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초점 | 이 계절에 주목할 신간들

 

 

분할선 너머에서 작동하는 문학의 정치

 

 

송종원 宋鐘元

문학평론가, 서울예대 문예창작과 교수. 주요 평론으로 「공동세계를 향한 시의 모험」 「살아 있는 역사와 좋은 시의 언어: 신동엽론」 「시인과 시민, 어떻게 만날 것인가」 등이 있음.

renton13@daum.net

 

 

 

김건형 『우리는 사랑을 발명한다』(문학동네)

 

201_429

문학비평과 연구에서 보편적이고 중립적인 주체성에 대한 질문은 사실 그리 낯선 것은 아니다. 식민지를 경험했고 현재까지 분단 중인 한국에서 문학작품들은 ‘나’를 말할 때 그것의 성패를 떠나 ‘나’를 포섭하는 집단적 정체성에 대한 의문을 늘 동반해왔다. 더군다나 1987년 이후 개인과 정체성 정치에 대한 담론들이 부상하는 과정은 주체를 형성하는 위계적인 분할선에 대한 대중의 관심을 증폭시켰으며, 가깝게는 촛불혁명과 연동한 ‘페미니즘 리부트’가 저 관심들을 다시 여러 문학현장의 쟁점으로 부상시켰다. 김건형의 첫 평론집 『우리는 사랑을 발명한다』 역시 이런 흐름과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김건형은 한국에서 ‘우리’는 자주 “지식인 이성애자 비장애인 성인 남성”(‘책머리에’, 6면)이라고 지적하면서 문학의 언어들도 이 진단에서 크게 비껴 있지 못하다는 문제를 제기한다. 퀴어서사가 새로운 분기를 맞이했다며 일종의 선언처럼 쓰인 「2018, 퀴어 전사-前史·戰史·戰士」는 평론집의 초석을 마련하는 글인데, 1990년대부터 2018년까지 한국문학사에서 퀴어가 재현되며 작