 까닭은 이러한 문면에서 이해된다.

이와같은 그의 시적 특성은 1990년대 중반에 등단한 그와 비슷한 또래의 비교적 젊은 세대의 시적 성향과 뚜렷하게 변별되는 자리에 놓인다. 이른바‘미래파’시를 포함한 엽기, 환상, 질병, 兒스, 이미지 과잉 등을 거침없이 탐닉하는 새로운 경향의 시편들과는 대조적이다. 이들 새로운 시적 경향이‘드러난 차원’의 현상적인 질서에 거점을 두고, 양(陽)적 기운이 주도하는 직접성, 공격성, 실험성, 논리성에 치중하는 데 반해, 그는‘그늘’의 미의식을 통해‘숨은 차원’의 이면적 질서와 감각에 치중하는 양상을 보인다.

그렇다면 그의 시적 중심음을 이루는‘그늘’의 구체적인 실체와 작용원

저자의 다른 글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