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초점

 

부조리한 이야기에서 주체적인 삶으로

천명관 장편소설 『고령화 가족』

 

 

김남혁 金南赫

문학평론가. 주요 평론으로 「거대서사 이전에 쓰이고 거대서사 이후에 도착하는 서사」 「제국기계 앞에서 눈감는 소설」등이 있음. theclassic@hanmail.net

 

 

천명관이 첫 장편 『고래』(문학동네 2004)를 통해 독자들에게 제시한 명제는 “이야기는 계속된다”(406면)였다. 『고래』의 거침없는 이야기는 장르들 간의 혼종적인 접속을 유도했고, 그 접속은 소설의 규범을 교란했으며, 그 교란은 거대서사의 그늘 아래 가려졌던 작은 이야기들을 효과적으로 드러냈다. 그렇기에 『고래』의 화자는 전지적 위치에 있으면서도 일관성이니 통일성이니 하는 이성적인 질서에 맞게 이야기를 지배하는 자라기보다 그것을 한바탕 풀어주고 해방하는 이야기꾼에 가까웠다. 여담과 중심서사를 가르는 권위적인 기준이 사라진 이 소설에서 화자는 “이야기란 바로 부조리한 인생에 대한 탐구”(310면)이자 진실에 대한 “그 모든 설명과 해석을 유예하는 것”이라고 단정한다. 그리고 어떤 사태에 대한 해석을 “단순하고 정태적인 진술 안에 가둬두지 않고 자유롭게 풀어주는 것만이 (…) 진실에 다가가는 길은 아닐까?”(406면)라고 질문한다. 이에 대해 독자들이 정해진 답으로 이끌리는 불편함을 느끼기보다 오히려 공감과 해방감을 느낀 것 또한 사실이었다. 이처럼 ‘이야기는 계속된다’라는 명제를 내세웠던 천명관은 흥미롭게도 『고령화 가족』(문학동네 2010)에서 “이야기는 여기까지다. 하지만 삶은 멈추지 않고

저자의 다른 글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