촌평

 

고형진 『백석 시 바로 읽기』, 현대문학 2006

백석 시 다시 읽기

 

 

이시영 李時英

시인 roadwalker1@hanmail.net

 

 

고형진(高亨鎭)의 『백석 시 바로 읽기』는 전공자에 의해 씌어진, 아마도 지금까지 나온 백석(白石) 시에 관한 해설서 중 가장 충실한 책일 것이다. 백석 시 97편 중 “작품성이 뛰어난”(6면) 60편을 다섯 묶음으로 엮어 편편마다 뛰어난 ‘작품해설’을 가하고 있는 이 책은 까다롭기 그지없는 백석 시의 평북방언을 풀이하기 위해 김영배의 『평안방언연구』(태학사 1997)를 비롯하여 심지어는 대한안경인협회의 『한국안경사대관』(1986)에 이르기까지 무려 57권에 달하는 방대한 선행연구 및 자료들을 망라할 정도로 깊이있는 ‘분석’에 도달하려 애쓴 흔적이 역력하다. 그러나 모든 저서가 완벽할 수 없듯이 이 책 또한 백석 시의 탁월성을 연구자들은 물론 일반독자들에까지 널리 알리려는 그 선의로 말미암아 ‘과잉해석’내지 사실관계에서의 몇몇 오류들을 드러내고 있다.

모든 시 해석에서 ‘선의’가 마냥 좋은 결과만을 낳는 것은 아니다. “비연속의 텍스트인 시 또는 시집을 마치 연속적인 서사로 취급하”(최원식 「자력갱생의 시학」, 『창작과비평』 2005년 여름호)여 매 행과 행간을 산문으로 해석하지 않고는 못 배기는 어떤 해석강박증 같은 것에 매달려 있을 때 과잉해석 내지 시 읽기의 오류가 발생한다. 시란 그 창작과정에서 (무)의도적인 생략 혹은 (얌전한 독자들을 혼란에 빠뜨려) 어떤 비약 내지 작품 바깥으로의 과감한 도약을 감행하려는 시인의 창조적이고 저돌적인 무모성이 작용하

저자의 다른 글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