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간 40주년에 부쳐 | 한국
문학동네
『창작과비평』, 혹은 한국문학의 보람
류보선 柳潽善
『문학동네』 편집위원 critic@kunsan.ac.kr
여전한 활력 때문에 전혀 낌새를 채지 못했건만 『창작과비평』이 어느덧 40주년을 맞는단다. 대단한 일이다.
아니, 『창비』가 헤쳐나온 그 40년의 역사를 떠올려보면 놀라운 일이라고 하는 것이 좀더 합당할지 모르겠다. 『창비』와 거의 같은 시기에 태어난 한 작가는 “나는 식민지 반봉건사회에 태어나서, 제3세계적 개발독재사회에서 교육받고, 예속적 국가독점 자본주의사회에서 젊은 날을 보냈으며, 이제 포스트모던 사회로 이민가고 있다. 나는 혼란스럽다”(주인석 『희극적인, 너무나 희극적인』, 열음사 1992, 12면)라고 쓴 바 있거니와, 『창비』는 이러한 극적인 반전과 전회들이 오히려 일상적이라 할 만큼 파란만장한 역사 속에서 태어났고 성장했다. 그간 『창비』는 분단이나 외세, 그리고 비민주적 정치상황 등 우리 민족의 특수한 상황을 현실주의적으로 재현하는 민족문학이라는 문학이념을 형성한 것은 물론, 그렇게 형성된 민족문학을 세계문학사적 맥락 속에 위치시킴으로써 당위적인 차원이 아니라 그야말로 명실상부하게 의미있는 문학원리로 격상시킨 바 있다. 뿐만 아니라 문학운동이라는 적극적인 실천모델을 계발함으로써 절대권력에 의해 어두워진 세계에서 고독한 등불 역할을 하기도 했다. 이렇듯 『창비』는 일그러진 역사 속에서 가치있는 문학적 실천을 행하기 위해 그야말로 혼신의 힘을 다했으며, 이러한 끊임없는 진리에의 의지와 그것을 현실화하려는 용기와 결단은 『창비』를 평범한 문학계간지가 아니라 어려운 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