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평
방송도 생물이다
「이제는 말할 수 있다」 4년의 회고와 전망
정길화 鄭吉和
MBC 시사제작국 부장대우 junglehwa@orgio.net
1999년 9월 12일은 한국방송사에 특별한 날로 기록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MBC 특별기획 「이제는 말할 수 있다」가 첫방송된 날이기 때문이다. 말하자면 맹아(萌芽)의 날이다. ‘제주 4·3’편으로 첫 발걸음을 뗀 이 프로그램은 혼돈과 왜곡으로 점철되어온 한국현대사에서 강자와 승자에 의하여 은폐되어온 역사적 진실을 정면으로 해부하고자 하였다.
1999년 이후 4년에 걸친 장정을 계속하고 있는 「이제는 말할 수 있다」는 도합 58편을 방송하여 미니씨리즈형 다큐멘터리 혹은 게릴라식 프로그램이란 별칭을 얻었고 방송가에서 특별한 장르와 편성으로 자리매김되기에 이르렀다. 그리고 지금은 2003년의 방송이 준비되고 있다.
사실 「이제는 말할 수 있다」가 처음 방송될 때만 해도 주위의 시선이 그리 곱지만은 않았다. 제목이 풍기는 기회주의적인 냄새부터 못마땅한 사람이 분명 있었을 것이다. 더욱이 권위주의 정권하에서 이른바 권력의 주구로서 편파 불공정 방송으로 혹세무민해왔다는 부인할 수 없는 과거의 전력을 안고 있는 게 이땅의 방송이 아닌가. MBC 역시 둘째 가라면 서러워할 처지였다. 옛말에도 있듯 나쁜 기억은 더 오래가는 법이다. 이것은 지난 1988년 이래 방송계 현장에서 꾸준하게 전개된 방송민주화운동이나 방송노조투쟁으로도 쉽사리 치유되지 못한 천형의 상흔 같은 것이었다.
그래서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